DOI QR코드

DOI QR Code

Touristic Aspects of Geological Heritages -Cretaceous Dinosaur Fossil Sites-

지질유산의 관광자원으로서의 특성과 활용 -국내 백악기 공룡화석산지를 중심으로-

  • Paik, In Sung (Department of Earth Environmental Science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Kim, Sook Ju (Department of Earth Environmental Science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Huh, Min (Faculty of Earth Systems and Environmental Sciences, Cheonnam National University) ;
  • Lee, Soo Jae (Korea Environmental Institute) ;
  • Kim, Hyun Joo (Department of Earth Environmental Science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Lim, Jong Deok (Research Division of Natural Haeritag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s)
  • 백인성 (부경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 김숙주 (부경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 허민 (전남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
  • 이수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 김현주 (부경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 임종덕 (국립문화재연구소 자연문화재연구실)
  • Received : 2009.12.03
  • Accepted : 2010.03.02
  • Published : 2010.03.30

Abstract

In this article, concepts, types, and aspects of geological heritage with increasing interests as utilization as tourist attractions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are introduc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pretive facilities for geological heritages in western Australia, one of the most famous geotourism areas, are considered. Based on this, the potential geotourism for the Korean Cretaceous geological heritages including dinosaur fossil sites is discussed in diverse aspects including academic values, academic and tourism infrastructures, characteristics of geotourists, systematic devices for conservation of geological heritage, economic value, and sustainability as tourist attractions. Although the Korean Cretaceous geosites are not quite competent in their scale or diversity when compared to world-class geosites, convenient access, world-class uniqu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each geosites, and relatively cheaper travelling expenses seems to be able to give the geotourism of the South Korean Cretaceous geosites a competitive edge, attractive for international and domestic tourists seeking unique experience of 'Age of dinosaurs' for short periods with easy access from metropolitan areas and low costs. Likewise, the development of geotourism for the Korean Cretaceous geosites can revitalize the geotourism industry in South Korea, contributing to the growth in job opportunities, including students majoring in geological sciences at University.

이 논문에서는 근래 들어 국내외적으로 관광자원으로서의 활용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지질유산의 개념과 국내외 지질유산의 유형 및 특성을 소개하고, 이와 함께 지질유산을 활용한 지질관광의 대표적 지역 중 하나인 서호주 지역 지질유산 설명시설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공룡화석산지를 비롯한 국내 백악기 지질유산을 대상으로 하여 학술적 가치, 학술 및 관광학적 인프라, 지질유산을 방문하는 관광객들의 정서, 지질유산 보존을 위한 제도적인 장치, 경제적 가치, 관광자원으로서의 지속가능성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관광자원 활용가능성을 고찰하였다. 국내 백악기 지질유적지는 발달규모의 광대함이나 다양성에 있어서 국제적인 수준의 지질유적지와 비교할 때 지질관광자원으로서의 경쟁력은 높지 않다고 볼 수 있으나 접근의 편리성, 각각의 지질유적지가 지니고 있는 국제적인 수준의 고유한 지질학적 특성, 상대적으로 낮은 여행경비 등을 지질관광자원으로서의 장점으로 적극 활용한다면, 외국 유명 지질관광유적지와 비교해 볼 때 경쟁력을 충분히 가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국내 백악기 지질유적지는 도시에서 편리한 체류를 하면서 비교적 저렴한 경비로 단기간에 공룡시대의 독특한 체험을 원하는 국내외 지질관광객들에게는 매우 적절한 여행지로 이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이처럼 국내 백악기 지질유적지의 지질관광자원으로서의 활용이 체계적인 관리 및 운영에 의해 지속가능하게 이루어진다면, 이는 국내 지질관광산업의 활성화를 가져오는 촉진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며, 이에 따라 지질학 관련 전문인력의 고용창출 효과 또한 기대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부경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