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spatial Information

검색결과 1,547건 처리시간 0.026초

지능형 지리정보 기술 동향과 개발 전락 (Technology Trends and Development Strategies for Intelligent Geographic Information)

  • 김은형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27-132
    • /
    • 2009
  • 최근 우리나라 GIS는 지리공간정보에 u-IT 기술을 접목하여 응합 및 확장되는 새로운 지능형 지리정보 기술로 발전하고 있다. 이미 글로벌 IT 업계에서는 'Geospatial Web'을 통해 실세계와 가상세계를 연계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쉽게 지리공간정보에 접근 활용할 수 있는 엔진이나 플랫폼 등의 다양한 신기술 개발을 추진 중에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지능형 지리정보의 핵심인 'Geospatial Web'에 대한 간략한 개념과 함께, 국내외 지능형 지리정보 기술 동향 및 UGIS 표준화 동향에 관해 살펴보고자 한다. 최종적으로는 이러한 국내외 지능형 지리정보 기술 동향 및 표준화동향 분석을 통해, 향후 지능형 지리정보 기술이 세계시장에서 선두기술 분야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기술 개발 전략을 도출해 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주택공급모형과의 연계활용을 위한 주택공간정보 구축방안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Housing Geospatial Information for the Integrated use of Housing Supply Model)

  • 최준영;김택근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0권6호
    • /
    • pp.1-11
    • /
    • 2012
  •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도시공간구조적 측면이 복합적으로 결합된 주택공급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분석모형에 기반을 둔 주택공급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주택공급모형을 위한 주택공간정보 구축 및 활용방안 도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서 선행연구 및 관련 시스템 현황을 분석하여 주택공간정보를 구축하고 주요 활용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주택공간정보 구축 측면에서는 공간단위별 구축과 연계정보의 표준화가 도출되었다. 주택공간정보 활용 측면에서는 건물 및 필지정보의 활용이 필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에는 주거 질적 측면의 주택공급정보 구축 및 활용 방안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Geospatial Web 플랫폼 기술 분석 및 기술개발전략 (The Strategies of Technology Development for Geospatial Web Platform)

  • 김은형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7권2호
    • /
    • pp.171-181
    • /
    • 2009
  •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야후 등의 대형업체들이 플랫폼을 기반으로 전 세계 위성사진과 지도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는데 반해, 국내의 경우 뛰어난 지도 서비스들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플랫폼으로 발전시키지는 못하여 경쟁에서 밀리고 있다. 웹을 통해 국토정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원천자료와 소프트웨어를 통합해 줄 플랫폼이 필요한 현실에서, 차세대 유비쿼터스 웹 환경에서 공공 및 민간의 공간정보를 통합하여 맞춤형 국토정보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기술로서 맞춤형 국토정보 플랫폼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스트리밍, 매쉬업, 검색의 크게 세 가지로 나뉘어 2D/3D Hybrid 스트리밍엔진, u-GIS 서비스 매쉬업엔진, 차세대 국토정보 검색엔진 등이 그것이다. 이에 맞춤형 국토정보 플랫폼기술의 효과적인 개발을 위해 관련 Geospatial Web 플랫폼기술이 구현되고 있는 기존의 제품 및 시장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목표시장중심 및 플랫폼의 기술 특성에 따라 맞춤형 국토정보 플랫폼기술개발전략을 모색하였다.

  • PDF

공간정보의 교육분야 활용을 위한 전략연구 (Strategic Plan for Application of Geo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in the Field of Education)

  • 강영옥;조나혜;강애띠;박지영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2권2호
    • /
    • pp.19-29
    • /
    • 2014
  • 지오웹의 발전은 공간정보가 과거 일부 전문가만이 사용할 수 있었던 것에 반해 일반인들도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어 놓았다. 교육현장에서도 이러한 공간정보 기술과 관련 자료들을 보다 쉽게 창의적으로 활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외국의 경우 구글을 비롯하여 국가적 차원의 공공기관에서 기 구축한 공간자료들을 교육목적에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관련 사이트를 구축하고 활용사례를 제시하며,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 중 고등학교 수준에서 공간정보를 교육에 활용하여 융합적이고 창의적이며, 탐구중심의 교육이 이뤄질 수 있도록 그 기반을 마련하고 이를 활성화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학교현장의 환경변화와 교육 분야에서 공간정보 활용에 대한 연구들을 조사하고, 해외의 공간정보기반 교육 사이트 분석 및 국내 공간정보분야 현황분석을 토대로 공간정보기반 교육을 위한 전략을 제시하였다. 전략은 구체적으로 첫째, 수업모듈 구축, 둘째, 학습용 데이터베이스 구축, 셋째, 공간정보기반 수업모듈 저작환경 구축, 넷째, 공간정보기반 교육 활성화를 위한 지원서비스 부분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지능형 공간정보 기술참조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echnical Reference Model of Intelligent Geospatial Information)

  • 박동윤;이용익;최훈성;박재민;정연재;박수홍;김병국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7권3호
    • /
    • pp.309-317
    • /
    • 2009
  • 정보통신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함께 최근에는 산업간 융합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기술융합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공간정보산업은 융합시대를 주도할 기반산업으로서 선도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를 위해 공간정보 분야의 체계적 종합적인 정보화를 위해서 다양한 기술 또는 시스템간의 유기적 연계 및 통합을 위한 상호운용성과 호환성 확보가 필요하다. 또한 기술개발 활동의 전반적인 지원 체계를 위한 분야별 분류 식별이 가능한 통합적인 관리체계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기술융합시대에 공간정보의 영역은 어디까지 포함할 것인지 범위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능형국토정보 기술혁신사업에서 다양한 기술이 혼재되어 있는 5개의 핵심과제를 중심으로 과제 상호간의 유기적 통합 및 개발 위험 감소를 위한 체계를 마련하고, 공간정보 분야의 핵심기술에 대한 범위와 정의 그리고 기술의 중요성 등을 정리하기 위하여 지능형 공간정보 기술참조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시스템 사고를 통한 지도데이터 국외개방과 공간정보 산업 활성화간 인과구조 분석 (A Structural Analysis between Overseas Opening of Geospatial Information and the Promotion of Geospatial Information Industry Using the Systems Thinking)

  • 이미숙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13-221
    • /
    • 2018
  • 한국은 그동안 분단국가라는 특수성으로 인해 안보 확보를 이유로 지도데이터의 국외개방을 제한하여 왔다. 그러나 공간정보 국외개방과 관련된 국내외 환경과 ICT 산업 생태계가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으므로 계속해서 개방을 제한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스템 사고를 활용하여 공간정보 국외개방과 관련된 변수들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고 상호작용하는지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먼저 국가안보, 지도기반 융 복합서비스, 기업간 경쟁 측면으로 구분하여 부문별 인과지도를 작성하였다. 이를 통합한 전체 인과지도를 바탕으로 정책개입 지점과 지배적 피드백루프를 파악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국내 공간정보사업자의 자생력 확보가 전체 인과지도의 정책지렛대로 작용하며, 지배적 피드백루프를 악순환고리에서 선순환고리로 전환시키는 변수는 '지도데이터의 국외개방 결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주요 변수간의 상호작용 관계를 인과지도로 작성하여 적은 투입으로 큰 효과를 볼 수 있는 정책 개입지점인 정책지렛대를 찾아내고, 장기적으로 어떠한 인과구조가 시스템을 지배하게 될 것인지 지배적 피드백루프를 파악하고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추후 구글 또는 여타 글로벌 기업이 공간정보 국외반출을 요청할 경우에 지도데이터의 국외반출이 국가 안보와 공간정보 산업 분야에 미치는 영향과 상호작용을 논의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클라우드 기반 지리공간정보를 활용한 작전상황 혼합현실 가시화 시스템 설계 (Design of Mixed Reality Visualization System for Operational Situation Using Cloud-based Geospatial Information)

  • 장영찬;박재일;조은지;곽송연;신상헌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0-69
    • /
    • 2024
  • The importance of geospatial information is increasingly highlighted in the defense domain. Accurate and up-to-date geospatial data is essential for situational awareness, target analysis, and mission planning in millitary operations. The use of high-resolution geospatial data in military operations requires large storage and fast image processing capabilities. Efficient image processing is required for tasks such as extracting useful information from satellite images and creating 3D terrain for mission planning, In this paper, we designed a cloud-based operational situation mixed reality visualization system that utilizes large-scale geospatial information distributed processed on a cloud server based on the container orchestration platform Kubernetes. We implemented a prototype and confirmed the suitability of the design.

모바일 지하 대용량 3D 공간정보 타일링 전송 프로토콜 개발 (Mobile Underground High-capacity 3D Spatial Information Tiling Transfer Protocol Development)

  • 이태형;조원제;김현우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491-496
    • /
    • 2021
  • 지하시설물에 따른 안전과 지하정보의 활용이 점차 부각되고 있는 현대 시대에 맞추어, 국가는 더욱 정밀하고 정확한 지하공간정보 확보 및 활용을 추진하고 있다. 앞으로는 국토교통부에서 구축 중인 15종(지하시설물 6종, 지하구조물 6종, 지반 3종) 지하공간통합지도를 적극 활용하여, 국가안전 및 지하공사 편의성 향상을 위해 많은 기여를 할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현장담당자가 모바일기기로 지하공간통합지도를 요청할 때, 대용량의 지하공간통합지도가 무선구간에서 빠르게 전송되어 서비스되지 않는다면, 현장담당자에게 불편을 초래하고, 업무 지연을 유발한다. 본 논문에서는 현장담당자가 최소한의 정보교환으로 타일링된 지하공간통합지도를 신속하게 전송 서비스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고속 모바일용 지하공간통합지도 전송을 위한 데이터셋에 맞춤으로 타일링체계를 구성한다. 아울러 모바일용 지하공간통합지도 데이터에 대한 전송체계를 설정하고, 현장 지하공간통합지도 전용 TCP/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Internet Protocol) 기반 공간정보 타일링 전송 프로토콜을 개발한다.

디지털트윈에서 공간정보 역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Geospatial Information Role in Digital Twin)

  • 이인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268-278
    • /
    • 2021
  •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Big data), 인공지능(AI), 사이버물리시스템(CPS) 등 4차 산업혁명을 견인하는 기술들이 발전/보편화되고 있다. 이 기술들을 응용하여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생산성, 경제성, 안전성 등을 향상하고자 하는 요구가 확산되고 있다. 디지털트윈은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중요한 기술 트렌드로서, 그리고 한국판 뉴딜의 10 대 과제 중 하나로 주목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 구글 웹 검색기를 사용하여 논문, 매거진, 보고서, 기타 문헌을 탐색하였다. 디지털트윈 응용분야에서 공간정보의 기여 내용(또는 역할)을 조사하기 위해 디지털트윈의 정의·국내외 기업별 기술동향, 제조업·플랜트·스마트시티에서 요구되는 디지털트윈의 구성 요소와 디지털트윈 구동을 위한 핵심기술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공간 관련 키워드인 Geospatial Information, Geospatial data, Location, Map, Geodata와 디지털 트윈 간 연계 문장이나 낱말을 탐색하여 공간정보의 기여내용을 정리하였다. 조사 결과, 공간정보는 단순히 사물-사물-사람-프로세스-데이터-제품을 연결하는 매개체로서의 역할 제공뿐만 아니라 신뢰성 높은 의사결정지원·연계융합·위치정보제공·프레임워크 등의 역할을 수행함으로 디지털트윈의 활용 가치 극대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지리정보통합포털 구축을 위한 개방형 분산프로세싱 참조모형 적용 및 아키텍처 설계 (RM-ODP Application and Architecture Design for National Integrated Geospatial Portal)

  • 신동빈;박시영;정진석;김동한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75-81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시공간 제약뿐만 아니라, 데이터의 다양성에 따른 제약조건까지도 최소화하여 온라인상에서 지리정보 활용성을 제고하기 위해 기존의 국가지리정보유통망을 지리정보통합포털로 발전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미국의 지리정보포털인 GOS를 모델로 하여 국가지리정보유통망을 지리정보통합포털로 발전시키기 위한 모형을 제시하고, 통합포털 아키텍처를 설계하였다. 지리정보통합포털 모형은 개방형 분산프로세싱 시스템 구조에 대한 ISO 국제표준인 RM-ODP를 기반으로 하여 전사적 관점, 정보관점, 전산관점, 공학관점에서 수립하였다. 또한 기존의 국가지리정보유통망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더욱 강력한 기능과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데이터 레이어, 미들웨어, 표현 레이어로 구성된 지리정보통합포털 아키텍처를 설계하였다. 이를 통해 국가지리정보유통망을 기반으로 각종 지리정보 및 지리정보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제고함으로써 지리정보의 범국가적 공유와 GIS의 활용촉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