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능형 공간정보 기술참조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echnical Reference Model of Intelligent Geospatial Information

  • 박동윤 (지능형국토정보기술혁신사업단) ;
  • 이용익 (지능형국토정보기술혁신사업단) ;
  • 최훈성 (지능형국토정보기술혁신사업단) ;
  • 박재민 (지능형국토정보기술혁신사업단) ;
  • 정연재 (지능형국토정보기술혁신사업단) ;
  • 박수홍 (인하대학교 지리정보공학과) ;
  • 김병국 (지능형국토정보기술혁신사업단)
  • 발행 : 2009.11.30

초록

정보통신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함께 최근에는 산업간 융합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기술융합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공간정보산업은 융합시대를 주도할 기반산업으로서 선도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를 위해 공간정보 분야의 체계적 종합적인 정보화를 위해서 다양한 기술 또는 시스템간의 유기적 연계 및 통합을 위한 상호운용성과 호환성 확보가 필요하다. 또한 기술개발 활동의 전반적인 지원 체계를 위한 분야별 분류 식별이 가능한 통합적인 관리체계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기술융합시대에 공간정보의 영역은 어디까지 포함할 것인지 범위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능형국토정보 기술혁신사업에서 다양한 기술이 혼재되어 있는 5개의 핵심과제를 중심으로 과제 상호간의 유기적 통합 및 개발 위험 감소를 위한 체계를 마련하고, 공간정보 분야의 핵심기술에 대한 범위와 정의 그리고 기술의 중요성 등을 정리하기 위하여 지능형 공간정보 기술참조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Recently, convergence phenomena among industries are appeared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echnology convergence also is emerging as a key issue. Especially, geospatial information industry may be expected to conduct a role as a pioneer in this convergence era. In order to do this, all fields of geospatial information should be classified systematically and interoperability and compatibility among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s should be acquired. In this paper, a technical reference model of intelligent geospatial information is proposed to show a hierarchical technical system in the field of geospatial information. The model is developed with five core research projects of Korean Land Spatialization Group (KLSG) and includes also the scope and importance of core technology in the system. The model would be helpful to manage and control all projects of KLSG.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민구, 김태진, 2007, "유비쿼터스 공공서비스 도입 우선 순위에 대한 실증분석: 공무원의 인식조를 중심으로", 한국GIS학회지, 제15권 3호.
  2. 건설교통부, 2006, 지능형 국토정보기술 혁신로드맵(20062010), 국토해양부.
  3. 김경옥 등, 2008, 지능형국토정보기술혁신사업단 5핵심과 제 1,2차년도 보고서, 국토해양부.
  4. 김병국, 최훈성, 정연재, 박지만, 박재민, 박동윤, 이용익, 2008, A Study on Practicality of R&D Outcomes from the Korean Land Spatialization Program, 한국GIS학회지, 제16권 4호.
  5. 김은형, 2007, "지자체 GIS 통합‧연계 고도화 모델 연구", 한국GIS학회지, 제15권 3호.
  6. 류승기 등, 2008, 지능형국토정보기술혁신사업단 3핵심과 제 1,2차년도 보고서, 국토해양부.
  7. 박재민, 정연재, 박동윤, 박관동, 김병국, 2009, 지능형국토 정보 공동실험장 기초설계 연구,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지, 제11권 1호.
  8. 박재민, 정연재, 박관동, 김병국, 2009, 센서기반 응용시스템간 상호운용성 확보에 관한 연구 : 지능형국토정보기술혁신사업을 대상으로, 한국측량학회지, 제27권 5호
  9. 신신애 등, 2003, 공공정보시스템 상호운용성을 위한 기술 참조모델과 표준프로파일의 적용, 한국전산원.
  10. 이규성 등, 2008, 지능형국토정보기술혁신사업단 2핵심과 제 1,2차년도 보고서, 국토해양부.
  11. 정보통신부, 2006, 범정부 기술참조모형 1.0, 정보통신부.
  12. 편무욱 등, 2008, 지능형국토정보기술혁신사업단 4핵심과 제 1,2차년도 보고서, 국토해양부.
  13. 한국전산원, 1999, 정보기술 아키텍처 수립 및 표준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전산원.
  14. 한국전산원, 2001, 기술참조모델에 기반한 표준 프로파일 개발, 한국전산원.
  15. 허 민 등, 2008, 지능형국토정보기술혁신사업단 1핵심과제 1,2차년도 보고서, 국토해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