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graphical distribution

검색결과 976건 처리시간 0.025초

자동차 물류체계 구조분석에 관한 연구 (The Analysis of the Distribution and Marketing Systems in the Korean Automobile Industry)

  • 이희연;최재헌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53-274
    • /
    • 1998
  • 본 논문은 우리날의 자동차산업의 성장과 자동차의 물류체계구조를 공간적인 측면에서 분석한 것이다. 자동차 생산이 이루어진 이후 불과 30여년만에 우리나라는 세계 5위의 자동차생산국으로 부상하였다. 자동차 물류체계구조는 크게 배송체계와 판매체계로 구분된다. 자동차 3사 모두 잠재수요력과 효율적인 배송을 위해 출고장을 입지시키고 전국을 광역화하여 출고장의 공급지역을 관할하고 있다. 한편 판매체계를 보면 지역본부, 지점, 영업소의 계층구조를 구축하여 전국을 대권역, 중지역, 소구역으로 세분하여 판매의 공간구조를 구축하고 있다. 기본적으로는 자동차 잠재수요를 바탕으로 하여 판매거점이 형성되고 있으며, 지역본부에 속해 있는 지점들과 영업소들의 영업활동은 어느 정도 설정된 관할구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앞으로 자동차 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기술 개발과 해외시장 침투도 중요하지만 유통구조의 합리화를 통한 경쟁력 제고도 매우 중요하다.

  • PDF

대둔산 도립공원의 균류다양성과 균류자원 (Biodiversities and Fungal Resources of Mt.Daedun Provincial Park)

  • Cho, Duck-Hyun;Kim, Jong-Moon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03년도 춘계 학술발표대회
    • /
    • pp.119-120
    • /
    • 2003
  • Many fungi were collected at Mt. Daedun Provincial Park between the periods from March 2001 to October 2002 and they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fungi diversity included 2 division, 3 subdivisions, 5 classes, 4 subclasses, 12 orders, 35 families, 75 genera and 153 species. Among them Ileodictyon is unrecorded genus and Ileodictyon gracile, Mycena flosum-nivium and Tricholoma lascivum are newly to Korea. Dominant family are Tricholomataceae, Russulaceae and Polyporaceae;genus Amanita and species Collybia confluens and Russula emetica In useful fungi and ecological resources, edible fungi included 51 species; culture fungi 10; poisonous fungi 18: medicinal fungi 17: anticancer fungi 22: ectomycorrhizal fungi 26 and wood rotting fungi 51, In geographical distributions of Chonbuk areas, same species are 50 spcies of Jeongup ; 56 of Mt.Manduck : 84 of Mt.Jiri : 28 of Pyonsan national park : 59 of Cheonju arboretum and 51 of Mt,Sunun.

  • PDF

Market Access Approach to Urban Growth

  • MOON, YOON SANG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42권3호
    • /
    • pp.1-32
    • /
    • 2020
  • This paper studies urban growth in Korean cities. First, I document that population growth patterns change over time and that the current population distribution supports random urban growth. I confirm two empirical laws-Zipf's law and Gibrat's law-both of which hold in the period of 1995-2015, but do not hold in the earlier period of 1975-1995. Second, I find a systematic employment growth pattern of Korean cities in spite of the random population growth. I examine market access effects on employment growth. Market access, a geographical advantage,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urban employment growth. The market access effect is higher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an in the rest of the country. This effect is stronger on employment growth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compared to employment growth in the service industry. These results are robust with various checks (e.g., different definitions of urban areas). The results here suggest that policymakers should consider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when they make policy decisions with respect to regional development.

노동시장의 구조 변화에 따른 성인 대상 사교육 시장의 성장과 공간적 함의 (Expansion of Private Tutoring Market for Adults according to Labor Market Changes and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 박소현;이금숙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402-419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구조 변화에 따라 급속히 성장한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사교육 시장의 공간적 분포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사교육의 대표적 기관인 사설학원의 수강생 중 성인을 대상으로 직업별(대학생, 직업인, 무직), 학력수준별(초졸, 중 고졸, 대졸)로 범주를 세분화하여 각 범주의 카테고리에 속하는 성인 학원수강생의 분포 특징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들의 지역별 분포 패턴에서 나타나는 공간적 함의를 파악하고자 Moran's I 값을 통해 공간적 자기상관성을 판별하였고, $G^*$통계량을 통한 핫스팟(Hot spot) 분석을 실시하여 공간적 군집 여부를 확인하였다. 아울러 학원유형별 성인 학원수강생의 분포와 인구 및 사회 경제적 설명변수와의 관계 도출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다양한 노동통계, 교육통계 지표를 제시함으로써 노동시장의 구조 변화와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사교육 시장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였다.

  • PDF

민통선 동부지역의 어류상 및 지리적 분포 교란 (The Fish Fauna and Disturbance of Geographical Distributions in the Eastern Civilian Control Line of Korea)

  • 박승철;이광열;최태봉;김원명;김명진;최재석
    • 환경영향평가
    • /
    • 제22권1호
    • /
    • pp.27-37
    • /
    • 2013
  • The fish fauna and disturbance of geographical distributions in the eastern Civilian Control Line of Korea were investigated from May to September 2012. Total 35 species sampled during the period were belonged to 13 families. There were 9 Korean endemic species (25.71%) that distributed in the flows into West and South Sea. Distributions of invasion fishes in the studied streams based on geographical distributions of freshwater fish were total 13 species that classified 1 species, C. cuvieri from foreign country and 12 species from other water systems. Hence there have been anthropogenically introduced from too many years ago. Also groups according to the similarities of each studied stations was divided into 4 groups by similarity 50% because difference in them was considered to effect of domestic invasion species. In conclusion, three streams in the eastern Civilian Control Line of Korea were invaded by many alien fishes. Therefore, we are considered to require precise investigation and monitoring for the preparations to management measure.

Model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Black-Necked Cranes in Ladakh Using Maximum Entropy

  • Meenakshi Chauhan;Randeep Singh;Puneet Pandey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of the Republic of Korea
    • /
    • 제4권2호
    • /
    • pp.79-85
    • /
    • 2023
  • The Tibetan Plateau is home to the only alpine crane species, the black-necked crane (Grus nigricollis). Conservation efforts are severely hampered by a lack of knowledge on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breeding habitats of this species. The ecological niche modeling framework used to predict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is species, based on the maximum entropy and occurrence record data, allowed us to generate a species-specific spatial distribution map in Ladakh, Trans-Himalaya, India. The model was created by assimilating species occurrence data from 486 geographical sites with 24 topographic and bioclimatic variables. Fourteen variables helped forecast the distribution of black-necked cranes by 96.2%. The area under the curve score for the model training data was high (0.98), indicating the accuracy and predictive performance of the model. Of the total study area, the areas with high and moderate habitat suitability for black-necked cranes were anticipated to be 8,156 km2 and 6,759 km2, respectively. The area with high habitat suitability within the protected areas was 5,335 km2. The spatial distribution predicted using our model showed that the majority of speculated conservation areas bordered the existing protected areas of the Changthang Wildlife Sanctuary. Hence, we believe, that by increasing the current study area, we can account for these gaps in conservation areas, more effectively.

기후변화에 따른 소나무림 분포변화 예측모델 (Prediction Model of Pine Forests' Distribution Change according to Climate Change)

  • 김태근;조영호;오장근
    • 생태와환경
    • /
    • 제48권4호
    • /
    • pp.229-237
    • /
    • 2015
  • 본 연구는 보다 정확한 소나무림의 분포현황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소나무림을 보전관리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기후변화에 의한 남한지역에 서식하고 있는 소나무림의 지리적 분포 변화를 예측하고 연령대별 소나무림의 공간적 분포 특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종 분포 변화를 예측하는데 유용한 MaxEnt 모델을 현재와 미래 시기의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에 적용하여 소나무림의 잠재적인 분포 변화를 예측하고, 연령대별 분포면적과 변화에 미치는 생물 기후 변수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소나무림의 잠재적 분포지역은 남한지역에서 10~30년생의 소나무림이 상대적으로 많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대별 소나무림에게 기후적으로 적합한 지역의 면적이 클수록 감소 지역은 커지고, 새롭게 확장되는 지역은 작아지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이는 서식 적합한 지역의 대부분이 중복되는 지역으로서 유사한 기후환경에서 소나무림의 연령대별 상호작용이 상호 촉진 관계에서 경쟁적인 관계로 변하는 데 기인할 것으로 추측된다. 기온변화보다 강수량이 소나무림의 분포에 더 큰 영향을 주고, 소나무의 지리적인 분포 변화는 평균적인 기후 특성보다 건조한 시기의 강수량 및 최고 한기의 기온과 같이 기후의 극한성에 영향을 더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고 건기의 강수량에 의한 소나무림의 분포 변화에 대한 영향은 연령대와 상관없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기온 상승에 따른 수분결핍이 증가하여 결국 생장과 생리반응에 영향을 주는 가뭄과 연관된 기후환경이 조성되어 소나무림의 감소를 초래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 유도된 결과는 기존에 구축된 다양한 생물 자원 정보를 활용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지리적인 변화를 예측하는 데 유용한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고, 자연생태계 분야에서 산림식생보전과 관련된 기후변화 적응정책 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청주시 주차장의 공간적 분포 패턴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of Parking Lots in Cheongju City, Korea)

  • 손선미;한주성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37-356
    • /
    • 2002
  • 청주시 주차장의 공간적 분포 패턴은 상업.업무기능이 집중된 도심에서 동심일 패턴이 주변지역으로 확대되고 있다. 그리고 운영주체별 주차장의 분포는 도심에 공영.민영.건축물 부설 주차장을 중심으로 동심원상으로. 그 인접지역은 공영.건축물 부설 주차장이 분포하고, 선형상으로 공영주차장, 민영.건축물 부설 주차장, 건축물 부설 주차장이 분포하고 있다. 시설구조에 의한 주차장 분포는 청주시 반 이상이 건축물 부설 자주식 주차장을 가지며. 도심에는 건축물 부설 자주식, 노상평면 자주식, 건축물 부설 기계식, 노외평면 자주식 등이 결합된 다양한 주차시설 구조를, 도심 인접지역과 주변지역은 동심원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또 계약형태별 주차장의 분포는 도심을 중심으로 남서부로는 시간제 지불과 월별 지불의 주차장이. 북동부에는 무료주차장이 주로 분포하고 있다. 이와 같은 주차장의 공간적 분포 패턴은 사업체와 주택의 지역적 분포를 잘 반영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한국 의료서비스의 분포 특징 분석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Medical Services in Korea)

  • 이금숙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42-251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의료서비스의 공간분포에 나타나는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의료서비스의 공간적 분포 패턴을 조사하고, 의료 서비스에 대한 수요에 대한 공급의 공간적 패턴 분석을 통하여 의료서비스 공급에 나타나는 공간적 격차문제를 지역간과 지역내의 수준에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인구수를 고려한 상태에서도 의료 서비스의 공급이 대도시 및 경제적 중심지에 집중 분포하고, 촌락 및 경제적 주변지역은 크게 미흡한 상태여서 공간적 격차가 매우 심하다. 이러한 공간적 격차는 하나의 도시 내에서도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병원시설의 규모별 분포 수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병원시설의 규모와 분포수의 관계는 기존의 병원시설 입지계획 모형들이 일반적으로 가정하는 계층적 구조보다는 자연계 및 사회 현상의 분포에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보편적 질서로 밝혀진 법칙과 유사한 분포 함수를 보인다. 즉, 병원 규모에 따른 분포에 격차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 의료체계가 3단계로 구분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병원시설의 분포는 규모에 뚜렷한 격차를 나타내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병원시설의 규모와 분포 수가 보이는 특징은 의료서비스의 공간적 분포가 보여 주는 특징과 함께 앞으로 바람직한 의료서비스 시설 입지계획을 위한 모형 정립에 유용한 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韓國의 冬季 降水 分布에 關한 綜觀氣候學的 硏究 (A Synoptic Climatological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Winter Precipitation in South Korea)

  • 박병익;윤석은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31-46
    • /
    • 1997
  • 본 연구는 남한의 동계 일강수량 데이터를 기초로 매일매일의 분포도를 작성하여, 강수의 공간적 분포 유형을 분류하였다. 그리고 강수의 공간적 분포유형과 그 종관적 특성과의 대응관계를, 먼저 기압배치형을 중심으로, 그리고 강수분포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지상일기도로 볼 때 유사한 특성을 지닌 울릉도형과 울릉도${\cdot}호남 동시 출현형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850hPa, 700hPa, 500hPa면의 기압장, 기온장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울릉도지역은 강수계급에 관계없이 높은 출현빈도를 보이고, 동해안은 5mm 이상에서, 호남지역은 1~5mm구간에서 더 높은 출현빈도를 나타냈다. 동계강수분포형은 12개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들 분포형은 뚜렷한 계절 변화를 보인다. 울릉도형과 울릉도${\cdot}$호남 동시 출현형 간의 강수분포의 차이는 풍향, 풍속보다는 상층 한기의 이류 양상과 관련이 깊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