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detic Network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31초

Global Positioning System and Strengthening of Geodetic Network of Nepal

  • Adhikary, Krishna Raj;Mahara, Shree Prakash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955-958
    • /
    • 2003
  • Nepal is a country of mountains The higher order geodetic points were mostly established on the top of mountains and these points were used for the geodetic network extension. Lower order geodetic control networks were established at different times and used for the surveying and mapping activities of the country.. It has been found that the rate of convergence between north and south borders of Nepal to be 21${\pm}$2 mm each year and the rate translation of Kathmandu to 55${\pm}$3 mm/year to the plates. The most intense deformation in Nepal occurs along the belt of high mountains along its northern border res ulting in a strain contraction rate normal to the Himalayan Arc. This belt is approximately 40 km wide and extends into southern Tibet.( 13). Recently Survey Department of Nepal has lunched a program of strengthening the existing geodetic network of Nepal and re-observed the position of higher order geodetic points by using geodetic GPS receivers to evaluate their position and thus to define the precision of the control points once again. This paper describes the observation procedure and the adjustment results of the existing higher order control network of Nepal established in different time using different types of equipment and techniques; and highlights the observation procedure and the result obtained after the post processing of the GPS observation results. Attempt has been made to give the procedure and identify the methodology for the re observation of existing higher order geodetic points by using GPS receiver and post processing the observed data so that the existing higher order geodetic points are within the given accuracy standard.

  • PDF

측지망의 최적화 설계에 관한 연구 (Optimal Design of Geodtic Network)

  • 윤홍식;조재명;조현준;성우진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10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51-155
    • /
    • 2010
  • This paper describe the optimal design of geodetic network by analytical technique based on the quality criteria of network. We described an example of geodetic network design taking into account the precision, reliability and strength that are the main criteria of network design. The main goal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the criteria to design the geodetic network coinciding with the criteria of geometrical strength and high reliability. From this study, the result shows relatively weaker strength in marginal part than the center of network. This indicated that the precision of observation in marginal part is relatively lower than the center.

  • PDF

Realization of New Korean Horizontal Geodetic Datum: GPS Observation and Network Adjustment

  • Lee, Young-Jin;Lee, Hung-Kyu;Jung, Gwang-Ho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6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GPS/GNSS Vol.1
    • /
    • pp.529-534
    • /
    • 2006
  • New geocentric geodetic datum has recently been realized in Korea, Korean Geodetic Datum 2002- KGD2002, to overcome problems due to the existing Tokyo datum, which had been used in this country since early 20th century. This transition will support modern surveying techniques, such a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s (GNSS) and ensures that spatial data is compatible with other international systems. For this realization, very long baseline interferometry (VLBI) observations were initially carried out in 1995 to determine the coordinates of the origin of KGD2002 based on the International Terrestrial Reference Frame (ITRF). Continuous GPS observations were collected from 14 reference stations across Korea to compute the coordinates of 1st order horizontal geodetic control points. During the campaign, GPS observations were also collected at about 9,000 existing geodetic control points. In 2006, network adjustment with all data obtained using GPS and EDM since 1975 has been performed under the condition of fixing the coordinates of GPS continuous observation stations to compute coordinate measurements of the 2nd and 3rd geodetic control points. This paper describes the GPS campaigns which have been undertaken since 1996 and details of the network adjustment schemes. This is followed

  • PDF

GPS 측지망 조정을 통한 국가기준점 성과의 상시 산정 체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tinuous Management Strategy or Published Coordinates of National Geodetic Control Points using GPS Network Adjustment)

  • 정광호;이흥규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67-380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지각판 운동 지진과 같은 급격한 지각변동을 고려한 국가기준점의 상시적 성과 산정 체계 수립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GPS 기준점의 국내 현황 및 최근 국가기준점의 재정비가 이루어진 국외 사례 조사로부터 시사점을 도출하고 GPS 상시관측점으로 이루어진 위성기준점망과 6,900 여점으로 이루어진 단일 GPS 망으로 단순화된 국가기준점의 계층 구조를 제안하였다. 또한, 초고정밀 다중기선해석과 정규방정식의 누적에 의한 연속조정을 통한 단계별 위성기준점의 성과 산정 절차 및 다중 세션 조정에 의한 단일 GPS 기준망의 성과 산정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시험 조정망을 구성하여 조정계산을 실시하고 결과 분석을 통해 상시적 성과산정의 필요성과 제안한 성과산정 방법 및 절차의 타당성 등을 평가하였다.

우리나라 정밀측지망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Precision Geodetic Network in Korea)

  • 안철호;윤재식;김원익;안기원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3-24
    • /
    • 1986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정밀측지망 설정에 관한 연구로서, 먼저 1981년부터 1985년까지 국립지리원에서 시행한 대한민국경위도원점의 천문관측성과를 분석·평가한 후에 이 원점의 수치를 결정하였다. 그리고 설치된 우리나라 측지망의 조사·분석과 시행중인 측지측양의 현황분석 및 문제점 파악을 토대로 당면과제인 우리나라 정밀측지망 설정의 기본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국가 측지망의 정밀도 향상을 위한 최적 측지망 설계에 관한 연구 (Optimal Network Design for Enhancing the Precision of National Geodetic Network)

  • 조재영;윤홍식;위광재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587-594
    • /
    • 2010
  • 측지망은 측량작업과 조정계산의 기준으로써 그 구성이 측량성과의 품질에 많은 영향을 미침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측지망 설계는 경험적 또는 단순한 기하학적 강도만을 기준으로 설계되어진다. 본 논문은 해석적 기법에 의한 측지망의 최적화 설계를 위하여 측지망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다양한 기준을 분석하고 제시하기 위한 것으로써 측지망 품질평가 기준으로 정밀도(오자타원, 2DRMS, CEP), 신뢰성(내적신뢰성) 및 견인성(최대전단변형률, 주변형률, 면적변형률)을 제시하고 이를 실제 측지망의 설계에 적용함으로써 그 효용성을 평가하였다. 기관측된 실제 측지망에 8가지 품질평가 인자를 적용하여 측지망 최적화 설계의 효용성을 평가한 결과, 최적화 설계 전 후 품질평가 인자는 평균값에 있어서 정밀도는 2%, 신뢰성은 3%, 견인성은 3,001%로 향상되었으며, 최대값에 있어서 정밀도는 5% 신뢰성은 7%, 견인성은 16,957% 향상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On the Design of Geodetic SVLBI Satellite Orbit and Its Tracking Network

  • Erhu, Wei;Jingnan, Liu;N, Kulkarni M.;Sandor, Frey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6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GPS/GNSS Vol.1
    • /
    • pp.505-510
    • /
    • 2006
  • SVLBI (Space Very Long Baseline Interferometry) has some important potential applications in geodesy and geodynamics, for which one of the most difficult tasks is to precisely determine the orbit of SVLBI satellite. This paper studies several technologies which possibly will be able to determine the orbit of space VLBI satellite. And then, according to the sorts and characteristicsof satellite and the requirements for geodetic study and the geometry of GNSS (GPS, GALILEO) satellite to track the space VLBI satellite, the six Keplerian elements of SVLBI satellite (TEST-SVLBI) are determined. A program is designed to analyze the coverage area of the space of different heights by the stations of the network, with which the tracking network of TEST-SVLBI is designed. The efficiency of tracking TEST-SVLBI by the network is studied, and the results are presented.

  • PDF

ADVANTAGE OF USING FREE NETWORK ADJUSTMENT TECHNIQUE IN THE CRUSTAL MOVEMENT MONITORING GEODETIC NETWORKS

  • AhmedM.Hamdy;Jo,Bong-Gon
    • 지구물리
    • /
    • 제6권1호
    • /
    • pp.1-11
    • /
    • 2003
  • 측지망 조정에는 여러 가지 기법이 있으나 가장 보편적인 것이 최소자승법이다. 지각 변위 연구 등 지구역학적 연구를 위해 GPS 자료를 처리할 때 일반적으로 두 가지 망조정 기법이 사용되는데 그 중 하나는 자유망 조정법이고 나머지 하나는 제한적망 조정법이다. 이 두가지 기법 중에서 어느 것이 더 지구역학적 목적에 적절한지 결정하기 위해 두 개의 다른 측지망 즉, "이집트의 시나이 측지망"과 "한국의 HGN 측지망"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사용된 두 개의 망은 서로 모양이 다를 뿐만 아니라 지진학적 활동이 다른 지역에 위치해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두 기법이 모두 RMS 입장에서 보면 고정밀성을 가지고 있고 큰 차이가 없을을 보인다. 그러나 좌표값 결과를 볼 때 제한적망 고정법이 자유망 조정법에 비해 더 많은 왜곡을 일으켰을 분만 아니라 측지망을 정의하는 고정점이 변하면 좌표값도 다르게 결정되었다. 이러한 왜곡은 측정점의 위치 이동량은 물론 자료처리 결과의 지구역학적 해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변위요소들의 추정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 연구의 대상 지역에 대해 널리 알려진 지구역학 모델과 두 기법으로부터 얻어진 결과를 비교해 보면, 자유망 조정법의 결과가 이들 모델에 확실히 잘 맞는 반면 제한적망 조정법의 결과는 전혀 맞지 않는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자유망 조정법이 지구역학적 목적에 더 부합하는 측지망 조정기법이라고 판단된다.

  • PDF

반복자유망조정에 의한 평면기준점좌표의 결정 (Determination of Planimetric Control Coordinates by Repetative Free Network Adjustments)

  • 유복모;권현;표명영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07-113
    • /
    • 1995
  • 일반적으로 측지망 최적화의 목적은 측지망의 형상과 관측계획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측지망의 형상은 일정한 것으로 간주하고, 측지망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조정점의 선택과 조정방법에 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국가기준점을 구성하는 측지망의 조정계산은 조정기준점의 선택과 조정방법에 따라 그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든 점을 고정하지 않는 자유망조정 방법에서 조정기준점으로 선택한 기준점좌표를 고정시켜 자유망조정을 반복 수행하는 알고리즘을 소개하고, 조정점으로 사용한 기준점의 오차를 점검하여 오차가 큰 기준점은 미지점으로 간주하고 반복조정하므로써 조정망의 신설점의 좌표를 최적화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조정계산 방법을 시뮬레이션 망에 적용한 결과, 조정점으로 선택한 기준점의 성과에 대한 오차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오차가 큰 조정기준점을 제외하므로써 조정망의 오차를 줄여 신설망의 좌표를 최적화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국가기준점망의 순차 조정이나 국가기준점을 이용한 공공측량 등에 이 방법을 적용하므로써 조정망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국가기준점망의 KGD2002성과산출과 현지검측에 의한 분석 (Examination of KGD2002 Results of the National Geodetic Network Adjustment)

  • 이영진;최윤수;고형곤;황병철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465-474
    • /
    • 2007
  • 건설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에서는 한국측지계2002(KGD2002)의 성과를 산출하기 위해 전국의 대규모 삼각점에 대한 국가기준점의 망조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평망조정의 결과를 분석 및 점검하고 성과를 고시하여 실용성과로 사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점검지역의 137개 삼각점에서 GPS방식으로 관측을 실시하고, 데이터의 처리과정을 거쳐 점검을 위해 관측된 137점의 정밀한 망조정성과를 산정하여 KGD2002성과와 좌표차를 비교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GPS망조정 지역의 경우 RMSE의 평균이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에서 각각 ${\pm}2.7cm$, ${\pm}6.5cm$로 나타났고, EDM망조정 지역의 경우 RMSE의 평균이 수평방향에서 ${\pm}3.0cm$로 나타났으나 지역적으로 GPS고정점이 부족한 EDM지역의 경우에는 정확도 확보대책이 요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