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detic Network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24초

돌출오차(突出誤差)의 검출(檢出)과 측지망(測地網)의 신뢰도(信賴度) (Outliers Identification and Reliabilities in Geodetic Networks)

  • 이석찬;고영호;이영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1-9
    • /
    • 1987
  • 이 논문(論文)은 조정결과(調整結果)의 해석(解析)을 통한 돌출오차(突出誤差)의 검출(檢出)과 측지망(測地網)의 신뢰도(信賴度)에 대한 것으로서 기존의 최소제곱조정 프로그램에 추가되는 방법(方法)이 제시되었다. 실제로 테스트망에 적용한 결과(結果)로부터 신뢰도(信賴度)를 고려해야 하는 문제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PDF

GPS망조정에 의한 3등측지기준점의 세계측지계 성과산정 (The $3^{rd}$ Order GPS Network Adjustment for Determining of KGD2002 Coordinate Sets)

  • 이영진;정광호;이흥규;권찬오;송준호;조준래;남기범;차상헌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437-449
    • /
    • 2007
  • 우리나라 국토지리정보원에서는 3등측지기준점의 세계측지계 전환을 위해 1997년에서 2005년까지 총 69개 사업지구에서 관측된 약 11,000여개 삼각점의 GPS관측데이터를 확보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3등측지기준점 관측데이터와 관련된 사항을 요약하고, 연도별 사업지구별 데이터를 분석한 후 40개 지구의 데이터를 재처리하였다. 또한, 과대오차 검출과 통계모델의 추정을 위해 사업지구별로 최소제약조건에 의한 망조정을 실시하고 추정한 정확도는 수평 $5mm{\pm}0.5ppm$ 수직 $10mm{\pm}1ppm$을 얻었다. 한국측지계 2002(KGD2002)의 최종성과 산정을 위한 GPS망조정은 GPS기선벡터를 기선해석 S/W별로 구분하여 총 17개의 블록으로 구성하고 블록별 최소제약 조정에 의해 평가하였으며, 다점고정 조정에 따라 최종성과를 산정하고 절대정확도 점검을 실시하였다.

국가기준점 망조정에 관한 연구 - EDM 관측지역 (The Korean Geodetic Network Adjustments for EDM Area)

  • 양효진;최윤수;권재현;김동영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393-398
    • /
    • 2007
  • 국가 기준측지계가 세계측지계로 변경됨에 따라 모든 국가기준점의 좌표를 기존의 동경측지계에서 세계측지계로 변환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삼각점자료 중에서 현재까지 남아있는 EDM 단일 관측지역의 세계측지계 좌표를 산정하였다. 이전의 정밀 2차 데이터 셋을 확보하여 이설자료를 조사 및 검증하여 데이터 셋에 갱신하고, 새로운 데이터 셋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데이터 셋을 국토지리정보원에서 고시한 변환파라미터를 이용하여 KGD2002 좌표계로 변환하였으며, EGM96 모델을 이용하여 지오이드고를 산정하고, 이전에 보정하지 않았던 지오이드고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여 보정하였다 보정된 자료를 데이터 셋에 반영하고, GPS 2등 및 GPS망과 EDM망의 경계부분의 GPS 3등 기준점을 확보하여 경위도(BL) 망조정을 수행하여 최종 성과를 산출하였다. 최종 망조정 결과 표준편차(Mo)가 최소 1.37", 최대 2.13"로 나타났으며, 본 연구를 통하여 산출된 성과는 국가기준점성과로 사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대규모 측지망 조정을 위한 희소 행렬의 효율적인 재배열 방법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Efficient Reordering Methods of Sparse Matrix Problem for Large-scale Surveying Network Adjustment)

  • 우선규;윤공현;허준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85-91
    • /
    • 2008
  • 수평조정망과 같이 커다란 희소행렬(sparse matrix)을 계산할 때, 시간적 효율 및 공간적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재배열(reordering) 과정을 거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SMMS(Sparse Matrix Manip ulation System)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희소행렬의 원소를 각각의 재배열 방법으로 재배열 한 후, 전체 계산에 걸리는 시간과 치환배열을 구해 해를 구하는 과정시 발생하는 Fill-in의 개수를 계산해서 각 방법의 효율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Minimum Bandwidth 기반의 GPS(Gibbs-Poole-Stockmeyer), RCM(Reverse Cuthill-Mckee) 방법보다 최소 차수(Minimum Degree) 기반의 MD(Minimum Degree), MMD(Mutiple Minimum Degree) 방법이 더 효율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행렬의 원소 분포에 따라서 최적의 성능을 보이는 재배열 방법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전국 기준점의 좌표값 재조정 시, 또는 대규모 측지망 조정 등에서 구성 요소 계산에 필요한 시간, 저장 공간 등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직교분해법에 의한 측지망의 조정 (Network Adjustment by Orthogonal Decomposition)

  • 이영진;이석찬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95-101
    • /
    • 1990
  • 이 논문은 정규방정식을 사용하지 않고서 관측방정식으로부터 직접 직교분해법을 이용하여 측지망을 조정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이 방법은 자유망이나 가중측점조건에 의한 망조정의 경우에 있어서도 효과적으로 안정된 해를 제공하고 정규방정식에서의 Cholesky factor를 활용할 수 있는 등 중규모의 망조정에 적합함을 보여주고 있다.

  • PDF

사진측량의 정확도향상을 위한 사진 및 측지관측값의 결합조정 (Combined Adjustment of Photogrammetric and Geodetic Observations for Accuracy Improvement)

  • 정영동;강태석;권현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35-43
    • /
    • 1989
  • 토지재조사 측량을 위한 수치측량과 대축척 도면의 수정에 있어서는 정밀하고도 조밀한 기준점망의 설치가 필요하다. 종래의 항공사진측량에 있어서는 블럭조정에 지상측량에 의한 조정좌표가 사용되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거리, 각, 표고차등 3차원 측지관측값이 사진좌표 및 외부표정 요소 등과 함께 결합조정된 번들블럭조정 방법을 사용하여 지상기준점이 없거나 배치가 불량한 지역에서도 사친측량의 정확도가 향상 되도록 하였다. 실험결과 과대오차를 제거한 조정좌표는 기준점이 부족한 경우에는 결합조정의 정확도가 보다 향상되었으며, 기준점이 전혀없는 경우에도 기준점만으로 조정한 경우에 접근되었다.

  • PDF

Using Omnidirectional Images for Semi-Automatically Generating IndoorGML Data

  • Claridades, Alexis Richard;Lee, Jiyeong;Blanco, Ariel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319-333
    • /
    • 2018
  • As human beings spend more time indoors, and with the growing complexity of indoor spaces, more focus is given to indoor spatial applications and services. 3D topological networks are used for various spatial applications that involve navigation indoors such as emergency evacuation, indoor positioning, and visualization. Manually generating indoor network data is impractical and prone to errors, yet current methods in automation need expensive sensors or datasets that are difficult and expensive to obtain and process. In this research, a methodology for semi-automatically generating a 3D indoor topological model based on IndoorGML (Indoor Geographic Markup Language) is proposed. The concept of Shooting Point is defined to accommodate the usage of omnidirectional images in generating IndoorGML data. Omnidirectional images were captured at selected Shooting Points in the building using a fisheye camera lens and rotator and indoor spaces are then identified using image processing implemented in Python. Relative positions of spaces obtained from CAD (Computer-Assisted Drawing) were used to generate 3D node-relation graphs representing adjacency, connectivity, and accessibility in the study area. Subspacing is performed to more accurately depict large indoor spaces and actual pedestrian movement. Since the images provide very realistic visualization, the topological relationships were used to link them to produce an indoor virtual tour.

구조물 안전진단을 위한 C.R.P 기법의 응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R.P. Method for Safety Diagnosis of Structures)

  • 신봉호;한성희;윤철규;엄재구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7-54
    • /
    • 1993
  • 최근 구조물의 붕괴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안전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C.R.P(Close-Range Photogrammetry)를 이용하여 구조물 전면에 대한 변형측량을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측지학적 network과 연결하여 절대변위량 도출을 꾀하였다. 또한 동시에 inclinometer 계측도 실시하여 이와의 상관관계도 아울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구조물의 시통 가능한 일부분에 기준점을 배치하여 기준점측량의 난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또한 reference network과 control network을 연결하여 절대변형량 해석을 위한 좌표전환 parameter를 도출하므로써 지반 거동해석의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고 종래의 국부적인 계측으로 인한 비효율성을 보완할 수 있었다.

  • PDF

경위도(經緯度) 좌표(座標) φ, λ에 의한 측지망(測地網)의 동시조정(同時調整) (Simultaneous Adjustment of Geodetic Networks by Geographical Coordinates φ, λ)

  • 백은기;이영진;최윤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5권4호
    • /
    • pp.121-127
    • /
    • 1985
  • 본 논문(論文)에서는 경위도(經緯度) 좌표(座標)(${\varphi}$, ${\lambda}$)에 의해 측지망(測地網)을 동시조정(同時調整)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1점(點) 1방향(方向) 고정(固定)인 경우와 자유망(自由網)조정의 두 경우를 검토하였다. 구성과(舊成果)를 초기치(初期値)로 이용하고 Hubeny 에 의해 확장된 Gauss 의 평균위도식(平均緯度式)을 사용하였으며, 좌표조정법(座標調整法)에 의해 조정계산(調整計算)을 실시하였다. 기준타원체(基準楕圓體)로는 Bessel 치를 사용하고, 관측(觀測)에 대한 중량(重量)을 1로 가정하였다. 우리 나라 일부지역의 실측(實測)데이타를 적용한 결과 평균위치오차(平均位置誤差)가 1점 1방향 고정의 경우 6.2cm, 자유망(自由網)의 경우는 2.4cm로 나타났다. 적용된 삼변망(三邊網)의 단위중량(單位重量)에 대한 표준오차(標準誤差)는 $1.66{\times}10^{-6}$ 라디안 (0.3")이고, 오차타원(誤差楕圓)을 분석한 결과 자유망(自由網)이 오차분배면에서 효과적임을 보여 주고 있다.

  • PDF

Network RTK-GPS를 이용한 거리별 수직위치결정의 정확성 평가 (An Evaluation of the Accuracy of the Vertical Positioning by Distance Using Network RTK-GPS)

  • 문두열;이성수;김명수;신상호;백태경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54-63
    • /
    • 2013
  • Network RTK-GPS 방식을 이용하여 거리별 수직위치결정 한 결과, 종래의 수준측량방법보다 신속 정확하게 취득할 수 있었으며, 비교적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방법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상시관측소를 검증한 결과 가시 위성수 및 PDOP(위치정밀도 저하율), 수직위치결정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 VDOP(수직정밀도저하율)은 수직위치 결정에 매우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기준점 U0997과 U0921은 공공수준측량규정 3등급에 만족하였고, 나머지는 모두 부적합한 결과로 분석되었다. Network RTK-GPS를 이용하여 수직위치결정을 측량을 할 때에는 반드시 EGM2008의 지오이드 고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향후 측지위성의 수가 증가한다면, Network RTK-GPS를 이용한 수직위치결정은 전 범위에서 가능하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