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detic Network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27초

천문측지지오이드에 의한 Bessel1841과 GRS80의 우리나라에의 타원체 적합성 분석 (Ellipsoidal Agreement Analysis between Bessel 1841 and GRS80 in Korea by Astrogeodtic Geoid)

  • 이석배;심정민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7-20
    • /
    • 2007
  • Many countries have changed her geodetic reference system from local system to global system because of the global network's necessity And, also Korean geodetic reference system changed from Tokyo datum to Global geodetic reference system since 2003 as the revision of Survey Law and Korean reference ellipsoid changed from Bessel 1841 ellipsoid to GRS80. Astronomic surveying has been regarded as an important method for absolute positioning of geodetic datum in each countries under the local geodetic reference system. This paper aims to analyses distribution of geoidal heights and ellipsoidal agreement between Bessel 1841 and GRS80 ellipsoid in Korea through comparing both astrogeotic geoidal heights referred to GRS80 and Bessel 1841 ellipsoid by astronomic surveying data which have been surveyed after 1970 in Korea.

  • PDF

세계측지계 변환에 따른 변환 전후의 타원체 적합성 비교분석 (Analyses of ellipsoid agreement before and after change due to the introduction of global geodetic reference system)

  • 이석배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7
    • /
    • 2004
  • Many countries have changed her geodetic reference system from local system to global system because of the global network's necessity. And, also Korean geodetic reference system changed from Tokyo datum to Global geodetic reference system since 2003 as the revision of Survey Law and Korean reference ellipsoid changed from Bessel 1841 ellipsoid to GRS80.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evaluation of ellipsoid agreement before and after change due to the introduction of global geodetic reference system in Korea. For the evaluation ellipsoid agreement was analyzed using two Korean geoid model -KOGD2003 and KOBGDM33- on both ellipsoid and area variation caused by change of reference ellipsoid was calculated.

  • PDF

GPS망조정에 의한 2등측지기준점의 세계측지계 성과산정 (GPS Network Adjustment for Determining KGD2002 Coordinates of the $2^{nd}$ Order Geodetic Control Points)

  • 이영진;이흥규;정광호;이준혁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451-463
    • /
    • 2007
  • 우리나라에 세계측지계 기반의 한국측지계(KGD2002)가 도입됨에 따라 국가 측지기준점에 대한 새로운 성과의 산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 2등측지기준점의 세계측지계 성과 산정을 위하여 GPS관측데이터의 처리를 통해 얻어진 3차원 기선벡터를 이용한 측지망조정을 실시하였다. 3단계에 걸친 최소제약조정을 통하여 기선벡터에 포함된 과대오차를 체계적으로 검출소거하고 경험적 통계모델링 기법을 적용하여 기선벡터의 수평 및 수직방향의 오차 크기를 4mm+0.4ppm와 8mm+0.8ppm으로 각각 결정하였다. 국가 1등측지기준점 성과의 다점고정에 의한 망조정을 실시하여 수평과 수직방향에 2cm와 4cm 정확도로 최종성과를 산정하였다.

우리 나라 정밀측지망(精密測地網)의 동시조정(同時調整) (Simultaneous Adjustment of the Korea Precise Primary Geodetic Network by Development Method)

  • 최재화;최윤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151-159
    • /
    • 1993
  • 수평위치(水平位置)를 나타내는 삼각점(三角點)은 국사개발(國士開發)이나 지도제작분야(地圖製作分野) 또는 지구물리학(地球物理學) 등에서 광범위하게 이용되기 때문에 그 망(網)은 다목적(多目的) 측지망(測地網)이라 불리며, 각 나라의 기준체계(基準體系)에 따라 18세기(世紀)부터 설정(設定)되어 오늘날까지 유지 관리되어 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 나라 정밀측지망(精密測地網)의 조정체제를 정립하고, 정밀 1차 측지망의 관측자료(1975-1990)를 이용하여 정밀 1차 측지망의 전국(全國) 동시망(同時網) 조정을 실시하여 측지망의 정확도 기준을 제시하였으며, 또한 이를 토대로 오차(誤差) 전파상태(傳播狀態) 및 국토의 수평지각(水平地殼) 변동(變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일부지역에서 실용성과(實用成果)의 부정합(不整合)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측지망의 강도(强度) 강화 및 지각변동(地殼變動) 조사를 위한 보충관측 및 반복측량이 요망된다.

  • PDF

GPS에 의한 제주지역의 측지기준망 정확도 분석 (Accuracy Analysis on Geodetic Network in Jeju area using GPS)

  • 강상구;정영동;양영보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65-74
    • /
    • 2006
  • 인공위성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은 각종 공간정보의 취득과 이를 응용하는 다양한 분야에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특히 GPS를 이용한 위치결정은 국가 기준계가 세계좌표계로 전환되는 시점을 맞이하여 더욱 활성화 될 전망이다. 현재 국토지리 정보원에서 발급하는 삼각점에 대한 성과는 신성과와 구성과로 구분하고 있고 2007년 부터는 전면 세계좌표계로 전환할 예정에 있다. 현재 제주지역의 삼각점은 최초, 복구 또는 재설한 삼각점 성과 차이로 인해 측량자 들이 그 성과를 이용함에 있어 많은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주지역의 현행삼각점간 부합관계를 점검하기 위해 1, 2등 삼각점을 기준으로 최초 측량 당시의 재 구성하여 GPS 관측을 수행하였다. 관측 후 성과분석을 통해 삼각점간 부합되는 안정점을 추출하고 제주지역에 적합한 측지기준망을 구축하고 그 활용 가능성를 제시하였다.

  • PDF

Coordlinate Transformation Parameter Estimation for Korean Seas and Islands

  • KWON Jay Hyoun;BAE Tae-Suk;CHOI Yoon-Soo
    • Korean Journal of Geomatics
    • /
    • 제5권1호
    • /
    • pp.21-26
    • /
    • 2005
  • According to revisions of survey law taking effect on January 1, 2003, the Korean geodetic datum has been changed from a local geodetic to a world geodetic system. In this study, the datum transformation parameters especially for the maritime geographical data are determined. From database constructed through MGIS, a total of 492 coordinate pairs were selected and used in the parameter determination after outlier testing. Based on the parameter estimation, the Molodensky model is selected for datum transformation. For higher accuracy, Application of network optimization and a least squares collocation with Gaussian model has resulted in the accuracy better than 15 cm in coordinate transformation.

  • PDF

국가기준점 망조정의 점검 및 평가 (Examination and Evaluation of Results of the National Wide Horizontal Network Adjustment)

  • 이영진;최윤수;권재현;이흥규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3-46
    • /
    • 2007
  • This paper focuses on examining and evaluating recent results of the national wide horizontal network adjustment which has carried out with respect to the Korean Geodetic Datum 2002 (KGD2002). To do this, 137 geodetic control points were observed by modem GPS technology. After processing all the observations, their outcomes are compared with ones provided by the national wide network adjustment. Results of GPS network show that RMSE is ${\pm}2.7cm\;and\;{\pm}6.5cm$ in horizontal and vertical component,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ones from comparison with EDM network indicate that RMSE is ${\pm}3.0cm$ in horizontal component.

  • PDF

Weight Factor를 고려한 복합측지망의 정확도 해석 (The Accuracy Analysis of Combined Geodetic Network Considering the Weight Factor.)

  • 강준묵;이진덕;이용창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9-27
    • /
    • 1988
  • 정확하고도 신속한 수평위치해석의 조정기법들이 다양하게 그동안 연구, 개발되어 왔다. 보다 정밀한 E.D.M, electronic total station등과 같은 신측정장비의 개발은 각, 거리의 측정에 있어 종래의 측량 방식에 비해 많은 이점을 제공하고 있으므로 앞으로 각과 거리를 동시에 적용하여 조정하는 기법의 활용이 기대된다. 본 연구는 복합측지망을 구성하여 각, 거리, 방위각 및 기준점 좌표 등 weight factor의 변화에 따른 조합조정기법의 특성을 삼각, 삼변측중과 비교하여 고찰한 것이다. 각 기법의 표준오차를 다양하게 비교한 결과 복합 측지망에서도 타 기법에 비해 조합조정기법의 우월성 및 적용타당성이 입증되었다.

  • PDF

국가기준점망의 고밀도화를 위한 결합체계 (Junction Schemes for the Densified Control Network)

  • 이영진;이석찬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7-34
    • /
    • 1989
  • 측지 기준점망은 점의 쉬치를 결정하고 지구의 형상을 구하기 위하여 200여년 동안 구성되어 오고 있으며 카 나라의 실정에 적합한 체계를 갖고 있다. 이 논문은 기설망의 정확도가 기지이거나 미지인 경우에 대하여 국가기준점망의 고밀도화를 위한 결합체계를 제시하였다. 부분적으로 $X^TX$=min.의 조건이 만족되는 제약망의 조정개념을 적용하였으며, 변동점의 검출을 위하여 최근 변위측량 분야에서의 측량시기별 분석방법을 도입하였다.

  • PDF

GPS망조정에 의한 세계측지계의 3등기준점 성과산정 (The 3rd order GPS Network Adjustment to Determine KGD2002 Coordinate Sets)

  • 이영진;이흥규;정광호;송준호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81-84
    • /
    • 2007
  • This paper describes general procedure and results of the GPS 3rd odor network adjustment which has been carried out for determining coordinates sets with respect to new Korean Geodetic Datum, so-call Korean Geodetic Datum 2002 (KGD 2002). The adjustment begins with minimally constrained adjustments with respect to each of the 69 campaign networks. This was followed by constructing and adjusting sixteen block network. After detecting and removing outliers in the observation file, an attempt was made by applying the empirical stochastic modeling techniques used in the 2nd order network adjustment, so as to determine the magnitude of absolute and relative error for the estimated baseline vector from the GPS data processing. The over constrained adjustment were, in sequence, performed against each of the block network. In this adjustment, both of the 2nd order control points in the block network and the 3rd order control points overlapped with adjacent network whose coordinates were already determined from a preceding adjustment. The final adjustment results have shown that the accuracy of the 3rd order network adjustment was better than 1cm and 2cm in horizontal and vertical component, respective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