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nerational Differences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6초

Generational Differences in Ethnicity Maintenance of Korean-Chinese Ethnic Minority

  • Cho, Bok-Hee;Lee, Joo-Yeon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8권1호
    • /
    • pp.95-107
    • /
    • 2007
  • The present study examined generational differences in ethnicity maintenance among Korean-Chinese to understand the impact of recent social change on a Korean-Chinese ethnic community in China. A total of 1355 Korean-Chinese (557 parents and 798 children), who live in Shenyang, China,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asked about their language use during daily conversations and cultural activities. They were also asked about their ethnic identity and perceptions of social distance from Chinese people. The results reveal that the Korean-Chinese parent generation is more likely to maintain its ethnic language, while the child generation is more likely to maintain its ethnic culture. Second, more parents than children considered themselves as 'Korean-Chinese' rather than 'Chinese'. Third, members of the child generation show less social distance from Chinese people than do the parent generation. These results show a strong tendency towards ethnicity maintenance among Korean Chinese as well as recent changes in the community. This study argues for the importance of school education and school environment in maintaining the ethnic language and culture of Korean-Chinese children.

편지글 읽기에 나타난 한국어 모음 /오/-/우/의 세대간 차이 (Cross-Generational Differences of /o/ and /u/ in Informal Text Reading)

  • 한정임;강현숙;김주연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5권4호
    • /
    • pp.201-207
    • /
    • 2013
  • This study is a follow-up study of Han and Kang (2013) and Kang and Han (2013) which examined cross-generational changes in the Korean vowels /o/ and /u/ using acoustic analyses of the vowel formants of these two vowels, their Euclidean distances and the overlap fraction values generated in SOAM 2D (Wassink, 2006). Their results showed an on-going approximation of /o/ and /u/, more evident in female speakers and non-initial vowels. However, these studies employed non-words in a frame sentence. To see the extent to which these two vowels are merged in real words in spontaneous speech, we conducted an acoustic analysis of the formants of /o/ and /u/ produced by two age groups of female speakers while reading a letter sample.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1) the younger speakers employed mostly F2 but not F1 differences in the production of /o/ and /u/; 2) the Euclidean distance of these two vowels was shorter in non-initial than initial position,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Euclidean distance between the two age groups (20's vs. 40-50's); 3) overall, /o/ and /u/ were more overlapped in non-initial than initial position, but in non-initial position, younger speakers showed more congested distribution of the vowels than in older speakers.

간호사의 삶에 대한 가치관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세대에 따른 차이 (Generational Differences in Values of Life and Factors Influencing Turnover Intention among Korean nurses)

  • 이현숙;김영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호
    • /
    • pp.217-228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사 세대별 삶에 대한 가치관의 차이를 확인하고, 간호사 세대별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X-세대, Y-세대, Z-세대 간호사 294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간호사 세대별 가치관의 차이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X-세대와 Y-세대 간호사들은 삶에서 가족생활을 가장 중요한 것으로 생각하였고, 그 다음으로 X-세대는 일을, Y-세대 간호사는 여가시간을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하였다. 반면, Z-세대 간호사들은 삶에서 여가시간을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하였다. X-세대와 Y-세대 간호사들은 직업생활에서 우울과 심리적 부담감이, Z-세대 간호사는 일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이 이직의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각 간호사 세대별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이 다름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결과는 다양한 세대가 함께 일하는 간호조직에서 효과적인 인적자원관리를 위한 정책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그 의의가 있다.

Generational Differences in Children's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 Moon, Ui Jeong;Hofferth, Sandra L.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16권2호
    • /
    • pp.45-61
    • /
    • 2015
  •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time spent with parents and peers on generational differences in children's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in immigrant families. Using the Child Development Supplement and Time Diaries from the Panel Study of Income Dynamics, we found that first and second generation children exhibited fewer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than did third generation children, despite their lower socioeconomic status. First and second generation children spent more time with either one or both parents, and less time with peers, on the weekend day than did third generation children. We found a marginal but beneficial effect of time spent with fathers on the weekday, but not on the weekend day. The implications are that time spent with fathers on weekdays differs from time spent with fathers on the weekend, and that promoting immigrant father involvement on the weekday through school or community programs could benefit immigrant children.

인터넷 이용과 프라이버시 역설에 대한 세대별 차이 연구 (A Study on Generational Differences in the Internet Use and Privacy Paradox)

  • 고흥석;김찬중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2권9호
    • /
    • pp.1046-1054
    • /
    • 2019
  • With regard to the diffusion of mobile Internet service and generational differences for Internet us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net activities and privacy concern based on the media dependency theory. Using the Korea Media Panel data produced by KISDI in 2018, this study analysed 8,988 nation-wide samples to test the difference of Internet use in personal privacy concern among generat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or privacy concern among generations. This study has an implication to reveal the phenomenon of 'privacy paradox' by showing that SNS use negatively influenced users' privacy concern.

대구 방언 단모음의 세대 간 차이에 대한 음향 음성학적 연구 (An Acoustic Study on the Generational Difference of the Monophthongs in the Daegu Dialect)

  • 장혜진;신지영
    • 대한음성학회지:말소리
    • /
    • 제57호
    • /
    • pp.15-30
    • /
    • 2006
  • This paper investigates differences between generations in the vowel system of the Daegu dialect in terms of F1 and F2 of the monophthongs. Three different groups of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20 female native speakers of the Daegu dialect(10 in their 20's and 10 in their 40's), and 10 female native speakers of the Seoul dialect as a control group. It has been assumed that the Daegu dialect has six vowels. However, younger generation appears to have 7 vowels different from older generation. The result of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the Daegu dialect has different vowel systems between generations: for 40's have six vowels and 20's have seven vowels. These differences seems to be attributed to the influence of the Seoul dialect.

  • PDF

성공적 노화에 대한 세대별 인식 조사연구: 사회관계를 중심으로 (The Survey Research on Inter-Generational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 An Emphasis on the Social Relationships)

  • 정병은;이기홍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11권2호
    • /
    • pp.45-69
    • /
    • 2010
  • 한국사회는 빠른 속도로 변화하기 때문에 세대별로 노화에 대한 경험과 기준이 다르고 성공적 노화의 의미도 다르게 인식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사회관계를 중심으로 성공적 노화의 의미를 조사하여 세대별로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비교하여 설명한다. 이를 위해 구조화된 설문지에 의한 면접조사로 수집된 전국 만 20세 이상 성인 1,000명의 응답자료를 분석하였다. 사회관계의 영역은 부부 관계, 부모-자녀 관계, 직계가족외 관계, 자녀에 대한 기대로 구분되었고, 세대는 식민지 전쟁 세대, 복구 부흥기 세대, 민주화 세대, 정보화 세대로 구분되었다. 분석결과, 성공적 노화에서 자녀에 대한 기대가 매우 중요한 것으로 인식되고, 부모-자녀 관계 및 자녀에 대한 기대를 중심으로 세대별 인식차이가 발견되었다. 주로 식민지 전쟁 세대, 복구 부흥기 세대와 민주화 세대, 정보화 세대의 차이로 대비되며, 세대효과는 세대의 구성적 특성을 통제한 후에도 여전히 유효하다. 이러한 세대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세대 간 이해를 높이고, 세대의 특성에 따른 고령화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 PDF

세대연구의 이론적.방법론적 쟁점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Issues in the Study of Generations)

  • 박재홍
    • 한국인구학
    • /
    • 제24권2호
    • /
    • pp.47-78
    • /
    • 2001
  • 이 연구의 목적은 세대 연구의 이론적·방법론적 쟁점들을 만하임의 시각을 중심으로 하여 비판적으로 검토함에 있다. 여기에서 검토할 쟁점들은 1) 세대의 개념, 2) 세대 형성의 기반, 3) 세대의 내적 분화, 4) 세대간 경계선 설정의 문제, 5) 세대차이와 세대갈등 개념에 관련된 쟁점 등이다. 이러한 쟁점들의 검토 결과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결론을 얻게 되었다. 첫째, 세대문제에 관한 만하임의 개념과 이론이 매우 유용하고 지식사회학적인 통찰력이 돋보인다는 점이다. 둘째, 그의 이론이 사회운동을 설명하기에는 적절하지만 그와 직접적 관련이 없는 일반적인 세대문제를 다루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개념과 이론화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만하임의 이론을 보완하기 위하여 이 논문에서 새로이 제시한 점은 1) 세대의 보다 일반적 수준에서의 개념화, 2) 세대내 분파 개념의 도입, 3) 세대차이·세대갈등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개념적 이해의 필요성 제시, 4) 현재적-잠재적 세대갈등의 개념 구분 등이다.

  • PDF

한국인의 세대별 복지태도지형 탐색 연구 (A Exploratory Study on Topography of The Welfare Attitudes among Korean People by Generation)

  • 김신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189-193
    • /
    • 2021
  • 이 연구는 한국인의 세대별 복지태도 지형에 대한 탐색을 목표로 한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현재를 살아가는 한국인이 가지는 복지에 대한 태도 측면이 세대에 의해 어떻게 분화되고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묘사하는 데 집중하고자 한다. 분산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복지지출 확대에 대한지지', '사회서비스 대상(보편 vs 선별)', '교육지출 확대', '주거지원 확대', '양육 및 보육 지원', '청년사회활동지원', '실업 및 고용지원'에서 세대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후비교(post hoc comparison)분석에 따르면, 모든 변수들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20-30대'와 '60대 이상' 집단 간의 차이에 기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응일치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사회문제 해결의 1순위'의 경우 '20-30대'는 '양육 및 보육', '실업문제', 주거문제'와 근접성을 보이고 있으며, '60세 이상' 세대는 '빈곤문제'와 '노후생활문제', 그리고 '장애인문제'와 근접성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문제 해결의 2순위'의 경우, '20-30대'는 '양육 및 보육',과 '주거문제'와 근접성을 보이고 있으며, '40-50대'는 '빈곤문제'와 '노후생활문제', '60세 이상' 세대는 '건강 및 의료문제' 및 '장애인문제'와 근접성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