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General Light Source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27초

공간능력에 대한 신경과학적 모델 개발 및 빛과 그림자 문제 해결 과정에의 적용 (Development of Neuropsychological Model for Spatial Ability and Application to Light & Shadow Problem Solving Process)

  • 신정윤;양일호;박상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371-390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공간능력 구성요소에 대한 신경과학적 모델을 개발하고, 빛과 그림자 관련 과학 과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의 두뇌 활성 영역을 신경과학적 모델에 기반하여 영역 일반적 능력과 영역특수적 능력으로 구분하여 설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남자 대학생 24명이 공간능력 검사지 문항과 빛과 그림자 과제를 해결하는 동안의 시선이동과 EEG를 동기화하여 측정하였으며, 과제 해결 전략에 대한 사후면담과 RVP를 실시하였다. 시선 이동, 두뇌 활성 영역, 참여자의 사고 과정과 전략을 통합하여 공간능력 구성요소에 대한 신경과학적 모델을 개발하고, 빛과 그림자 관련 과제 해결 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 시각화와 심적 회전 요소는 주로 두정엽의 활성을 필요로 했으며, 공간 방향화 요소는 전두엽의 활성을 필요로 했다. 구체적으로, 공간 시각화 요소는 문제를 탐색하는 과정에서 전두엽이 활성화되었고, 문제와 답지를 비교하는 과정에서 측두엽과 두정엽이 활성화되었다. 심적 회전 요소는 회전된 정보를 탐색하는 구간에서는 전두엽이, 심적 회전을 할 때에는 두정엽이, 문제와 답지를 비교하는 구간에서는 측두엽이 활성화되었다. 공간 방향화 요소는 문제를 탐색하는 과정과 문제와 답지를 비교하는 과정 모두 전두엽이 활성화되었다. 둘째, 빛과 그림자 과제를 해결 할 때에는 영역 일반적 기능인 공간 능력과 과학적 원리를 적용하는 영역 특수적 사고가 함께 필요하였다. 평행광의 그림자 모양 추론과 빛의 방향이 바뀔 때의 그림자 모양을 추론에서의 두뇌 활성 패턴은 공간 시각화 요소에 대한 신경과학적 모델과 유사하였다. 여러 방향에서의 그림자를 통해 원래 물체를 추론할 때에는 공간 방향화 요소, 점광원의 그림자 모양을 추론할 때에는 공간 시각화 요소에 대한 신경과학적 모델과 두뇌 활성 패턴이 유사하였다. 빛과 그림자 과제를 해결할 때 추가적으로 활성화 된 부위는 주로 연역적 추론, 작업 기억, 행동에 대한 계획 기능을 담당하는 중측두이랑, 중심앞이랑, 하전두이랑, 중전두이랑이었다. 따라서 빛과 그림자 과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는 공간능력 외에도 그림자 생성 원리를 기반으로 한 연역적 추론, 빛의 진행 방향을 작업 기억에 유지시키는 것, 광원의 특징에 따른 과제 해결 과정 계획, 빛-물체-스크린의 공간적 관계 인지 등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ESS를 이용한 기상변화의 파장별 LED 항공유도등 동작특성 (The Operation Characteristic of the LED Taxi Light for Wavelength According to Meteorological Changes for Hybrid System Using a ESS)

  • 황락훈;김진선;나용주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265-274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태양광과 풍력을 조합한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을 이용하여 승압 쵸퍼와 PWM (pulse width modulation) 전압형 인버터인 전력변환기로 구성하였고, 또한 PWM 전압형 인버터는 태양전지가 연속 발전할 수 없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일반 상용전원과 연계하고 에너지저장장치 (ESS; energy storage system)를 상시 운영하여 공항의 기상 변화에 따른 파장별 LED 항공 유도등을 효율적으로 운용하는 시스템을 구성 하였다. 태양전지에 대한 특성 해석과 수학적 모델링을 통한 시뮬레이션을 행하여 태양전지 특성 사양과 비교하였고, PWM 전압형 인버터와 위상동기를 위해서 계통전압을 검출하여 계통전압과 인버터 출력을 동상 운전하므로 잉여전력을 계통과 연계할 수 있게 하였으며 공항의 활주로, 항공 유도등에 적용하여 양호한 동특성을 얻을 수 있는 제어회로를 동시에 개발하여 항공유도등의 다양성을 추구할 수 있음을 확인 하였다.

지하공동구 내 탈출 유도를 위한 비주얼 시그널 휘도 분석 및 광색 적용 연구 (Visual Signal Luminance Analysis and Light Source Color Application Study for Escape Guidance in Underground Common Duct)

  • 임종민;공효주;신진수;신상욱;유성식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806-816
    • /
    • 2022
  • 연구목적:본 연구에서는 지하공동구 내 실시간 탈출 유도를 위한 비주얼 시그널 표출 광색에 대하여 연기발생 상태의 휘도측정 분석 결과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대기 중의 빛의 산란 특성 및 시인성 이론에 근거한 광학적 기술을 분석하고 탈출 유도를 위한 비주얼 시그널 표출 장치 시작품을 통하여 유도기능으로서의 요소기술을 분류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연기 발생 조건 상태에서 수행한 실험에서 적색, 녹색, 황색 순으로 휘도비가 낮고 가시성이 좋은 것으로 결과가 도출되었다. 단, 본 결과는 연색성이 고려되는 일반 조명과는 다른 결과로 신호용, 감지용 등의 시그널에 국한된다. 결론: 신호용, 감지용 비주얼 시그널의 표출 광색에 대한 연기 발생 이벤트 상황에서의 휘도 측정 결과와 선행 연구에서 실시된 선호도 조사 결과를 모두 반영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연기발생 이벤트 발생 시 적색 또는 녹색의 광색으로 탈출 유도 비주얼 시그널을 적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아동 영재교육시설 교육공간의 실내디자인 특성에 관한 사례조사 및 비교 (A Case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Classroom in Educational Institution for the Gifted Children)

  • 김영훈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123-132
    • /
    • 2011
  • In Korea, special education for the gifted is being activated in school systems, and many researches regarding this special education are being conducted. However, despite its rich research on the programs of this special education, there are almost no research on the institutions layout and spatial design that can utilize them. Considering the heat for education of the present and the researches on education for the gifted so far, this tendency is likely to continue. To study space composition and interior architectural design of children's institution for the gifted, we studied the cases of 5 institutions located in Seoul and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ed. Most institutions for the gifted used most common and technical paint, wallpaper, and PVC for finishing materials. The colors should be carefully selected, too, so that it will increase inquisitiveness and interest of the children, which will develop into creative ability. In the cases studied, color of most walls and furnitures were not very distinctive: they were in light pastel and bright tone. And there were set of desks in many shapes so it can be put in different ways for different purposes. However, there were also desks that are commonly used at schools, which were limited in arranging in various ways. Most cases studied were located in general building and therefore, natural light source was limited. On the part of appliances, supplements should be made so that classes can be carried out using multimedia materials.

내시경용 광섬유 pH 측정 센서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Feasibilit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iber-Optic pH Sensor for Endoscope)

  • 이봉수;홍주영;황영묵;조승현
    • 센서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13-217
    • /
    • 2004
  • The general method to find a H. pylori in the stomach is the rapid urease test but it is only used to decide the infection with H. pylori. In this study, it is tried to develope fiber-optic pH sensor which can be used with gastroscop to quantify H. pylori. To measure the degree of infection with H. pylori, the color change of phenol r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pH is measured by optical fibers with different light sources and the optimum distance from a sample to the end of sensor tip is decided by measuring the maximum reflectivity from a sample. Also the sensitivity study is carried out to decide the optimum light source which has sensitive change of reflectivity to the change of pH. It is expected that the fiber-optic pH sensor which measures the degree of infection with H. pylori exactly can be developed.

적외선 열화상 기술을 이용한 복합재료의 결함 검출 정량화 연구 (Study on the Qualitative Defects Detection in Composites by Optical Infrared Thermography)

  • 박희상;최만용;박정학;김원태;최원종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50-156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현재 산업 전반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복합재료(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의 비파과검사를 위한 광적외선 열화상기법을 이용한 복합재료 측정 표준기술개발을 위한 결함(인클루젼, 충간결함) 검출 기술을 실험하였다. 결함의 검출률을 높이기 위하여 위상잠금 방법을 활용하였다. 결과는 시험편의 두께에 따라 광원의 조사시간을 늘릴 경우 결함 검출의 확률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50 mHz 이하의 광원을 가하였을 때에도 결과값이 좋아지지 않는 점은 열확산이 재료 전체에 영향을 미치게 되면 결함 부위가 전체적으로 열평형 상태가 되어 결함 검출이 어려움을 파악할 수 있었다.

BETTER ASTROMETRIC DE-BLENDING OF GRAVITATIONAL MICROLENSING EVENTS BY USING THE DIFFERENCE IMAGE ANALYSIS METHOD

  • HAN CHEONGHO
    • 천문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89-95
    • /
    • 2000
  • As an efficient method to detect blending of general gravitational microlensing events, it is proposed to measure the shift of source star image centroid caused by microlensing. The conventional method to detect blending by this method is measu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positions of the source star image point spread function measured on the images taken before and during the event (the PSF centroid shift, ${\delta}{\theta}$c,PSF).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centroid positions measured on the reference and the subtracted images obtained by using the difference image analysis method (DIA centroid shift, ${\delta}{\theta}$c.DIA), and evaluate its relative usefulness in detecting blending over the conventional method based on ${\delta}{\theta}$c,PSF measurements. From this investigation, we find that the DIA centroid shift of an event is always larger than the PSF centroid shift. We also find that while ${\delta}{\theta}$c,PSF becomes smaller as the event amplification decreases, ${\delta}{\theta}$c.DIA remains constant regardless of the amplification. In addition, while ${\delta}{\theta}$c,DIA linearly increases with the increasing value of the blended light fraction, ${\delta}{\theta}$c,PSF peaks at a certain value of the blended light fraction and then eventually decreases as the fraction further increases. Therefore, measurements of ${\delta}{\theta}$c,DIA instead of ${\delta}{\theta}$c,PSF will be an even more efficient method to detect the blending effect of especially of highly blended events, for which the uncertainties in the determined time scales are high, as well as of low amplification events, for which the current method is highly inefficient.

  • PDF

Gaussian Model for Laser Image on Curved Surface

  • Annmarie Grant;Sy-Hung Bach;Soo-Yeong Yi
    •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 /
    • 제7권6호
    • /
    • pp.701-707
    • /
    • 2023
  • In laser imaging, accurate extraction of the laser's center is essential. Several methods exist to extract the laser's center in an image, such as the geometric mean, the parabolic curve fitting, and the Gaussian curve fitting, etc. The Gaussian curve fitting is the most suitable because it is based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laser. The width of the Gaussian laser beam depends on the distance from the laser source to the target object. It is assumed in general that the distance remains constant at a laser spot resulting in a symmetric Gaussian model for the laser image. However, on a curved surface of the object, the distance is not constant; The laser beam is narrower on the side closer to the focal point of the laser light and wider on the side closer to the laser source, which causes the distribution of the laser beam to skew. This study presents a modified Gaussian model in the laser imaging to incorporate the slant angle of a curved object. The proposed method is verified with simulation and experiments.

LED 가로등의 발열 패턴 및 전류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rmal Pattern and Current Characteristics of an LED Street Lamp)

  • 김향곤;최충석
    • 전기학회논문지P
    • /
    • 제58권3호
    • /
    • pp.357-361
    • /
    • 2009
  • This study performed analysis on the thermal pattern and current characteristics of an LED ((Light Emitting Diode) street lamp. It did this using a TVS (Thermal Video System) to analyze the LED street lamp's thermal pattern, and measured its characteristics using an oscilloscope. The ambient temperature and humidity during the experiment were maintained at $24{\pm}2[^{\circ}C]$ and 50~60[%]. The capacity of the LED street lamp was 120[W] and nine sets of modules were arranged at uniform intervals. On one module, 24 LED lamps were arranged in a radial pattern. The analysis of the thermal diffusion pattern at the front of the LED lamp showed that the maximum surface temperature was approximately $34[^{\circ}C]$. In addition, there was almost no change in the temperature of the upper cover, and the temperature at the side showed a uniform thermal diffusion pattern.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converter converting AC to DC increased to approximately $46[^{\circ}C]$. The analysis results of the thermal characteristics of one LED indicated uniform thermal characteristics for an initial eight minutes. However, the temperature at the center of the LED increased to approximately $82[^{\circ}C]$ after 12 minutes had elapsed. It can be seen from this that the temperature at the center of the LED was higher than the allowable temperature, $70[^{\circ}C]$ of the insulating material for general electrical devic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sign a lamp in such a way that the plastic insulating material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or get close to the LED lamp. The voltage of the LED lamp converted by the AC/DC converter was measured at DC 27[V] and the current was DC 13[A]. Consequently, it can be seen that in order to secure an adequate light source, it is important to supply a stable current that was greater than the current of other light sources. Therefore, appropriate radiation of heat is required to secure the st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system.

과학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첨단과학기술에 대한 인식 및 관련지식 조사 연구 (A Survey on Perception and Knowledge of Science-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in Middle-school Level about High Technology Related to Science)

  • 김영민;박수경;이승우
    • 영재교육연구
    • /
    • 제20권3호
    • /
    • pp.901-91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과학영재학생들과 일반학생들의 첨단과학에 대한 기본 인식 및 관련 지식을 비교하기 위하여 설문도구를 제작하여 투입한 후 결과를 분석하였다. 과학영재집단은 부산, 울산 지역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소속 중학생 113명이었고 일반학생 집단은 부산광역시 소재 2개 중학교의 159명이었다. 설문문항은 첨단과학에 대한 기초인식 조사와 관련 지식 조사 두 가지 분야로 구성하였다. 기초인식 조사 결과, 첨단과학 전반에 대한 인지도 수준 및 관심과 흥미 측면에서 과학영재학생이 일반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첨단과학에서 알고 싶은 분야, 첨단과학 관련 정보의 출처, 첨단과학에 대한 교수 학습 방법의 선호도 등에서도 과학영재학생과 일반학생 간에 차이가 나타났다. 실생활과 관련이 깊은 첨단기술인 휴대폰과 LED를 소재로 구체적인 지식을 조사한 결과, 안테나 없는 휴대폰과 LED의 배경 지식인 전자기파나 반도체에 대해서 과학영재학생들은 일반학생들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이해도를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