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neral Guard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4초

연안사고 예방을 위한 효율적 안전관리 방안 연구 (A Study on Safety Management Efficiency for Coastal Accident Prevention)

  • 윤병두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6권7호
    • /
    • pp.777-786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연안사고 예방을 위해 연안해역의 효율적 안전관리 방안을 살펴보는 것이다. 최근 연안해역에서 연간 약 800여 건의 크고 작은 연안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이 중 연평균 129명의 사망(실종)자가 발생하고 있어 대책이 필요하다. 이에 연안해역의 안전관리 담당기관인 해양경찰에서는 2014년 「연안사고예방법」을 제정하고, 지방자치단체, 해양수산부, 소방청 등의 관계기관과 협력하여 연안해역을 안전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따라 여가를 활용하여 수상, 수중, 낚시 등의 연안체험·레저활동이 급증하는 것에 비해, 해경의 인력 및 안전마인드가 부족하고, 국민의 안전의식이 미약하며, 관계기관의 관심 저조 및 협력 미흡, 안전관리시설물 부족 등으로 인하여 연안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연안사고 통계자료 등을 토대로 연안해역의 안전관리 실태와 문제점을 고찰하고, 외국의 연안해역 안전관리 사례를 분석하여 해양경찰의 안전마인드 제고 및 역량강화, 관계기관 간 협력 강화, 지자체의 역할 제고, 신기술 적용한 안전관리시설물 확충 및 관리 강화, 해양안전문화 확산, 민관협력거버넌스 활성화 등의 연안해역의 효율적 안전관리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조선시대 가례도감의궤의 반차도에 나타난 복식 연구 (A Study of Costume Through the Ban-cha-do in the Ka-rae-do-gam-eui-gue of the Yi Dynasty)

  • 김정진;백영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85-97
    • /
    • 1990
  • This study investigates, through the Ka-rae-ban-cha-do(가예반차도) in the Ka-rae-do-gam­eui-gue (가예도감의궤), how the system of costume used in ceremony exchanged during the middle, late the Yi dynasty and in the period of introducing Wastern civilization. The procedure of the royal marriage is also studied here. The procedures of Ka-rae were divided into the six traditional etiguettes(륙예) : Nap-che (납채) , Nap-gyng(납징), Go-gi(고기), Chaik-bi(책비), Chin-young(친영), and Dong-roe(동뢰). The change of the general structure and characteristic of the costume used in the ceremony in Ka-rae-ban-cha-do are as follows: The costume in Ka-rae-ban-cha-do can be divided into the Guard costume (호위복식) and the Ceremonial arms costume (의장복식). The most formal attire of the Guard costume, Yangkwan-Chobok (양관-조복) and Samo -Danryeong(사모-단령) with Huygpai(흉배) can be seem only in the Ka-rae of late king's. Of the Ceremonial arms costume, the most outstanding was Hongkun- Hongeui (홍건-홍의), which showed up in almost all Ka-rae-ban-cha-do. Heukkun-Changos$\cdot$Deogrei (흑건-창옷$\cdot$더그레) were worn as well. In the style of costume emphasis convenience and practicality rather than on beauty, because they had to carry the arms used in ceremony with them nevertheless by using primary colors it was very colorful. This costume in Ka-rae-ban-cha-do has little difference, but great changes are shown in Sunjongsunjongbi Ka-rae-ban-cha-do (순종순종비가례반차도). Most costume of the past was replaced with western hat and suit, so the duplicate state of our costume and western costume came into existence during the period of introducing western civilization.

  • PDF

영상보안을 위한 머리와 얼굴의 간단한 영역 분리 및 얼굴 특징 추출 (Simply Separation of Head and Face Region and Extraction of Facial Features for Image Security)

  • 전영철;이건익;김강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125-133
    • /
    • 2008
  • 사회가 발전할수록 공공장소에서 개인 및 시설물의 안전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진다 기존의 주차장, 은행, 공장 등 보안이나 범죄 예방이 요구되는 지역은 넘어서 일반 기관, 개인의 주택까지 감시 및 보안에 대한 투자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 논문은 얼굴인식에 있어서 중요한 얼굴 영역과 머리 영역을 칼라변환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분리하는 방법과 얼굴특징 추출을 제안한다. 먼저 입력영상에 대한 CMYK영상 중 K영상을 가지고 머리 영역을 분리한 후에 YIQ영상의 Y영상과 머리 영상과의 칼라변환을 이용하여 얼굴영역을 분리한다 머리영상에 Log 연산을 한 후에 라벨링을 이용하여 얼굴의 특징들을 추출한다. 뚜렷하게 분리된 머리와 얼굴영역은 머리와 얼굴의 형태를 쉽게 분류할 수 있으며, 쉽게 특징점을 찾을 수 있게 한다. 제안한 방법의 알고리즘을 이용하면 중요성이 요구되는 보안 관련 시설에서 사람을 감시하거나 인식하는데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A Study o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of the Private Security Recruitment Process

  • Kim, Myung-Soo;Min, Byung-Nam;Lee, Seung-Hwan;Kim, Sung-Hee;Kim, Jae-Ho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12호
    • /
    • pp.179-185
    • /
    • 2021
  • 민간경비는 경찰과 범죄예방이라는 공통된 업무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우리 사회의 안전을 담당하고 있다. 하지만 민간경비의 채용과정은 경찰과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찰의 채용과정을 통하여 민간경비의 채용과정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경찰의 채용과정을 비교하여 살펴본 결과, 민간경비의 채용은 교육훈련을 통하여 채용이 진행이 되며, 경비업무에 필요한 교육과정 및 체력 검증 등에 문제점이 조사되었다. 이러한 민간경비의 채용과정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형법 및 범죄학의 교육과정, 100m 달리기와 좌우 악력 등의 체력검사 그리고 경비업무 실무 사례 등이 추가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우수한 경비원 채용과 더불어 민간경비 산업의 발전에 기초자료가 되었으면 한다.

A Portable Surface Plasmon Resonance Biosensor for Rapid Detection of Salmonella typhimurium

  • Nguyen, Hoang Hiep;Yi, So Yeon;Woubit, Abdela;Kim, Moonil
    •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 /
    • 제25권3호
    • /
    • pp.61-65
    • /
    • 2016
  • Here, the rapid detection of Salmonella typhimurium by a portable surface plasmon resonance (SPR) biosensor in which the beam from a diode laser is modulated by a rotating mirror is reported. Using this system, immunoassay based on lipopolysaccharides (LPS)-specific monoclonal anti-Salmonella antibody was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orientation-controlled immobilization of antibodies on the SPR chip surface, the cysteine-mediated immobilization method, which is based on interaction between a gold surface and a thiol group (-SH) of cysteine, was adopted. As a result, using the portable SPR-based immunoassay, we detected S. typhimurium in the range from 10^7 CFU/mL to 10^9 CFU/mL within 1 hour.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portable SPR system could be potentially applied for general laboratory detection as well as on-site monitoring of foodborne, clinical, and environmental agents of interest.

경호경비계약의 법적 구조 및 분쟁의 예방과 해결 방안 (The Legal Structure of Guard & Security Contract and the Prevention & Resolution Method of Security Disputes)

  • 안성조
    • 시큐리티연구
    • /
    • 제11호
    • /
    • pp.129-157
    • /
    • 2006
  • 급속한 사회변화와 함께 사회적 위험요소가 고조되면서 이에 대한 안전문제가 크게 대두되고 있다. 이에 안전욕구의 증대에 따라 위험에 대비하는 치안서비스를 제공하는 민간경호경비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이에 따른 경호경비업도 발달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경호경비계약에 대한 법률 구조를 파악하여 경호경비업자와 의뢰자 사이에 발생 가능한 분쟁을 예방하거나 해결하기 위하여 계약의 성립과 그에 따르는 문제점을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경호경비관계에 따르는 분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경호경비 계약을 체결하여 그 합의내용을 명확히 문서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기에서 본고에서는 각 당사자간에 자율적으로 체결하는 경호경비계약조건을 표준화하는 방안 중에서 분쟁해결조항의 표준모델을 제시 하고자 한다. 특히 당사자 간 사법상의 분쟁을 해결하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합의에 의한 방법이 최선이겠으나, 불가피한 경우에 재판에 의한 소송에 의한 해결보다는 중재를 통한 해결 방안을 권고한다. 당사자가 중재로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경호경비 계약서에 중재조항을 삽입하여 체결해야 한다. 실제 경호경비업계에서 이데 대한 적용성 시험 및 평가를 거쳐서 이를 경호경비 표준계약서로 제정하여 업계 전반에 확대 적용을 추진하고자 한다.

  • PDF

경호 전공 대학생의 무도학습 참여양식이 전공만족도 및 대학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Participation Style of Martial Art Classes in Students Majoring in Guard on Both Major Satisfaction and Adapt to School Life)

  • 권창기;한승훈;김병찬;최봉준;이권호
    • 시큐리티연구
    • /
    • 제41호
    • /
    • pp.97-121
    • /
    • 2014
  • 이 연구는 경호학을 전공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무도수업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학습양식을 파악하여 이러한 특성이 전공 만족도와 대학 생활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지를 분석하였다. 경호학 전공 남녀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총 285명을 대상으로 무도학습 참여양식, 전공 만족도, 대학생활적응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무도학습 양식이 전공 만족도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무도학습 참여 양식의 하위요인 협동적, 참여적 양식이 전공만족도의 일반만족, 교과만족, 관계만족, 인식만족 모두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도학습 참여 양식은 하위요인인 협동적, 경쟁적, 참여적 양식이 학교생활적응의 학업적, 사회적, 대학 환경적 적응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만족도의 하위요인인 일반만족이 대학생활적응의 학업적응, 사회적 적응, 대학 환경적 적응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경호관련학과 대학생의 진로의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tudents' consciousness regarding their plans after graduation Education of Guard and Security Major)

  • 김창호;정정석;이영오
    • 시큐리티연구
    • /
    • 제11호
    • /
    • pp.21-36
    • /
    • 2006
  • 본 연구 목적은 국내 경호관련학 전공 대학생들이 경호관련 학과를 선택한 동기, 입학후 전공 교화과정에 대한 만족 정도, 교육을 통한 취업관련 여부, 전공과 직업, 진로에 대한 의식, 직업 선호도에 대한 전반적인 실태파악하여 학생들의 진학 및 진로에 도움이 주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4년제 대학(4개교)의 경호관련학과에 재학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할당표본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총 340부를 배부하여 298부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실태파악에는 빈도분석 및 집단간 차이는 독립 t-test검증, 일원 변량분석을 하였으며, 검증결과에 대한 유의성기준은 p<0.05로 설정하였다. 분석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경호 관련학과 선택에 따른 학생들의 만족도분석결과 남자의 평균이 2.42이고, 여자의 평균이 2.10으로, 여자가 남자에 비해서 학과 선택 만족도가 높았다. 둘째, 경호관련 대학생들의 교과과정 만족도, 전공수업, 학과분석의 결과 성별에 따른 만족도의 평균 차이는 교과과정 만족도는 남자 평균이 2.63이고, 여자의 평균이 2.88으로 나타나 남자가 여자보다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2년제의 평균이 2.48이고 4년제의 평균이 2.74이므로 통계적으로 2년제 대학이 4년제 대학 보다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호관련 대학생들의 전공교육과 취업관계 분석에서 교과과정 개선과 학력간 분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이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즉 2년제 평균이 3.23이고, 4년제 평균이 3.56으로 나타났다. 학년이 높을수록 교과과정 개선의 필요성이 높았다. 학교에서 취업을 위한 편의 제공에 대해 남자 평균은 3.74, 여자의 평균은 4.07으로 남자보다 여자가 더 제공해주기를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정보제공 정도에 대해서는 남자가 2.96, 여자가 2.59로 남자가 여자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취업 준비를 위해 중점적으로 준비하는 것으로는 어학 공부가 40.4%로, 취업에 대한 자신감에서는 긍정적인 응답이 39.6%로 나타나 14.0%로 나타난 부정적인 응답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경호관련 대학생들의 직업 선호도에 대해 49.2%가 공경호 분야를 선택해서 안정적인 직종을 원했고, 34.0%가 민간경호, 사설 경비업체를 선택하였다. 또한 공경호쪽에서의 희망 직종으로는 대통령 경호가 28.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민간경호 부분에 있어서는 21.2%가 민간 경호, 경비업체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Factors Influencing Intra-Operative Body Temperature in Laparoscopic Colectomy Surgery under General Anesthesia: An Observational Cohort

  • Kong, Mi Jin;Yoon, Haesang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9권3호
    • /
    • pp.123-130
    • /
    • 2017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intra-operative core body temperature (CBT), and to develop a predictive model for intra-operative CBT in laparoscopic abdominal surgery. Methods: The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involved 161 subjects, whose age, weight, and height were collected. The basal pre-operative CBT, pre-operative blood pressure, and heartbeat were measured. CBT was measured 1 hour and 2 hours after pneumoperitoneum. Results: Explanatory factors of intra-operative hypothermia (< $36^{\circ}C$) were weight (${\beta}=.361$, p< .001) and pre-operative CBT (${\beta}=.280$, p= .001) 1 hour after pneumoperitoneum (Adjusted $R^2=.198$, F= 7.56, p< .001). Weight was (${\beta}=.423$, p< .001) and pre-operative CBT was (${\beta}=.206$, p= .011) 2 hours after pneumoperitoneum (Adjusted $R^2=.177$, F= 5.93, p< .001). The researchers developed a predictive model for intra-operative CBT ($^{\circ}C$) by observing intra-operative CBT, body weight, and pre-operative CBT. The predictive model revealed that intra-operative CB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body weight and pre-operative CBT. Conclusion: Influence of weight on intra-operative hypothermia increased over time from 1 hour to 2 hours after pneumoperitoneum, whereas influence of pre-operative CBT on intraoperative hypothermia decreased over time from 1 hour to 2 hours after pneumoperitoneum. The research recommends pre-warming for laparoscopic surgical patients to guard against intra-operative hypothermia.

인체보호용 헬멧의 구조 및 기술 (Structure and Technology of Personal Protection Helmets)

  • 황재형;정원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771-781
    • /
    • 2017
  • The helmet is an imperative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This protective device must be able to guard the human head against potential risks. Helmets are classified according into the purpose of use; therefore, the required performance and specifications depend on the type of products. Military helmets are intended to protect the wearer's head from bullets and shrapnel. Generally, lightweight super fibers and fiber reinforced composite materials are used as helmet shell materials, and NIJ STD of U.S. Department of Justice is most widely used as international standard related to bulletproof helmets. Safety helmets are widely used for industrial application and sports leisure. In general, the performance of shock absorption must be ensured, and various lining systems are applied in material, design, and combination methods. Evaluation standards have also been classified and strictly controlled for each purpose;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certify with the existing standards such as the recently developed convergence helmets. However, it is possible to launch the product through a separate national integrated certification proced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