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nder Inequality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3초

중국결혼이주여성들의 한국에서 양성평등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gender equality experience of Chinese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

  • 정상우;황해영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657-666
    • /
    • 2018
  • 본 연구는 중국계 결혼이주여성들은 결혼생활에서 양성평등에 대해 어떠한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문제점은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연구를 위하여 한국인 남성과 결혼한 중국계 결혼이주여성 5명을 심층 인터뷰하였다. 연구방법은 질적연구방법인 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5명의 연구참여자들의 이주전 양성평등 인식과 이주 후 양성평등 갈등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결혼이주여성들의 양성평등 인식차이로 나타나는 부부갈등은 본국의 가족생활문화, 남편과의 만남의 경로, 남편의 중국문화에 대한 이해 정도에 따라 각각 다른 양상으로 드러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연구참여자들은 한국사회에 적극적으로 동화하려는 시도로 불평등을 감수하면서도 한국형 가부장제에 순응하는 모습의 형태로 한국형 여성가치관을 수용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다. 그리고 그중 일부는 한국인 남편의 가부장적 가치관 때문에 가정이 파탄되는 결과를 가져오기도 하였다. 이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사회 다문화가정 양성평등에 있어서 문제점은 무엇인지 그리고 개선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Perceptions of the Public on Women's Education and Employment: Evidence from the World Values Survey, 2016

  • Dom, Vannak;Yi, Gihong
    •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 /
    • 제5권4호
    • /
    • pp.302-318
    • /
    • 2018
  • This study is an attempt to explore the perceptions of the public on women in higher education and employment, using data from the World Value Survey, had 90,350 respondents, of which 48.03% are male (N=43,391) and 51.87% are female (N=46,878). This study indicated that women, younger people, upper class people, religious people, and married people are more likely to have strong views against women's education and employment.

Women, Feminism, and Confucianism in Vietnam in the Early 20th Century

  • Lan, Cao Kim
    • 수완나부미
    • /
    • 제11권1호
    • /
    • pp.185-202
    • /
    • 2019
  • The early years of the twentieth century introduced Vietnam, then a French colony, to feminism, which helped expose the problem of suicide among women, prostitution, and the trafficking. This article surveyed writings in three influential newspapers published for and by women, namely, "Phụ Nữ Tân Văn" (PNTV) (Woman's Newspaper) 1929-1934,"Phụ nữ Thời Đàm" (PNTĐ) (Women's Discussions on Topical Questions) 1930-1934, and "Đàn Bà"(ĐB) (Women) 1939-1945. The writings were analyzed to illustrate how feminism was perpetrated in this period, and how the writers were able to reconcile it with prevalent Confucianism, which this paper also argued as having put in place, gender inequality.

  • PDF

남.녀 대학생의 강간통념 수용도, 성역할 고정관념에 대한 연구 (Analysis of Rape Myths Acceptance and Gender Role Stereotype among Female and Male University Students)

  • 오숙희;강희순;김윤희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49-257
    • /
    • 2010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analysis of rape myths acceptance and gender role stereotype among university students. Method: First-year students at two three-year colleges in Jeonnam and two three-year colleges in Jeonbuk (n=406) were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Of these, responses from 386 (95.8%) were analyzed. Result: Rape myths acceptance in male stud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female students (t=5.400, p=.00). In terms of gender role stereotype, male stud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female students (t=3.869, p<.001). The relationship between rape myths acceptance and gender role stereotype was in the middle range of correlation: male student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r=.520 (=p<.001), and female students' was r=.524 (p=<.001).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university students' attitudes toward sex have not been properly established yet. Moreover, they highlight that in our society there still exists a male dominated social structure and inequality of sexes. To prevent sexual violation from occurring at the universities, it is necessary that programs to establish proper attitudes of students toward these two factors, should be developed and the results monitored frequently. In addition, cross sectional studies aimed at understanding rape myths acceptance and gender role stereotypes are needed.

성별 격차가 경제구조 고도화 및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Gender Gap on Economic Structural Improvement and Economic Growth)

  • Kim, Sangyoon;Seo, Jonggook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499-510
    • /
    • 2017
  • 본 연구는 세계경제포럼에서 매년 발간하는 "The Global Gender Gap Report"의 전 세계 145개 국가를 대상으로 젠더 갭의 요인을 살펴보고 소득성장과 경제구조 고도화와의 관계를 회귀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젠더 갭의 요인 중 성비는 소득성장의 지표인 GNI 성장률과 경제구조 고도화의 지표인 ICT 개발지수에 정(+)의 관계를 보였고, 여성문맹률은 소득성장에만 유의미한 부(-)의 관계를 보였다. 여성국회의원비율은 소득성장에만 유의미한 정(+)의 관계를 보였고, 여성노동참여율은 경제구조 고도화에만 유의미한 정(+)의 관계를 보였다. 이 분석 결과를 통해 여러 국가들은 다가올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여성노동에 대해 고민하며 대응하기 위한 제도 및 정책을 바탕으로 한 전략수립의 과제를 수립할 필요가 있다.

'돌봄민주주의' 관점에서 본 보육정책 (Analysis Of Childcare Policy From a Caring Democracy Perspective)

  • 백경흔;송다영;장수정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57호
    • /
    • pp.183-215
    • /
    • 2017
  • 본 논문은 돌봄민주주의 관점에서 중앙정부의 보육정책을 규범적 접근으로 분석했다. 저출산 고령화로 인한 돌봄공백이 신사회 위험으로 등장하면서 경제성장 중심에서 돌봄가치 중심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는 사회적 인식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돌봄윤리가 개별 정책에 어떤 방식으로 반영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구체적인 정책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못해왔다. 이에돌봄민주주의 관점의 '자유', '평등', '정의' 가치를 적용해서 보육정책을 분석하고 새로운 정책지향을 제시하고자 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자유 관점에서, 현재 보육정책은 자유선택의 제약으로 인해 공공성과 사회연대성이 담보되지 못하고 있다. 둘째, 평등관점에서 성별및 소득불평등으로 인한 계층화는 인종과 세대의 축이 더해지면서 더욱 복잡하고 다층적인 불평등을 초래했으며, 사적 돌봄의 악순환이 나타나고 있다. 셋째, 정의관점에서 과거로부터 축적되어 온 부정의는 조정을 통해 교정되지 못하면서 구조적 불평등이 오히려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남녀의 가족 역할 점유와 건강 문제 (Family Role Status and Physical/Mental Health of Men and Women : Who is More Vulnerable?)

  • 차승은;한경혜
    • 한국인구학
    • /
    • 제29권2호
    • /
    • pp.167-194
    • /
    • 2006
  • Jesse Bernard(1973)와 Gove(1972)등이 결혼과 부모됨이 여성의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발표한 후, 성 차별성 관점은 극히 최근까지 서구는 물론이고 우리나라에서도 성과 가족 그리고 건강 문제를 바라보는 일반적인 관념으로 자리 잡아 왔다. 이후 가족 역할과 건강 그리고 성의 연계에 대한 다양한 논의들이 진행되어 왔지만, 실증 연구의 부재로 남녀 차이가 무엇이며, 그 차이는 어느 정도인지에 대한 정보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차별성 관점 이외의 다양한 관점들을 함께 살펴보면서, 현재 한국 사회에서 결혼을 하고 부모가 되는 일련의 가족 역할 수행 경험이 남성과 여성의 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관련성에서 남녀 차이는 무엇인지, 어떠한 사회적 설명이 가능한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있다. 결혼 및 부모 지위의 점유가 남녀의 건강 문제에 갖게 되는 혜택과 비용을 알아보기 위해, 각 역할의 점유 여부의 조합 형태로 현재 수행하고 있는 가족 역할 유형을 알아보았고 각 유형별 신체 및 정신 건강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남성과 여성 모두에서 결혼 지위와 부모 지위를 함께 가지고 있는 유형은 다른 어떤 역할 유형들(역할 없는 유형, 부모지위만 있는 유형, 결혼 지위만 있는 유형)보다 신체 정신 건강이 더 양호하였다. 성차도 발견할 수 있었는데, 결혼이나 부모 지위를 점유하지 않았을 때 취약해지는 건강의 차원이 성에 따라 달랐다. 또한 건강에 특별히 더 부담이 되는 역할 조합도 성에 따라 상이하였다.

성별에 따른 젠더 관련 이슈 인식 격차 감소를 위한 대학 교육의 필요성: 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The Necessity of Education to Reduce the Perception Gap on the Gender-Related Issue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Focusing on the Case of K University)

  • 전승봉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409-417
    • /
    • 2023
  • 본 논문의 목적은 K대학 학생들의 성별에 따른 젠더 관련 이슈에 대한 인식 차이를 살펴보고 대학 교육 체계 내에서의 대응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첫째, 남성은 여성에 대한 구조적 차별은 존재하지 않고 역으로 남성이 차별 받고 있다고 생각하는 반면, 여성의 경우 이와는 반대되는 인식을 보이고 있다. 둘째, 여성의 노력 정도 및 소득이 낮은 이유, 취업 후 업무능력등에 대해서도 남녀는 유의미한 인식 차이를 나타낸다. 셋째, 남성들의 경우 여성에 비해 페미니즘에 대해 비우호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넷째, 남성들이 여성 할당제와 페미니즘에 대해 적대적 태도를 보이는 이유로는 남성에게 부과되는 전통적인 성 역할 모델의 영향과 구조적 불평등에 대한 남녀의 관점 차이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실 인식의 남녀 간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헤게모니적 남성성에 대한 고찰,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한 쟁점 교육, 실수 친화적 공간 마련을 통한 쟁점의 공론화, 그리고 시민 교육의 관점에서 대학 차원의 대응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지역 박탈수준과 중고령층의 활동제한의 연관성 (Relationship between local authority deprivation and activity limitation in adults aged 50 or over)

  • 윤태호;김수영;윤미숙;문경주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7-37
    • /
    • 2015
  • Objectives: As the increasing of the length of the lifespan, more recent policy interest are concerned with how many years of life are lived without functional disability or activity limitation.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ivation and activity limitation at the 251 local authority level. Methods: The data were derived from the 2010 Census 10% sample data. Crude and age-standardized activity limitation rates by gender at the ages of 50 or over and deprivation index were calculated. Mapping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applied to explore relationship between area activity limitation and area deprivation. Results: There were considerable differences in activity limitation rate across the 251 local authorities. Age-standardized activity limitation rate in both male and female were strongly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area deprivation. Especially, low social class, male unemployment, or non-apartment residents at the local level were strong positive association with local authorities' age-standardized activity limitation. Conclusion: More policy attention is needed for tackling regional inequality in activity limitation among older adults.

우리나라 건강 불균등의 요인과 지역별 비교 - 청소년을 중심으로 (Income-related health inequalities across regions in Korea - a case of adolescents)

  • 안병철;정효지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5-36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income-related health inequalities among adolescent population across regions in Korea. Methods: Data of 8,456 adolescents from 1998, 2001, 2005, 2007 Korean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ere used for the analysis. True health status was proxied by self-rated health and overweight status. Per capita income was computed from household monthly average income adjusted by consumer price with base year 2005. Adolescent health inequalities were estimated by Concentration Index (CI) across income and space. Results: Ill health score was related with age (p<0.0001), gender (p=0.0155) and income (p<0.0001).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income and ill-health indicated that higher income group tended to enjoy better health and less overweight. These evidences suggested ill health were accumulated on the economically disadvantaged adolescents. The size of health inequalities (ill-health score) were estimated as CI=-0.057 and CI=-0.030 across income groups and regions, respectively. Comparable measures of within region health disparities were also observed. Conclusion: Since health disparity among adolescent population was small compared to adult population, lessening adolescent health inequality could be a helpful way of mitigating health disparities in later stage. Considering life stage of adolescents, school system and local communities could play important roles toward adolescent health distribution. Although health disparity between regions existed, health disparity within a region should not be negl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