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Gender Identity

검색결과 351건 처리시간 0.026초

창작무용 의상에 나타난 여성상 변화 - 페르소나와 아니무스를 중심으로 - (The Changes of Feminine Image Expressed in the Creative Dancing Wear - focusing on Persona and Animus -)

  • 김흥경;김선화
    • 복식
    • /
    • 제58권6호
    • /
    • pp.158-171
    • /
    • 2008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how changes of women's sexual identity and gender role were expressed in designs of dance costumes by analyzing costumes used in creative dance works. Related articles, dance magazines, Internet information and dance costum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various performance cases to express persona and animus of a woma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As a woman's role, persona, has recently changed into active propensity, dance directors have come to prefer bold and daring image of female dancer to strongly express animus, the masculine inclination of a woman. 2. Female dancers' costumes were frequently associated with daring body exposure such as body painting on half-naked body, to reflect the above and a number of female dancers dressed daringly in masculine style trom head to toe. Also, pants or hot pants instead of skirt were frequently used as dance costumes to symbolize animus. In addition, colors in dance costumes became vivid and bold in comparison to the simple and soft colors used in the past.

E-girl과 E-boy 패션 이미지에 나타난 디지털 페르소나 (Digital persona in E-girl and E-boy fashion images)

  • 어경진
    • 복식문화연구
    • /
    • 제28권5호
    • /
    • pp.692-704
    • /
    • 2020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elect MLMA and Noen Eubanks as representatives of Gen Z's unique subculture 'E-girl' and 'E-boy' to analyze fashion images and determine their meaning through the perspective of persona. To conduct this study, a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ies were combined and fashion images of E-girl and E-boy appearing on social media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personas they expressed. A case study of MLMA and Noen Eubanks' Instagram and TikTok account posts showed that grotesque, kitsch, and gender-related images stand out. The digital personae demonstrated by E-girl and E-boy fashion images were demonstrated to be a strange persona that reject perfect beauty and a playful persona escaping from reality and anxiety. Lastly persona of individual identity was shown to be formed. This study provides a basis for understanding and interpreting Gen Z's culture and aesthetics that will lead to future trends. Based on this study, I hope that various studies on E-girl and E-boy apparel will be conducted, and that by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E-girl and E-boy culture for Gen Z (which is paying attention to fashion trends), this can be used as a marketing strategy to consider their characteristics, with data used to inform design development.

간호학과 남학생의 학과 적응에 관한 질적 메타합성 연구 (Adaptation Experiences of Male Students in Nursing Education Programs: A Meta-synthesis Study)

  • 손행미;오세은;장혜영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91-405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egrate and synthesize findings from qualitative studies exploring male students' experiences of adapting to nursing education programs so as to obtain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phenomenon. Methods: The meta-synthesis process was primarily guided by Noblit and Hare's approach, which consists of four stages including searching, appraisal of an individual study's quality, data extraction for analysis, and meta-synthesizing the results. Results: Findings from the literature reviewed were synthesized into six themes: 1) extraordinary choice based on job stability and gender scarcity; 2) unexpected feeling of marginalization as minority far apart from the mainstream; 3) assimilation and negotiation for relational adaptation through perspective shift; 4) fortifying the vision and identity as nursing students by meaning making for adapting to the nursing major; 5) mutual support among colleague male students; and 6) serving in the military as way of hiding out and achieving maturation. Conclusion: The findings illustrate that nursing education programs need practical changes promoting male students' adaptation to the program itself as well as preparation to be a professional nurse in the future.

대중문화에서 보여지는 신체표현과 복식디자인 연구 - 미국과 국내 영화를 중심으로 - (The Study of Human Body Expression and Fashion Design Appeared in Popular Culture -Focused on Movies in Korea and American-)

  • 권기영
    • 복식문화연구
    • /
    • 제12권4호
    • /
    • pp.676-690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ymbolic meaning in body image and fashion style portrayed in Korea and American movies in aspects of sex, race, nature, and technology. The researcher analyzed movies in Korea and USA,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aspects of sex, movies portrayed new masculinity and femininity escaped from previous gender stereotypes, and the clothing styles characterized sex identity and sex roles. In aspects of race, more various races appeared in America movies than Korea's, and the appearance and stereotypes related with race were blurred by the globalization and the change of film market environments. In aspects of nature, Korea movie portrayed the human being as lyrical appearance in nature, and America movie expressed the human as a strong men conquering the nature in adventure movie or super human image combined with nature thing which endowed nature's superior characteristics to human body in fantasy and science fiction movies. In aspects of technology, the human bodies were described as cyborg, alien, or super human, which symbolized the do-identification in digital world, de-boundarization between human and machines, and the human's uncertainty.

  • PDF

언어 시각화를 통한 한국의 시대별 고전화장 연구 (A Study of Classical Makeup of the Korean Age by Using Language Visualization)

  • 방기정
    • 패션비즈니스
    • /
    • 제22권1호
    • /
    • pp.114-123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isual elements for effectively conveying the make-up method of the Korean history. We will do basic research on language visualization through visual poetry by using a make-up method as a visual expression element. Our research methods consisted of a related literature research, an internet search, and case study methods. The make-up methods of Korean classical make-up through visual poetry consisted of a through literature review. First, make-up methods, cosmetics, jewelry, and hair styles are shown in the classic make-up style of each age. Second, classical make-up visual poetry shows the identity, gender, and character depictions. Third, there were many visual metaphors about the hair types, figures, and hair among the classical make-up methods of each age. I think that this topic is worth researching as an appropriate medium to increase attractiveness. This research is with visual expression elements of the Korea make-up method. This study analyzed the Korean traditional make-up method that expresses and reinterprets visual metaph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for basic research.

중학생, 고등학생 및 대학생의 스마트폰 의존도 영향요인 비교: 제7차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Comparison of Factors related to Smartphone Dependency among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 Seventh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 이은지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5권2호
    • /
    • pp.165-174
    • /
    • 2019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s of factors including emotional problems, self-perception, parental behavior, and peer attachment with smartphone dependency (SD) among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in South Korea. Methods: This study used data from a nationwide sample of 1,882 middle school, 1,821 high school, and 1,346 college students who owned smartphones.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edictors of SD based on school level. Results: SD scores significantly differed across school levels. Female gender, more aggressive behavior, less ego-identity, and less monitoring parental behavior were linked to higher SD at all school levels. Less self-esteem and intrusive parental behavior were linked to SD in middle school students. In high school students, additional factors related to higher levels of SD were resilience, intrusive / inconsistent parental behavior, peer trust and alienation, and depression. Additionally, resilience, over-expectant parental behavior, and peer trust were linked to higher SD in college students.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into SD and predictors of SD among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se findings, SD preven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stages of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SNS에 남성 뷰티 인플루언서를 향한 여성 팬의 동일시 - 라캉의 응시 이론을 중심으로 (The Identification of Females Fans Identify with the Male Beauty Influencers in SNS - Focusing on Jacques Lacan's Gaze)

  • 리링제
    • 트랜스-
    • /
    • 제15권
    • /
    • pp.57-79
    • /
    • 2023
  • 본 연구는 SNS 플랫폼(인스타그램, 유튜브, 틱톡)에서 인기가 높은 남성 뷰티 인플루언서 4명을 선택하여, 그들이 여성 팬들의 동일시를 얻기 위해 사용하는 SNS 이미지의 전략과 효과를 탐구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2023년 7월 21일까지 인스타그램, 유튜브, 틱톡에서 구독자 수가 높은 남성 뷰티 인플루언서 4명인 리쟈치(李佳琦), Jeffree Star, James Charles, Bretman Rock을 선택했다. 연구는 이들이 SNS에 게시한 콘텐츠를 관찰하며 라캉의 응시 이론을 통해 남성 뷰티 인플루언서의 이미지 유형, 특징 및 여성 팬들과의 동일시와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그 후 응시와 관련된 거울 단계, 스크린, 대상a 등의 개념들을 보충하고 남성 뷰티 인플루언서의 이미지 특징과 여성 팬들의 시청 동기에 대해 깊이 있는 분석을 수행했다. 연구 결과로, 남성 뷰티 인플루언서들은 여성화된 거울 이미지 안의 동일성으로 형성된 동일시를 통해 여성 팬들과 '여성적 우정(girl-friendship)'이라는 친근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한다. 또한, 남성 뷰티 인플루언서들은 성 정체성의 다원화, 즉 차이성을 가진 이미지를 통해 여성 팬들을 남성적 응시에서 여성적 응시로 변화시켜 보이는 대상에서 보는 주체로 만들 수 있다. 따라서, 남성 뷰티 인플루언서의 이미지는 성별에 대한 사회의 고정관념을 뒤집는 동시에 현대 젊은 여성들의 독립과 평등에 대한 요구에 부응하고, 여성적 응시에 대한 이해를 촉진하며, 소셜미디어 플랫폼의 민주성과 포용성의 잠재력을 탐색하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할 것이다.

해외체류경험이 소비자의 일반적 특성과 의복 스타일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의 경우 (Influence of Living Abroad on People in General and Their Clothing Style: A Case Study of Koreans)

  • 유혜경;김찬주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8권12호
    • /
    • pp.1644-1654
    • /
    • 2004
  • 지구촌화가 가속되면서 많은 소비자들에게 해외 체류의 기회는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해외체류 경험은 소비자들에게 깊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외체류경험이 소비자들에게 장기적으로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태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해외체류경험이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과 관련된 변인들과 경험에 따라 나타나는 소비자들의 일반적인 변화와 의복스타일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해외에서 2년 이상 체류하고 귀국한지 1년이 지난 36명의 여성과 21명의 남성을 심층 면접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개인적인 특성 이외에도 연령, 체류기간, 체류시 활동, 문화의 차이 등이 장기적인 변화의 유무와 관련이 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체성의 재발견, 다양성의 추구, 확대된 집단의식이 공통적으로 나타난 일반적인 변화였다. 쇼핑과 관련되어서는 주로 여성들에게서 변화가 감지되었는데, 여성들은 자신을 가치를 추구하고 다양한 브랜드와 제품의 지식을 지닌 소비자로 느끼고 있었으며, 자신만의 고유한 스타일을 가지고 시간과 장소, 상황은 물론 주위의 자연 환경과 어울리는 유연한 의복스타일을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또한 한국문화의 특이성이 해외체류경험의 영향에 배경 이 된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베스트셀러 그림책에 나타난 다문화교육내용 분석 (An Exploration of Multicultural Concepts in Bestselling Children's Picture Books)

  • 김미애;윤재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81-107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2008~2014년 사이 국내 베스트셀러 그림책 98권의 다문화교육내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문화, 다양성, 정체성, 평등, 반편견, 공동체적 협력 등 6가지 범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에 나타난 다문화교육내용은 협력, 정체성, 문화 및 다양성의 순이었으며 반편견과 평등 등은 비교적 적게 나타났다. 둘째, 국내작가 그림책보다 국외작가 그림책에서 다양성 내용이 많이 다루어졌다. 문화 관련 내용 중 유사점과 차이점 알기는 국외작가의 그림책에서 문화에 대한 존중심 갖기는 국내작가의 그림책에서 더 많이 발견되었다. 셋째, 환상동화와 생활동화가 6가지 범주의 다문화교육내용을 고르게 다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그림책들이 편중된 다문화교육내용을 다루고, 비판적이며 현실적인 주제를 다루지 못하고, 주류의 관점을 반영하며, 모호한 메시지를 전달하고 환상적 요소를 통한 은유적인 다문화개념을 내포한다고 논의했다. 또한 본 연구는 베스트셀러 그림책을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성인역할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문화적 상징기호로서의 지폐 디자인 연구 - 세계 11개국 사례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Paper Currencies Design as Cultural Symbols -Focus on Case Studies from Eleven Nations-)

  • 정현원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2호
    • /
    • pp.189-200
    • /
    • 2005
  • 지폐는 물물교환, 가치척도의 도구일 뿐만 아니라 한 국가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문화적 상징 기호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세계 선진국과 우리나라 지폐를 대상으로 디자인 특성을 분석하고, 문화코드로서 각국의 지폐 디자인에 나타난 국가 이미지 특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첫째, 지폐 디자인의 사용성 측면을 권종 수, 크기유형, 색상, 점자체계의 항목으로 평가하였으며, 스위스의 지폐와 유로화가 상대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둘째, 지폐 디자인에 표현된 이미지 유형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미국, 일본 등의 국가는 국가 체제 구축에 공헌한 인물을 주요 소재로 등장시켜 '국가주도형' 문화를 나타낸다. 반면에 유럽 국가는 예술가와 과학자, 그리고 여성 인물 등을 주요 소재로 선정하여 남녀평등의식이 반영, '시민문화 주도형'임을 알 수 있다. 셋째, 스위스, 네덜란드, 프랑스, 영국 등의 지폐는 작품형 소재를 사용하고, 화려한 색채, 컴퓨터그래픽 표현기법, 개성적인 구성 등으로 지폐 디자인을 하나의 시각 예술작품으로 표현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세계적 맥락에서 우리나라 지폐디자인의 현주소를 진단해보고자 하였으며 이로써 새로운 지폐 디자인 연구를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또한, 문화 디자인의 관점에서 각 나라의 국가 이미지를 상징하는 주요 매체로서 지폐 디자인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인식시키고자 하는데 의의를 갖는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