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dentification of Females Fans Identify with the Male Beauty Influencers in SNS - Focusing on Jacques Lacan's Gaze

SNS에 남성 뷰티 인플루언서를 향한 여성 팬의 동일시 - 라캉의 응시 이론을 중심으로

  • LI LINGJIE (Sungkyunkwan University Dept. of Film, TV & Multimedia)
  • 리링제 (성균관대학교 영상학과)
  • Received : 2023.06.30
  • Accepted : 2023.07.24
  • Published : 2023.08.02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strategies and effects of SNS images used by four popular male beauty influencers to gain identification with their female fans. The research selected four male beauty influencers, namely Li Jiaqi, Jeffree Star, James Charles, and Bretman Rock, with a high number of subscribers on Instagram, YouTube, and TikTok as of July 21, 2023. By observing the content they posted on SNS, the study analyzed the types, characteristics, and relevance of male beauty influencer images with their female fans using Lacan's gaze theory. Additionally, concepts related to gaze, such as the mirror stage, the screen, and objet petit a, were supplemented to conduct an in-depth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male beauty influencer images and the motivations of female viewers. The study results suggest that male beauty influencers can maintain an intimate relationship, referred to as 'girl-friendship,' with their female fans through the identification formed by the homogeneity within the feminized mirror images. Furthermore, male beauty influencers can transform female viewers from being seen as objects to seeing them as subjects by presenting images that embrace diversity in gender identity, challenging the traditional notions of societal gender norms. Therefore, the images of male beauty influencers not only challenge gender stereotypes but also cater to the demands for independence and equality of modern young women, promote understanding of feminine gaze, and explore the potential for democratization and inclusivity on social media platforms from a new perspective.

본 연구는 SNS 플랫폼(인스타그램, 유튜브, 틱톡)에서 인기가 높은 남성 뷰티 인플루언서 4명을 선택하여, 그들이 여성 팬들의 동일시를 얻기 위해 사용하는 SNS 이미지의 전략과 효과를 탐구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2023년 7월 21일까지 인스타그램, 유튜브, 틱톡에서 구독자 수가 높은 남성 뷰티 인플루언서 4명인 리쟈치(李佳琦), Jeffree Star, James Charles, Bretman Rock을 선택했다. 연구는 이들이 SNS에 게시한 콘텐츠를 관찰하며 라캉의 응시 이론을 통해 남성 뷰티 인플루언서의 이미지 유형, 특징 및 여성 팬들과의 동일시와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그 후 응시와 관련된 거울 단계, 스크린, 대상a 등의 개념들을 보충하고 남성 뷰티 인플루언서의 이미지 특징과 여성 팬들의 시청 동기에 대해 깊이 있는 분석을 수행했다. 연구 결과로, 남성 뷰티 인플루언서들은 여성화된 거울 이미지 안의 동일성으로 형성된 동일시를 통해 여성 팬들과 '여성적 우정(girl-friendship)'이라는 친근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한다. 또한, 남성 뷰티 인플루언서들은 성 정체성의 다원화, 즉 차이성을 가진 이미지를 통해 여성 팬들을 남성적 응시에서 여성적 응시로 변화시켜 보이는 대상에서 보는 주체로 만들 수 있다. 따라서, 남성 뷰티 인플루언서의 이미지는 성별에 대한 사회의 고정관념을 뒤집는 동시에 현대 젊은 여성들의 독립과 평등에 대한 요구에 부응하고, 여성적 응시에 대한 이해를 촉진하며, 소셜미디어 플랫폼의 민주성과 포용성의 잠재력을 탐색하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O'Neill R, Seduction: Men, Masculinity and Mediated Intimacy, Medford, OR: Polity Press, 2018.
  2. Gill R ,Gender and the Media. Cambridge: Polity Press, 2007.
  3. 자크 라캉, 「세미나 11」, 자크-알랭 밀레 편, 맹정현.이수련 역, 새물결, 2008.
  4. 자크 라캉, 「욕망이론」, 권택영 엮음, 문예출판사, 1994.
  5. 자크 라캉, 「에크리」,홍준기옮김, 새물결, 2019.
  6. Bridges, T, A very "gay" straight? Hybrid masculinities, sexual aesthetics, and the changing relationship between masculinity and homophobia, Gender & Society, 28(1), 2014.
  7. Chen, Shirley Xue, and Akane Kanai, Authenticity, uniqueness and talent: Gay male beauty influencers in post-queer, postfeminist Instagram beauty culture, European Journal of Cultural Studies, 2022.https://doi.org/10.1177/1367549421988966
  8. Gill R and Orgad S, The confidence cult(ure), Australian Feminist Studies, 2015.https://doi.org/10.1080/08164649.2016.1148001
  9. Lee J J, Lee R K Y, Park J H, Unpacking K-pop in America: The subversive potential of male K-pop idols' soft masculinity,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cation, 14, 2020. ttps://doi.org/10.1177/20570473221136667
  10. Winch, A Brand intimacy, female friendship and digital surveillance networks. New Formations, 2015.http://dx.doi.org/10.3898/NewF:84/85.11.2015
  11. 권오상, 「신디 셔먼 작품에 나타난 응시와 주체에 관한 연구 -자크 라캉의 정신분석을 중심으로-」, 「조형미디어학」, 2019.
  12. 김수지, 김은실, 「퍼스널 미디어 뷰티 크리에이터의 뷰티콘텐츠 영상 분석 -유튜브 남성 크리에이터 레오제이(LeoJ), 후니언(Hoonion), 화니(Hwan'e), 원딘(Wondin) 4인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019.
  13. 리링제, 「거울 단계에서 '상상적 나'를 탐색하는 짧은 동영상 연구」,국내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서울, 2021.
  14. 안상혁, 「숏폼 동영상 플랫폼에 나타난 나르시시즘」,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2022.
  15. 양승규, 「라캉의 시각의 타자성(대상 a)에 근거한 만화비평으로서의 주체와 응시」,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제26권, 2012.
  16. 이영희, 임은혁, 「남성적 응시에 의해 구조화되는 패션사진의 시각적 재현체제에 기반한 여성의 재현」, 「복식문화연구」, 2015.
  17. 이인지, 「뷰티 크리에이터의 창의적 콘텐츠의 구성과 소비자 쇼핑성향이 콘텐츠 만족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동덕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18. 정혜경,곽태기, 「융[Jung]의 아니마[Anima] 원형에 따른 남성 뷰티스타일 연구」, 「복식」, 2011. 
  19. https://www.refinery29.com/en-us/2020/12/10245805/raymond-arroyo-fox-news-harry-styles-dress-comments (Midkiff, S: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