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stroduodenoscopy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31초

A human infection of Echinostoma hortense in duodenal bulb diagnosed by endoscopy

  • CHANG Young-Doo;SOHN Woon-Mok;RYU Jae-Hwa;KANG Shin-Yong;HONG Sung-Jong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3권2호
    • /
    • pp.57-60
    • /
    • 2005
  • As gastroduodenoscopy performed more frequently, case reports of human echinostomiasis are increasing in Korea. A Korean woman presented at a local clinic with complaints of abdominal pain and discomfort that had persisted for 2 weeks. Under gastroduodenoscopy, two motile flukes were found attached on the duodenal bulb, and retrieved with endoscopic forceps. She had history of eating raw frog meat. The two flukes were identified as Echinostoma hortense by egg morphology, 27 collar spines with 4 end-group spines, and surface ultrastructural characters. This report may prove frogs to be a source of human echinostome infections.

소아의 위장관 이물에 대한 고찰 (Gastrointestinal Foreign Bodies: Review of 96 Cases)

  • 이민혜;강기수;정혜성;서지현;임재영;박찬후;최명범;우향옥;윤희상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5권2호
    • /
    • pp.136-142
    • /
    • 2002
  • 목 적: 위 이하의 소화관에 이물이 존재하는 경우 이물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자연 배출을 기다리거나 제거를 요하는 치료를 할 수 있다. 이에 저자들은 15년간 경상대학교병원 소아과에 상부 소화관 이물로 진단 받은 소아 중 이물이 위 이하의 소화관에 있었던 경우를 자연 배출이 되었던 경우와 내시경적 치료나 수술적 치료가 필요했던 경우의 이물의 위치, 임상 증상, 방사선 소견, 이물을 삼킨 후 내원까지 걸린 시간, 합병증 등을 조사하였다. 방 법: 1987년 2월부터 2002년 2월까지 경상대학교병원 소아과에 이불연하를 주소로 내원한 0~15세 소아 환아 220명 소아 중 이물이 위 이하의 소화관에 위치했던 경우 96례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이물연하를 주소로 내원한 220명 중 내원당시 위나 소장 이하의 부위에 이물이 있었던 경우는 96례였다. 호발 연령은 2~5세였으며, 남아 60명, 여아 36명이었다(남 : 녀=1.66 : 1) 무증상이였던 경우가 62례(64.5%)였고 나머지에서는 구토, 이물감, 복통, 흉통, 보챔 등의 증상이 있었다. 방사선 검사로 이물을 확인할 수 있었던 경우는 81례(86%)였고, 이물의 위치를 확인하지 못하여 바륨 조영술을 시행한 경우가 1례, 내시경적으로 위치를 확인한 경우가 37례였다. 이물이 발견된 위치로는 위가 71례로 가장 많았으며, 소장 및 대장에서 발견되었던 경우는 25례였다. 이물의 종류는 동전(40%)이 가장 많았고, 핀과 같은 날카로운 물질이 27례 있었다 치료로 상부 소화관 내시경으로 제거한 경우가 37례(38.5%)였으며, 4례에서는 전신마취 하에 수술로 제거하였다. 55례에서 자연 배출을 기다렸다. 자연 배출을 지켜본 경우 55례 중 37례가 이불 연하 발생 후 24시간 이내에 내원한 경우로 가장 많았다. 24시간 이후에서 2주 사이에 내원한 경우 위내에 이물이 지속적으로 존재하면 상부 위장관 내시경으로 이물을 제거하였다 이물 연하의 합병증으로는 출혈, 미란, 궤양, 미세천공, 장폐색이 있었으나 빈도는 적었다. 결 론: 본 저자들은 15년 간의 위 이하의 소화관 이불 96례에 대한 고찰한 결과 소아용 위장관 내시경의 발전으로 상부 위장관 이물의 진단과 치료가 용이해졌음을 알 수 있었으나 자연배출을 기다려볼 수 있는 상황에서도 내시경을 이용한 제거가 증가하였는데 이에 대한 타당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소아 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발생한 위혈관 이형성증의 Hemoclipping에 의한 지혈 치료 1례 (Angiodysplasia in a Child with Chronic Renal Failure: Endoscopic Hemostatic Therapy)

  • 이윤진;김영미;김수영;박재홍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6권2호
    • /
    • pp.192-196
    • /
    • 2003
  • Angiodysplasia is the most common vascular abnormality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and probably the most frequent cause of recurrent lower intestinal bleeding in otherwise healthy elderly patients. Also, it is an important cause of hemorrhage in chronic renal failure observed in up to 19~32% of patients. Bleeding due to gastric angiodysplasia is treated by various endoscopic approaches, including argon and Nd : YAG laser photocoagulation, monopolar or bipolar electrocoagulation, heater probe, injection sclerotherapy, band ligation or hemoclipping. A 15-year-old boy, who had undergone hemodialysis for chronic renal failure for about 10 years, was admitted due to melena and progressive anemia. A gastroduodenoscopy revealed a cherry red and fern-like lesion with oozing on the posterior wall at junction of gastric body and fundus. Endoscopic hemoclipping therapy was performed. However, melena recurred four days later. Argon plasma coagulation and hemoclipping therapy were performed again. Since then, no recurrence of bleeding has been observed.

  • PDF

Blue Rubber Bleb Nevus Syndrome 1예 (A Case of Blue Rubber Bleb Nevus Syndrome)

  • 강기수;오현주;고재성;서정기;박귀원;강경훈;김우선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1권2호
    • /
    • pp.198-203
    • /
    • 2008
  • 저자들은 만성적인 철결핍성 빈혈을 보이는 10세 여아에서, 캡슐내시경을 비롯한 내시경적 검사로 위장관계의 다발성 정맥기형을 발견하여 blue rubber bleb nevus syndrome으로 진단하였고, 광범위한 외과적 절제술로 성공적으로 치료하였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Eosinophilic gastroenteritis in an 18-year-old male with prolonged nephrotic syndrome

  • Choi, Da Min;Pyun, Jung Eun;Yim, Hyung Eun;Yoo, Kee Hwan;Shim, Jung Ok;Lee, Eun Jung;Won, Nam Hee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9권sup1호
    • /
    • pp.72-75
    • /
    • 2016
  • Eosinophilic gastroenteritis is a rare disease characterized by prominent eosinophilic tissue infiltration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Here, we report a case of eosinophilic gastroenteritis in an 18-year-old patient with prolonged nephrotic syndrome who presented with abdominal pain and peripheral hypereosinophilia. During the previous 2 years, he had visited local Emergency Department several times because of epigastric pain and nausea. He had been treated with steroid-dependent nephrotic syndrome since 3 years of age. Tests ruled out allergic and parasitic disease etiologies. Gastroduodenoscopy with biopsy revealed marked eosinophilic infiltration in the duodenum. Renal biopsy findings indicated minimal change disease spectrum without eosinophilic infiltration. The oral deflazacort dosage was increased, and the patient was discharged after abdominal pain resolved.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eosinophilic gastroenteritis in a patient with minimal change disease.

A human case of Echinostoma hortense (Trematoda: Echinostomatidae) infection diagnosed by gastroduodenal endoscopy in Korea

  • Cho, Chang-Min;Tak, Won-Young;Kweon, Young-Oh;Kim, Sung-Kook;Choi, Yong-Hwan;Kong, Hyun-Hee;Chung, Dong-Il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1권2호
    • /
    • pp.117-120
    • /
    • 2003
  • A human Echinostoma hortense infection was diagnosed by gastroduodenoscopy. An 81-year-old Korean male, living in Yeongcheon-shi, Gyeongsangbuk-do and with epigastric discomfort of several days duration, was subjected to upper gastrointestinal endoscopy. He was in the habit of eating fresh water fish. Two live worms were found in the duodenal bulb area and were removed using an endoscopic forcep. Based on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worms were identified as E. hortense.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praziquantel 10 mg/kg as a single dose. The source of the infection in this case remains unclear, but the fresh water fish consumed, including the loach, may have been the source. This is the second case of E. hortense infection diagnosed by endoscopy in Korea.

무증상 환자에서 PET-CT로 우연히 발견된 위선종 1예 (A Case of Gastric Adenoma Incidentally Found on PET-CT)

  • 공경택;김호정;박용휘;김광석;지상철;김정욱;최대한;강성환;정훈용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1권5호
    • /
    • pp.373-376
    • /
    • 2007
  • We report a case of gastric adenoma which was found incidentally on $^{18}F$-FDG PET/CT study for cancer screening in asymptomatic patient. It showed focal and intensely increased. FDG uptake in the antrum of stomach. On the gastroduodenoscopy, it showed flat elevated lesion with irregular margin. Histologically, the lesion was confirmed gastric adenoma with high grade dysplasia and removed by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10세 여아에서 발견된 선천성 십이지장 격막 1예 (Congenital Duodenal Web Associated with a Foreign Body (Go Stone) in a 10-Year-Old Girl)

  • 박우현;최순옥;황진복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11권2호
    • /
    • pp.171-174
    • /
    • 2005
  • Chronic duodenal obstruction related to a congenital web is a rare anomaly, and is sometimes difficult to diagnose preoperatively. A case of partial duodenal obstruction by a foreign body in a 10-year-old girl with a congenital duodenal web is presented. She had a year history of intermittent epigastric discomfort without nausea, vomiting or growth retardation. Upper gastrointestinal series and gastroduodenoscopy disclosed a perforated web in the 2nd portion of the duodenum and a dark go stone just proximal to the web. The web was partly excised through a longitudinal duodenotomy crossing over the web. The Ampulla of Vater was located at 7 o'clock on the posterior surface of the duodenal web and was preserved. The duodenum was closed in transverse fashion. In cases of a longstanding duodenal foreign body, a congenital web should be considered.

  • PDF

기관 스텐트 삽입과 히스토아크릴 주입법으로 치료한 식도 누공 1례 (A Case of Bronchoesophageal Fistula Treated by Bronchial Stent Insertion and Endoscopic Histoacryl Injection)

  • 오동준;조주영
    •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search
    • /
    • 제2권1호
    • /
    • pp.21-23
    • /
    • 2014
  • 식도암으로 인한 기관지 식도 누공 환자는 음식물을 섭취하면 누공을 통하여 기관지로 음식물이 흡입되어 폐렴과 같은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전신쇠약이 동반되고 면역력이 저하되어 있는 식도암 환자에게는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기관지 식도 누공의 내시경적 치료는 환자에게 경구 섭취를 가능하게 하고, 합병증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아직까지 장기간의 효과 지속성이나 재발에 관하여는 만족스러운 결과가 없는 실정이다. 향후 새로운 내시경 치료법의 개발 및 치료 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PDF

십이지장으로 전이된 폐선암 1예 (A Case of Duodenal Metastasis from Adenocarcinoma of the Lung)

  • 유승현;심윤수;이진화;심기남;장중현;김윤경;성순희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3권3호
    • /
    • pp.283-288
    • /
    • 2007
  • 원발성폐암의 위장관 전이, 특히 십이지장으로의 전이는 매우 드물며, 부검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더 많다. 본 증례의 58세 남자는 왼쪽 등의 통증과 흉부 X-선 촬영에서 좌상엽에 종괴로 의뢰되어 경기관지폐생검 결과 폐선암을 진단 받았으며, 이후 소화불량과 상복부불편감을 호소하여 시행한 위내시경 결과 십이지장 팽대부의 점막 돌출을 발견하여 이에 대한 조직검사에서 폐선암의 십이지장 전이로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