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san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3초

조선시대 청계천 주변의 가산(假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Gasan of the Cheonggyecheon in the Joseon Dynasty)

  • 김묘정;정기호;김두규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6-36
    • /
    • 2016
  • 본 연구는 조선시대 청계천 주변의 가산에 대하여 그 위치와 장소를 확인하고, 근대화 과정 속에서 사라졌거나 변화된 모습의 현황을 확인해 보기 위한 것이다. 청계천 준설과 관련된 고문헌자료 및 고지도를 통한 문헌조사와 가산의 실제위치 및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현장조사로 진행되었다.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시대 청계천 관련 고문헌과 고지도를 통해서 청계천 주변 가산 관련 내용 및 기록을 선별하였고, 주로 세종 대에 지류 및 세류의 준설작업과 영조 대의 대규모 준설에 의해 가산이 조성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고지도에 나타난 청계천 주변의 가산 및 수림대의 위치를 파악하였으며, 그 위치가 오간수문을 중심으로 도성 안과 밖의 청계천 양안, 그 주변의 지류 주변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가산의 위치는 수선전도의 축척지도화방안을 토대로 고지도상의 가산을 현지도상에서 파악하고, 현지조사를 통해서 가산으로 표현된 장소들의 현황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조선시대 청계천 주변에 조성된 가산은 대부분 19세기말 이래로 진행된 도시개발로 인해 사라졌지만 아직도 그 흔적이 일부 남아있음을 확인하였다.

서울 구로.가산동 의류패션산업의 가치사슬과 네트워크 (The Value chain and the Networks of Apparel Industry in Guro-Gasan, Seoul)

  • 이상욱;김경민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465-481
    • /
    • 2014
  • 창의산업(creative industry)으로서 의류패션산업은 지역에 착근된 가치사슬을 바탕으로 한 기업 간 협력과 상호 네트워크가 중요한 산업으로, 특정지역을 중심으로 집적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간적 집적을 넘어 서울 의류패션산업의 중심 클러스터로 성장하고 있는 구로 가산동 의류패션산업의 가치사슬을 바탕으로 산업구조를 분석하고 기업간 산업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지 확인하였다. GIS분석과 현장답사를 통해 구로 가산동 의류패션산업은 가치사슬상의 기획, 디자인의 고부가가치 영역이 전개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심층인터뷰를 통해 구로 가산동 의류패션산업은 가치사슬의 미들스트림을 중심으로 업스트림에 속하는 지역 외부의 대형 브랜드업체의 통제를 받는 외부지향적인 생산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밝혔다. 이에 구로 가산동의 산업 집적지는 상호호혜적인 네트워크를 통한 창조적인 산업클러스터로 발전하는데 한계가 존재한다. 하지만, 부가가치가 높은 업스트림의 영역으로 가치무리 이동을 보이고 있어, 현재 일부 기업들이 부가가치가 높은 영역을 넓혀 가고 있는 모습이 존재함을 보였다. 본 연구는 구로 가산동 의류패션산업의 총체적인 시스템을 확인하고, 경제지리적 관점에서 가치사슬의 구조와 공간적 분화패턴을 국지적 차원에서 분석한데에 의미가 있다.

  • PDF

반군 홍경래에 대항한 관군 가산군수 정시의 군인정신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Military Spirit of the Governmental Army's Gasan County Chief Against Rebel Hong Gyeong-rae)

  • 정재극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153-159
    • /
    • 2020
  • 조선후기 민심을 업고 반군이 등장하게 된다. 홍경래는 지역, 신분적 차별 등을 내세워 불만세력들을 규합하여 관군과 전투를 벌이게 된다. 초전에 가산군수 정시에게 항복을 권하고 함께 반란에 참여하기를 강요하였으나 정시는 죽음으로 거부하였다. 주변 관리들은 항거하지 않고 반군에 항복하는 행태를 보였다. 홍경래의 난이 평정되었을 때 가장 피해를 본 부류는 홍경래의 선전선동에 속아 가담한 백성 2천여 명의 죽음이었다. 반란 초기에 관군의 책임자들이 적극적으로 방어하였다면 무고한 백성들의 죽음은 없었을 것이다. 반군에게 항복을 거부하고 죽음으로 대항한 가산군수 정시에 대해 역사적 재조명이 필요하다.

온라인 생물정보 플랫폼에 기반한 가산의 관속식물목록 (A checklist of Gasan Mt.: an online platform for virtual specimens)

  • 양선규;남보미;장주은;최미정;최고야;정경숙;최혁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453-474
    • /
    • 2020
  • 경상북도 칠곡군에 위치한 가산(902 m)의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2014년부터 2015년까지 10회의 현지조사를 수행하였다. 현지조사 결과 가산의 관속식물 81과 212속 289종 8아종 20변종 5품종으로 총 322분류군의 분포를 확인하였다. 조사된 분류군 중 한반도 특산식물은 14분류군, 희귀식물은 6분류군이 확인되었고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48분류군이었으며 귀화식물은 14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조사지역은 세잎승마와 노랑무늬붓꽃의 분포한계 지역이었으며 가산산성 일대에서 금붓꽃과 노랑무늬붓꽃의 잡종개체군을 확인하였다. 조사지역에서 수집된 관속식물 증거표본 325점은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표준표본관에 보관하였고 디지털 이미지로 만들어 https://oasis.kiom.re.kr/herblib/ 에 공유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식물상 연구분야에서 증거표본의 디지털 이미지를 공유한 최초의 연구로서 큰 의미를 갖는다.

조선후기 경상도의 거점 산성 연구 - 금오·천생·가산산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Foothold Mountain Fortress in Gyeongsang-do the Late Chosun Daynasty - Focussing on Geumo·Cheonseng·Gasan Mountain Fortress -)

  • 김찬영;곽동엽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11호
    • /
    • pp.135-144
    • /
    • 2018
  •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abandoned mountain fortresses were urgently repaired for the operation of foothold mountain fortresses in Gyeongsang-do,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immediately after the Qing Invasion of Korea in 1636. Immediately after the Qing Invasion of Korea, an external fortress wall was built and added to each of Cheonsaeng Fortress and Geumo Fortress to establish a system of protecting locals inside a fortress at important locations for border defense against Japan in the Yeongnam region. Cheonseng Fortress, however, did not have sufficient geographical and protection conditions as a mountain fortress for protecting people inside it; thus, Gasan Fortress was newly built to replace Cheonsaeng Fortress. Geumo and Gasan Fortresses were used in border defense against Japan during the period from King Injo's reign to the end of Joseon Dynasty, because the fortresses served the purpose of defending Nakdonggang River and middle roads located at important roads along the border in the Yeongnam region and because it was possible to quickly repair and use their existing fortress walls and internal facilities, such as middle fortress walls and ponds, that were constructed for long-term protection of locals inside the fortress. In addition, it was found, in this study, that a continuous discussion on how to supplement fortresses led to the reinforcement and improvement of fortress facilities and fortification technology through the application of major strengths of Chinese (Ming) and Japanese fortress systems.

진주 가산리 우물지에서 출토된 동물뼈 유물의 해부학적 분류 (Anatomical classification of animal bone relics excavated from the well area of Gasan-ri in Jinju)

  • 최종혁;이시준;김종섭;원청길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61권4호
    • /
    • pp.39.1-39.6
    • /
    • 2021
  • The classification of the bone pieces excavated from Gasan-ri archaeological site 1 in Jinju, presumed to be relics was investigated macroscopically. The remains of the animal bone were 3 classes (Mammalia, Aves, Amphibia), 5 orders (Carnivora, Artiodactyla, Galliformer, Rodentia, Salientia), and 6 species (Sus scrofa, Cervidae sp., Nyctereutes procyonides, Phasianidae, Rattus norvegicus caraco, Rana nigromaculata). The total weight of the animal bone remains was 1,002.80 g, with the identified bones comprising 975.30 g and an identification rate of 97.26%. A total of 447 animal bone fragments were identified, including 204 bone pieces of S. scrofa (468.00 g, 47.99%), 102 bone pieces of Cervidae sp. (453.79 g, 46.53%), 68 bone pieces of R. nigromaculata (4.69 g, 0.48%), 59 bone pieces of N. procyonides (47.14 g, 4.83%), 9 bone pieces of Phasianidae (0.98 g, 0.10%), and 5 bone pieces of Rattus norvegicus caraco (0.70 g, 0.07%). The bone pieces of the animal relics consisted of 81 skull (18.12%), 161 axial skeleton (36.02%), 64 forelimb (14.32%), and 141 hindlimb (31.54%) fragments. The archaeological significance of the animal bones excavated in this investigation was that wild boars and deer were presumed to have been mainly used animals in the Gasan-ri area of Jinju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Soil Classification of Anthropogenic Soils in a Remodeled Area Using Soil Taxonomy and World Reference Base for Soil Resources

  • Lee, Seung-Been;Chun, Hyen-Chung;Cho, Hyun-Jun;Hyun, Byung-Keun;Song, Kwan-Cheol;Zhang, Yong-Seon;Sonn, Yeon-Kyu;Park, Chan-Wo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536-541
    • /
    • 2013
  • In Soil Taxonomy system, anthropogenic soils are still classified as Entisols since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Committee for Anthropogenic Soils is in the process of classifying anthropogenic soils as new orders. In reality, it is difficult to characterize anthropogenic soils because Soil Taxonomy (ST) system does not distinguish between natural and anthropogenic Entisols. On the other hand, World Reference Base for soil resources (WRB) considers human impacts on soils and contains an independent category of anthropogenic soils, which makes easier to understand anthropogenic soil characteristics than Soil Taxonomy system. A remodeled paddy field (Gasan) was selected to classify by ST and WRB. Soil samples were taken to analyze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es, the ST system classified Gasan as coarse loamy, mixed, mesic, Aquic Udorthents while the WRB did as Stagnic Urbic Technosols (Oxyaquic, Arenic). As a conclusion, the WRB class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nthropogenic provides more detail characteristics of the anthropogenic soils.

조선시대 한양 청계천 가산(假山)의 버드나무 수책(樹柵)에 관한 연구 (A Case Study on the Willow Tree Fence(樹柵) in Gasan(假山) of Cheonggyecheon, Hanyang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 심순희;김충식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7권2호
    • /
    • pp.118-141
    • /
    • 2024
  • 본 연구는 고문헌(古文獻) 기록과 도상자료(圖像資料)를 조사·분석하여 조선시대 수해 방지를 위해 계획적으로 조성된 한양도성(漢陽都城) 내 청계천(淸溪川) 가산(假山)에 식재된 버드나무 수책(樹柵)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동안 버드나무에 관련된 연구 사례는 있었으나 버드나무의 구체적인 활용사례와 그 역사적 배경을 조사·분석하여 그 원형적 가치를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진행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조선시대 청계천에 조성된 버드나무 수책의 사례를 확인하고 조성 배경과 지역적 특징을 조명함으로써 그 가치를 재해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조선시대의 수재(水災)는 제일 큰 위해 요소로 작용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16~18세기 조선은 홍수로 인한 피해가 심각하였다. 영조 시기에 이르러서는 도성의 사산(四山)이 모두 민둥산이 되었는데, 이는 잦은 홍수의 원인이 되었다. 1760년(영조 36)에 영조는 준천사업(濬川事業)을 통해 장마 때마다 넘치는 청계천 바닥을 준설하고 오간수문 양안에 조성된 가산에 버드나무 수책을 조성하여 수해를 예방하고 토양의 유실을 방지하는 조치를 시행하였다. 영조 시기인 18세기 중반에 제작된 《광여도(廣輿圖)》 속의 <도성도(都城圖)>에는 오간수문(五間水門) 앞에 조성된 가산이 보이고,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의 기록에서 1760년(영조 36)에 버들을 양쪽 가산에 심었다는 기록을 검증하였으며, 1770년(영조 46) 제작된 <한양도성도(漢陽都城圖)>를 통해 18세기 후반에는 오간수문 근처의 가산 위 버드나무가 숲을 이루어 우거졌던 사실도 확증하였다. 또한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이나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일성록(日省錄)』 등의 고문헌 기록을 통해 청계천 준천사업과 버드나무 수책의 조성이 조선 전기인 15세기부터 조선 후기인 19세기 말까지 계속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홍수 및 수해 방지는 물론 아름다운 경관을 형성하는데 큰 바탕이 되었던 조선시대 버드나무 수책의 조성사례와 그 활용성을 조사함으로써 버드나무가 고유한 문화유산이자 전통 경관자원이었음을 알리고, 버드나무의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는 데 의의가 있다.

Computer Tomography as a Tool for Physical Analysis in an Anthropogenic Soil

  • Chun, Hyen Chung;Park, Chan Won;Sonn, Yeon Kyu;Cho, Hyun Joon;Hyun, Byung Keun;Song, Kwan Cheol;Zhang, Yong Seo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549-555
    • /
    • 2013
  • Human influence on soil formation has dramatically increased as the development of human civilization and industry. Increase of anthropogenic soils induced research of those soils; classification, chemical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plant growth of anthropogenic soils. However there have been no reports on soil pore properties from the anthropogenic soils so far. Therefor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test computer tomography (CT) to characterize physical properties of an anthropogenic paddy field soil and to find differences between natural and anthropogenic paddy field soils. Soil samples of a natural paddy field were taken from Ansung, Gyeonggi-do (Ansung site), and samples of an anthropogenic paddy field were from Gumi in Gyeongsangnam-do (Gasan) where paddy fields were remodeled in 2011-2012. Samples were taken at three different depths and analyzed for routine physical properties and CT scans. CT scan provided 3 dimensional images to calculate pore size, length and tortuosity of soil pores. Fractal analysis was applied to quantify pore structure within soil images. The results of measured physical properties (bulk density, porosity) did not show differences across depths and sites, but hardness and water content had differences. These differences repeated within the results of pore morphology. Top soil samples from both sites had greater pore numbers and sizes than others. Fractal analyses showed that top soils had more heterogeneous pore structures than others. The bottom layer of the Gasan site showed more degradation of pore properties than ploughpan and bottom layers from the Ansung site. These results concluded that anthropogenic soils may have more degraded pore properties as depth increases. The remodeled paddy fields may need more fundamental remediation to improve physical condit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pore analyses using CT can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of physical conditions from anthropogenic soi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