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반군 홍경래에 대항한 관군 가산군수 정시의 군인정신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Military Spirit of the Governmental Army's Gasan County Chief Against Rebel Hong Gyeong-rae

  • 정재극 (연성대학교 경찰경호보안과)
  • 투고 : 2020.09.25
  • 심사 : 2020.10.23
  • 발행 : 2020.10.31

초록

조선후기 민심을 업고 반군이 등장하게 된다. 홍경래는 지역, 신분적 차별 등을 내세워 불만세력들을 규합하여 관군과 전투를 벌이게 된다. 초전에 가산군수 정시에게 항복을 권하고 함께 반란에 참여하기를 강요하였으나 정시는 죽음으로 거부하였다. 주변 관리들은 항거하지 않고 반군에 항복하는 행태를 보였다. 홍경래의 난이 평정되었을 때 가장 피해를 본 부류는 홍경래의 선전선동에 속아 가담한 백성 2천여 명의 죽음이었다. 반란 초기에 관군의 책임자들이 적극적으로 방어하였다면 무고한 백성들의 죽음은 없었을 것이다. 반군에게 항복을 거부하고 죽음으로 대항한 가산군수 정시에 대해 역사적 재조명이 필요하다.

Rebels emerge after the late Joseon. Hong Gyung-rae will fight against the military by gathering dissatisfaction forces with regional and status discrimination. Gasan supervisor Jung - Si in the first battle. He urged him to surrender and participate in the rebellion, but Jung - Si refused to die. Surrounding officials did not protest and surrendered to the rebels. When Hong Gyeong-rae's rebellion subsided, the most damaging thing was the death of 2,000 people who were deceived and joined by Hong Gyeong-rae's propaganda. There would have been no death of the innocent people if the officials in charge of the government had actively defended them at the beginning of the rebellion. There is a need for a historical study on the time of the Gasan supervisor Jung-Si, who refused to surrender to the rebels and fought with death.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석규, 18세기말 19세기초 평안도지역 향권의 추이, 한국문화 제11권, pp389-400, 1990.
  2. 김봉곤 조선말기 노사학파 군정개혁과 그 의의 군사 제83호,pp259-284, 2012.6.
  3. 노성미, 홍경래전승의 양상과 변이연구, 경남대박사학위논문, pp9-28, 1993.
  4. 심재우 조선후기 훈련도감 군법의 특징과 효시형의 집행양상, 군사 제101호, pp303-327, 2016.3.
  5. 오수창, 홍경래 봉기군의 최고지휘부 국사관논총, p46, 재인용, 1993.
  6. 오수창, 18-19세기 동아시아 역사에 비추어본 홍경래 난의 성격, 한림대연구결과보고서, p29, 2003.
  7. 오수창 19세기초 중국 팔괘교난과 비교한 홍경래 난의 정치적 특성, 대동문화연구 56권, pp234-238, 2006.
  8. 유동호 18-19세기 충청병영의 편제와 재정 군사제84호, pp194-227.2012.9.
  9. 유동호, 이석린 조선후기 하삼도 지역의 군사편제와 군병조직, 군사제93호, pp191-229. 2014.12.
  10. 정달용, 청주정씨 대동보 9권 p950, 2002.
  11. 한국군사사8, 조선후기 II, 육군군사연구소, pp395-428,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