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s Station

검색결과 470건 처리시간 0.026초

극한지 배관망 승압기지 개념설계 및 경제성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conomic Evaluation and Conceptual Design of Compressor Station for Transmission Pipeline in Artic Area)

  • 조원정;김세윤;한효준;권휘웅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24-30
    • /
    • 2018
  • 극한지 장거리 천연가스 배관망의 경우 배관 특성 및 노선 조건에 따라 가스압력이 감소되기 때문에 가스 압력유지를 위한 승압 설비가 필요하다. 적절한 가스 압력 유지를 위해 승압기지 위치 간격을 근거리로 하여 압축비를 줄이거나 장거리로 하여 압축비를 증가시킬 경우 승압기지의 주요설비 가격, 건설 및 운전비용 등이 고려된 경제성 확보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극한지 장거리 배관망 건설에 대한 선행 연구조사를 검토하고 극한지 지역에서 승압기지의 건설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주요설비를 구성하여 공정 개념설계를 수행하였다. 특히 러시아의 야쿠츠크~알단지역에 대한 가상 지역을 선정하였고, 이 가상지역은 총 배관길이 533km 이며, 승압기지 건설 위치를 달리한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승압기지의 주요설비에 대한 용량을 산정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승압기지 건설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경제성 평가 방안을 검토하였다.

LPG자동차충전소에서 증기운폭발로 인한 인명피해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Human Damage Caused by Vapor Cloud Explosion(VCE) in LPG Filling Station)

  • 임사환;허용정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5-21
    • /
    • 2010
  • 환경친화적인 에너지원으로서 가스의 수요가 날로 급증하고 있다. 이와 함께 LPG 자동차 충전소가 점진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LPG 충전소에서 발생하는 증기운폭발 과압의 피해를 Hopkinson의 삼승근법을 이용하여 계산하고,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프로빗 모델에 적용하여 피해예측을 평가하였다. 현재 국내에서 가장 많이 운용하는 20ton 저장탱크를 대상으로 누출량 10%를 프로빗 모델에 적용하여 계산하면 LPG 충전소에서의 이격 거리는 각각 인체에 손상가능거리는 36.5m, 고막파열 손상가능거리는 290m이다.

LNG 자동차 충전소에서 BOG 확산에 따른 안전성평가 연구 (Safety Assessment on Dispersion of BOG in LNG Fueling Station)

  • 이승현;강승규;이영순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76-82
    • /
    • 2012
  • A diesel-Liquefied natural gas(LNG) combustion engine truck fleet demonstration project had been carried out and commercial expansion project was launched. The key issues of these projects are the safety of LNG fuel station and the reduction of natural gas relief. When LNG is fueled to LNG vehicles the heat is input in the LNG system. The LNG in the fueling system was boiled and the vapor of LNG is vented through the safety devices. The temperature of the vapor of LNG is $-108^{\circ}C$ and density is heavier than air. It can be dispersed to downside of the fuel station. The safety evaluation is carried out using CFD program and risk assessment program for the vapor of LNG in the LNG vehicle fuel station. The hazards are identified and suggested the operation instruction to reduce the relief of LNG vapor.

주유소 유증기 회수설비 사용에 따른 가솔린 증기의 개인노출양상 (Occupational Exposure Aspects of Gasoline Vapor According to the Use of a Gasoline Vapor Recovery System)

  • 이희명;원종욱;김치년;노재훈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56-165
    • /
    • 201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ssible effects of a gasoline vapor recovery system on personal exposure levels of gasoline vapor constituents including benzene, toluene, ethyl benzene, xylene(BTEX), and methyl tert-butyl ether(MTBE) among gas station workers in a metropolitan area. Methods: Thirty-one gas station workers at ten gas stations in a metropolitan area were selected as subjects for this study. Test method PV2028 as recommended in the OSHA process was used for sampling and analysis. Results: The personal exposure levels of benzene, toluene, ethyl benzene, xylene, MTBE and gasoline vapor in the gas station workers were $0.0018{\pm}0.0069ppm$, $0.0077{\pm}0.0137ppm$, $0.0002{\pm}0.0008ppm$, $0.0016{\pm}0.0084ppm$, $0.2619{\pm}0.3340ppm$, and $1.4940{\pm}1.7984ppm$, respectively. After adjustment for refueling frequency and volume, personal exposure levelswere higher in the gas stations where gasoline vapor recovery systems(Stage II) were not installed, but the result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Gasoline vapor concentration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to the level of MTBE, a gasoline additive. Conclusions: Vapor recovery systems(Stage II) were effective not only in reducing emissions of air pollutants, but also in reducing exposure to hazardous substances among gas station workers. In addition, acorrelation between gasoline vapors and MTBE concentration was confirmed.

정압기지내의 안전밸브 분출용량 관계식 검증을 위한 유동해석(I) - 정압기 유동 해석 및 질량 유량 검증 - (Numerical Analysis for Evaluation of Ejection Capacity Relationship of Safety Valves in Pressure Regulating Station(I) - Flow Analysis and Mass Flow Rate Verification of Pressure Regulator -)

  • 권혁록;노경철;김영섭;이성혁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99-104
    • /
    • 2008
  • 가스 정압기지 내의 가스 정압기는 배관 내의 높은 가스의 압력을 일정한 압력으로 낮추는 역할을 한다. 가스 정압기는 흐르는 가스의 유동을 제어할 뿐 아니라, 하류의 압력을 제어하는 데도 사용한다. 가스 정압기지의 안전성을 위해서 정압기와 정압기에 연결되어 있는 안전밸브의 유동 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압기의 질량 유량 및 유동 특성을 다양한 입구 및 출구 압력 조건, 그리고 개도율에 대하여 수치해석 방법을 이용하여 알아보았다. 이러한 질량 유량에 대한 수치해석 결과는 정압기 제조사로부터 제안되는 실험 수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결론적으로, 수치해석 결과와 실험 수식을 통해 얻어진 결과가 잘 일치함을 알 수 있다.

  • PDF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in Hexadecane- and Naphthalene-Enriched Gas Station Soil

  • Baek, Kyung-Hwa;Kim, Hee-Si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9권7호
    • /
    • pp.651-657
    • /
    • 2009
  • Shifts in the activity and diversity of microbes involved in aliphatic and aromatic hydrocarbon degradation in contaminated soil were investigated. Subsurface soil was collected from a gas station that had been abandoned since 1995 owing to ground subsidence. The total petroleum hydrocarbon content of the sample was approximately 2,100 mg/kg, and that of the soil below a gas pump was over 23,000 mg/kg. Enrichment cultures were grown in mineral medium that contained hexadecane (H) or naphthalene (N) at a concentration of 200 mg/l. In the Henrichment culture, a real-time PCR assay revealed that the 16S rRNA gene copy number increased from $1.2{\times}10^5$to $8.6{\times}10^6$with no lag phase, representing an approximately 70-fold increase. In the N-enrichment culture, the 16S rRNA copy number increased about 13-fold after 48 h, from $6.3{\times}10^4$to $8.3{\times}10^5$. Microbial communities in the enrichment cultures were studied by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and by analysis of 16S rRNA gene libraries. Before the addition of hydrocarbons, the gas station soil contained primarily Alpha- and Gammaproteobacteria. During growth in the H-enrichment culture, the contribution of Bacteriodetes to the microbial community increased significantly. On the other hand, during N-enrichment, the Betaproteobacteria population increased conspicuous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specific phylotypes of bacteria were associated with the degradation of each hydrocarbon.

국제 유가 변동성이 국내 휘발유 가격 비대칭성에 미치는 영향 (An Effect of Volatility of Crude Oil Price on Asymmetry of Domestic Gasoline Price Adjustment)

  • 김남제;김형건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4권1호
    • /
    • pp.351-364
    • /
    • 2023
  • Purpose -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Dubai oil price and the volatility on the asymmetry of domestic gasoline price adjustment. Additionally, the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Altteul" gas-station and tax-cut policies on asymmetry. Design/methodology/approach - Firstly, the study calculates proxies for asymmetry and volatility of each window(every 3-month) by error-correction model and GARCH(1, 1) using daily domestic gas price and Dubai oil price from 2008/04/15 to 2022/12/31. Secondly, the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he increasing rate of Dubai oil price, volatility, "Altteul" gas-station and tax-cut policies on asymmetry. The autoregressive distributed lag regression model is employed for estimations. Findings - The study finds that changes in the increasing rate of Dubai oil price and both types of volatility of Dubai oil price increase asymmetry. While "Altteul" gas-station and tax-cut policies decrease asymmetry. Additionally, the study fails to find that asymmetry in the Korean gasoline market in the estimation with total observations.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An increase in Dubai oil price volatility means an increase in cost uncertainty for gas-station owners. Since cost uncertainty is a kind of financial risk, the increase in volatility reinforces the asymmetry. The study provides supporting evidence for the idea.

가스정압관리소 기반의 복합에너지허브 기본설계 (A Basic Design of Multi Energy Hub Based on Natural Gas Governor Station)

  • 박소진;김형태;김진욱;강일오;유현석;최경식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31권5호
    • /
    • pp.405-410
    • /
    • 2020
  • In this literature, we are introduce a basic design of multi energy hub based on natural gas governor station. Multi energy hub consists of turbo expender generator, phosphoric acid fuel cell, pressure swing adsorption, H2 charging station, utilities and etc. We design a hybrid energy hub system that provides energy using these complex energies, and calculates the amount of electricity that can be produced and the amount of hydrogen charged through the process analysis. TEG and phosphoric acid fuel cell produce 2,290 to 2,380 kW and can supply electricity to 500 houses. In addition, By-product H2 gas is refined to H2 vehicle fuel. This will help maximize the balance of energy demand and supply and improve national energy efficiency by integrating unused decompression energy power generation technology and various power generation/heat source technologies.

$\cdot$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천연가스 정압소의 안전방재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nti-disaster System for Natural Gas Governor Station Using Wire and/or Wireless Communication)

  • 유휘룡;박대진;구성자;박승수;노용우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7-23
    • /
    • 1999
  • 본 연구는 전국에 산재된 천연가스 정압소를 위한 안전방재 시스템 개발을 위하여 수행되었다. 정압소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정압소의 안전상황을 수집/전송하는 RTU(Remote Terminal Unit)를 개발하여 정압소의 운전원의 역할을 대신하게 하였다. 그리고 전송된 각 정압소의 안전상황을 효과적으로 통제소 운전원에게 전달하며 추후 안전에 대한 분석을 위하여 데이터베이스 및 MMI(Man Machine Interface)를 개발하였다. 안정적인 천연가스 공급의 모든 프로세스을 제어하며, 각종 파라미터를 감시하는 원방 감시 제어 시스템(이하 SCADA 시스템)의 유선 통신 설비가 사고에 의해 무용화 될 경우, 정압소의 상황을 통제실로 전송하기 위하여 유선 및 무선 데이터 통신을 혼합한 유$\cdot$무선 자동 전환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한편 GPS(Global Position System) 및 GIS(Geometric Information System) 기술을 이용한 순찰차량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여 정압소에서 이상 징후를 보일 경우 통제소 및 순찰차량에서 동시에 정압소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게 하여 능동적인 대처가 가능하게 하였다. 그리고 3축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지진을 감지하고 전송하는 지진 감지 및 전송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지진 발생시 ESV(Emergency Shutoff Valve)를 차단할 수 있도록 최대 지반 가속도 및 SI(Spectrum Intensity)값의 크기를 전송해 줌으로서 대형사고를 방지하도록 하였다.

  • PDF

수소충전소 튜브트레일러 누출에 따른 위험성평가 (Risk Assessment of Tube Trailer Leaks at Hydrogen Charging Station)

  • 박우일;윤진희;강승규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57-62
    • /
    • 2021
  • 본 연구는 국제공동 연구로 개발 된 HyKoRAM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저장설비(튜브트레일러)의 누출 시 위험성평가를 진행하였다. 수소충전소 내의 고압가스설비는 크게 4가지로 저장설비(튜브트레일러), 처리설비(압축기), 압축가스설비, 충전설비(디스펜서)로 분류된다. 그 중 저장설비인 튜브트레일러의 설계 사양, 주변 환경 조건 등을 반영하여 기존에 발생된 사고 및 잠재적 사고 위험 사고 시나리오를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수소충전소 저장 설비의 위험을 확인하고 수소충전소 안전성 향상을 위한 대책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