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rment Industry

검색결과 250건 처리시간 0.021초

고령자용 피트니스 압박웨어 착용시의 객관적 인체생리 평가 및 주관적 만족도 평가 (Objective Physiology Evaluation and Subjective Satisfaction Evaluation when Wearing Fitness Compression Wear for the Elderly)

  • 전은진;김희은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508-519
    • /
    • 2023
  • Muscle reduction owing to aging causes changes in physical function among the elderly. Fitness compression wear reduces fatigue by compressing the main muscles, expanding blood vessels, and rapidly discharging lactic acid. The effect of clothing pressure when wearing fitness compression wear for the elderly was objectively and subjectively evaluated for six women aged 55-64 years. The evaluation clothes were three types of tops and bottoms, one type of design (A) preferred among the existing compression wear, and two types of design (B and C). The objective evaluation items included clothing pressure, blood flow, surface temperature, and subjective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clothing A had the highest clothing pressure in the straight posture and five fitness movements. Blood flow increased the most when wearing the evaluation clothing. The surface temperature was found to be the highest for clothing C, and subjective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the best when wearing evaluation clothing B. If the tensile strength was low and the tensile elongation was high, as in evaluation clothing B, it was recognized as appropriate clothing pressure, and the subject was subjectively satisfied. When manufacturing fitness compression wear in the future, it will be possible to increase users' objective and subjective satisfaction with wearing it, if the incision of the garment were placed at the location of the line of non-extension (LoNE), and appropriate material characteristics are applied.

의복 종류별 수선 실태조사와 수선방법에 관한 분석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Repair by Clothing Types and an Analysis of Repair Methods)

  • 김연희;박미경;송정아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24-332
    • /
    • 2023
  • Consumers are addressing the issue of dimensional dissatisfaction by repairing clothes, experimenting with style changes, and looking for cost-effective solutions that result in better-fitting garmen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pair status by type of clothing, analyzed the method and frequency of repair by type of clothing category and season, and analyzed consumer redesign activities. The findings revealed that upper garments, such as T-shirts, jumpers, jackets, dress shirts, and dresses, were frequently repaired. The common modifications to upper garments included(in order of frequency) shortening sleeve length, shortening overall length, reducing garment width, zipper repair, and adjusting sleeve width. Lower garments, such as pants, jeans, skirts, and training pants, followed in terms of repair frequency. The modifications to lower garments included(in order of frequency) shortening length, reducing width, adjusting waist width (both narrowing and widening), replacing elastic bands, zipper repair, and lengthening. Repairs were more frequently conducted in the order of autumn, winter, spring, and summer. Repair methods varied depending on the clothing type and alterations involved to the length and width of garments and the replacement or removal of old sections. Redesigning clothing as a recycling method was found to enhance the cost-effectiveness of the collection. The study further confirmed the sustainability aspect of redesigning and reusing clothing.

요한 하우저 아르브뤼 작품의 조형적 특성을 활용한 3D 디지털 패션 디자인 (Development of 3D digital fashion design by applying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Johann Hauser's Art brut works)

  • 김아리;이연희
    • 복식문화연구
    • /
    • 제31권1호
    • /
    • pp.70-90
    • /
    • 2023
  • This study aims to use Art brut works-the artwork of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and alienated-to influence social roles in fashion design, employing a formative expression method to promote social acceptance of diversity in the industry. The research method involved investigating Art brut's concept and evolution in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movement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 works of Art brut artist Johann Hauser. One hundred and twenty images of Johann's work were collected through online sources like the Gugging Museum's website, Christian Berst Gallery's website were developed as fashion design using the CLO 3D program.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Johann's works appeared to be transparent overlapping, divisional decorativeness emphasized simplicity, and vibrant chromaticity. Based on this analysis, the results of the 3D digital fashion designs we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atypical objects and figures in Johann's works were applied to the design silhouette, revealing a uniquely beautiful form. Second, Johann used a method in which numerous line shapes overlap and fill the area. The point of connecting the work is expressed as a graphic pattern by decorating the lines of the hem and hem of the garment with piping or attaching overlapping straps on top of pants and dresses. Third, the combination of overlapping colors used in Johann's work is a color block design of fashion, which utilizes the formative fun.

An Investigation on Fitting Dummies for the Making of Women's Clothing in their 50s~60s

  • Youngji Kook;Ho sun Lim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55-64
    • /
    • 202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usage and product conditions of clothing companies and online dummy companies for the development of fitting dummy for South Korean women's wear in their 50s and 60s. These women-targeted apparel companies mainly used nude-sized torso type and torso crotch type made of FRP material. The frequency of use of the dummies was high, while the user satisfaction was moderate. Users expressed dissatisfaction with the inaccurate reflection of the body shape according to the KS sizing system and the measurements such as the front and back intercye, upper arms, abdomen, crotch, and waist back length. Upon survey, 73.7%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development of the dummy and the appropriate age for it is 50 to 54, and they preferred the torso crotch form. In the production of online dummy companies, the torso crotch type and torso type were most widely produced, and polyurethane, FRP, and recycled paper materials were used. The size of dummy was expressed in numerical type, and 6, 7, 8, 9, 10, 12, 14, 16, 18 and 44, 55, 66, 77, 88 were being produced. Even models of the same size had significant deviation, especially in the waist circumference. Also, there was no dummy reflecting 25%~75% center interval to the KS garment sizing standards of women in their 50s and 60s. Therefore, it is desperately necessary to develop a fitting dummy for KS clothing sizing system that reflect their body sizes and shapes.

중력모형을 이용한 방글라데시 의류 유망 수출시장 추정 (A Study on the Export Potential of Bangladesh's Ready-Made Garments)

  • 수먼호세인;오근엽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7권2호
    • /
    • pp.87-108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방글라데시 의류(ready made garment) 산업과 그 수출 시장을 분석하고 장래에 수출시장으로서의 가능성을 계산하였다. 먼저 방글라데시 의류산업의 수출 현황을 실제 무역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수출상대국과의 무역량과 방향을 이용하여 무역구조를 제시한 후 중력모형을 이용하여 38개 수출국에 대해 수출결정 요인을 탐색하였다. 계량분석 모형으로는 패널데이터에 대한 회귀분석 모형을 이용하였으며 고정효과모형, 확률효과모형을 제시하고 하우스만 검정을 통해 모델선택을 다루었다. 이러한 분석으로부터 중력이론에서 제시하는 수출대상국의 경제규모, 거리 뿐 아니라 환율과 인플레이션 등도 수출 결정에서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하였으며, 수출결정식의 고정효과를 추정하여 수출 상대국들의 잠재적 시장크기를 추정할 수 있었다. 그 결과 가장 유망한 수출시장은 미국과 일본임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Sri Lanka, Pakistan, New Zealand, Egypt들은 이미 잠재수출량을 초과하였음을 보였다. 또한 현재 잠재적 수출시장의 크기에 비해 수출이 적은 국가의 경우 잠재시장 규모와 현실 수출 규모 사이에 수렴하고 있는 경향이 있는가를 측정하였으며 수렴률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만일 방글라데시가 이 분야 수출을 증가시키고자 한다면 이러한 결과에 유의하여 시장 진출 전략을 수립하여야 함을 지적하였다.

소공인클러스터의 특성과 발달단계에 대한 비교연구: 서울시 창신 및 장위 의류봉제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Comparati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Stage of Micro Manufacturers Clusters: Focused on Apparel Sewing Clusters in Changsin and Jangwi, Seoul, Korea)

  • 정영수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5-55
    • /
    • 2020
  • 소공인클러스터의 지원정책은 소공인클러스터의 지역적 특성을 반영해야 하지만, 유관기업의 통상적인 정보 수집을 기반으로 비슷한 정책만 내놓고 있다. 소공인클러스터의 지역적 특성이 파악이 안 되므로 지원정책에 반영이 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소공인클러스터의 특성을 클러스터의 특징인 국지화, 네트워킹/착근성, 혁신시너지/집단학습의 형성요소로 분석하였으며, 분석된 형성요소를 기반으로 발달단계를 적용해 보았다. 같은 업종이어도 지역적 특성이 다를 수 있으므로, 서울시 의류봉제업의 대표적인 클러스터인 창신지역과 장위지역의 소공인클러스터를 지역적 특성과 발달단계로 비교 연구하였다. 의류봉제 소공인클러스터의 특성 분석 결과, 국지화에서 동종업체 집적은 창신지역이 장위지역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네트워킹/착근성에서 두 지역 모두 잘 형성되어 있었다. 하지만 혁신시너지/집단학습의 협업에서 창신지역은 디자이너 중심으로 장위지역은 소공인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고, 박람회 및 세미나 참여와 샘플 및 제작에 있어 창신지역은 적극적인 반면 장위지역은 소극적으로 나타났다. 두 형성요소로 살펴본 결과, 두 지역의 소공인클러스터의 발달단계는 창신 의류봉제 소공인클러스터의 경우 산업지구를 넘어 혁신지구로 진행되고 있고, 장위 의류봉제 소공인클러스터는 산업지구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창신과 장위 의류봉제 소공인클러스터는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두 지역의 특성과 발달단계를 반영한 정부의 지원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언한다.

의류소재용 직·편물의 수분이동 특성 측정 방법에 따른 흡한속건성 평가 (Assessment of Wicking and Fast Dry Properties According to Moisture Transport Measurement Method of Knit and Woven Fabrics for Garment)

  • 김현아;김승진
    • 감성과학
    • /
    • 제20권2호
    • /
    • pp.117-12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직/편물 8종을 대상으로 이들 수직방향과 수평방향 수분이동특성 측정방법에 따른 소재들의 수분이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8종의 시편의 MMT에 의한 건조특성을 수직 건조 측정 결과와 비교하여 논의하였다. 수평수분이동 방법인 MMT 시험 결과는 수직법인 바이렉 방법의 결과와 유사한 거동을 나타내었다. 대나무, 린넨 및 면/나일론 복합 소재는 드롭법의 흡수시간은 짧았으며, 표면의 낮은 접촉각 및 직물의 높은 다공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며, 친수성 스테이플 섬유의 구조와 상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MMT에 의한 건조특성은 니트 및 대나무 직물의 최대 흡수반경이 가장 우수했으며, 수식 건조법에 비해 차이를 나타내었다. MMT 방법의 건조속도는 직물의 두께와 포화수분 흡수율과 높은 상관성을 가졌으며, 회귀계수는 각각 0.9와 0.88이었다. 이는 직물의 두께가 얇을수록 위킹 및 건조특성이 우수하며, 기능성 소재기획시 착용 내구성을 판단하는데 중요함을 의미한다. 또한 상이한 섬유소재, 실 및 구조의 소재에 대한 수분이동특성(위킹, 건조)는 측정 방법에 따라 다른 결과를 나타내었다.

20대 남녀의 의복색상 선호에 관한 연구 -대구시내를 중심으로- (A Study on Preference of Men and Women in Their 20s of Clothing Color -In the Taegu Areas-)

  • 은영자;박소희
    • 복식문화연구
    • /
    • 제4권3호
    • /
    • pp.305-323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y is to forecast the tendency of clothing colors, to provide materials useful for making the color plan for a better costume, and suggest new information in the apparel industry. To achieve these purpos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suggesting vogue colors of recent apparel, along with the 20 standard colors of Muncell to 350 men and women in their 20s residing in Taegu.. We analysed and compared their preferred colors in suits vidual factor ;age, sex, education ,skin color, and body shape, and additionally classifying their interest in clothing colors, cause for color selection , degree of interest in color of clothes, color satisfaction of apparel market, and color combination of clothing, color satisfaction of apparel market, and color combination of clothing. We compared these elements according to their age, sex, and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1. It was shown that both men and women in their 20s preferred warm colors the first colors mentioned being the most popular ; Pastels, Red, Blue and Black. They disliked dark and sordid colros in the order of Mauve, Khaki and Red. They preferred wearing Pastels and Yellow in the Spring, White, Blue, and Pastels were the favorites for summer, Beige in autumn, and black, Gray, and Beige in winter. The repugnated colors they chose two wear were Black, Red, Mauve, Khaki in spring and summer. Mauve, Red, Yellow were favorites for autumn, and Blue·White, Yellow·Green, and Pastels in winter. 2. The preferred colors for T-shirts were Yellow, Pastels, White in spring. White and Pastels were summer favorites, Beige an Red for autumn, and Black, Red, Beige in Winter. As for suits, the preferred colors in spring were in the order of Pastels, Beige and Yellow. The preferred colors of upper garments in summer were in the order of White and pastels. for lower summer garments Pastels, White and Blue were favorites. In autumn, Beige was shown to be highly preferred, and in winter, the order of preferred colors was Black, Gray and Beige. 3. On of those individual factors showing the greatest difference was sex. 4. Those factors having the greatest impact on the selection of clothing color were the season and their preference color. 5. The in vogue color of men in their 20s was at a higher level than hat of women. The groups that had an upper college level educa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choices thant hose who were highschool graduates and technical college student and graduates. The consideration of inteterest in color of clothes, holding clothes during new purchasing, body shape and skin color was higher for women than men. In buying and wearing accessaries, women tend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harmony with the garment, and there was shown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ighschool graduates and the groups above the level of college education.

  • PDF

블라우스 종류에 따른 감성 및 최적 색채 톤 (Sensibility According to Blouse Type and Their Best-fit Color Tone)

  • 박기주;나영주
    • 감성과학
    • /
    • 제17권2호
    • /
    • pp.123-134
    • /
    • 2014
  • 스타일이나 색채 톤과 같은 의복 요소에 대한 사용자의 감성은 섬유패션산업에서 소비자와 시장에 대하여 제품의 호소력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호소력 높은 섬유패션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의복의 감성과 적절한 용도의 관련성과 같은 상호관련 또는 복합적 연구가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서는 과학적인 방법을 이용하여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색채 톤과 여성의 대표적인 의복 블라우스의 감성을 측정하고 블라우스 종류에 따른 최적의 색채 톤을 발견하는 것이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블라우스 종류와 색채 톤 사이에 의미있는 연관성을 발견하였다. 대학생들이 가장 선호하는 종류는 셔츠 블라우스와 브라이트 톤이었다. 비비드 톤도 선호하였지만 블라우스로는 부적합하다고 응답하였다. 블라우스에는 색채톤 중에서 브라이트 톤이 가장 잘 어울린다고 답하였으며 각 블라우스 종류마다 1-2가지 최적 색채 톤이 있다고 답하였으며 블라우스의 감성과 색채 톤의 감성 간에 깊은 상관이 있었으며 블라우스의 감성에 따라서 최적 색채 톤이 결정되었다. 이는 성별, 전공유무와 상관이 없이 거의 동일하였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회혼례도첩》 속 등장인물의 복식 고찰 (Analysis of Clothing in a Painting Album of a 60th Wedding Anniversary Feast in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 이은주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6권3호
    • /
    • pp.76-98
    • /
    • 2023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회혼례도첩》(덕수6375)에 묘사된 남녀 등장인물의 복식을 분석하고 《회혼례도첩》의 제작 시기를 추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인공 노신랑은 <전안례도>와 <교배례도>에서는 평소 관원으로 착용하던 흑단령을 착용하였다. 그 외 <헌수례도>와 <접빈도>, <중뢰연도>에서는 패영 없는 자립에 옥색 포, 홍색 세조대를 둘렀다. 기럭아범은 자립에 귀 옆에 묶은 패영을 달고 흉배를 부착한 무문 흑단령을 착용하였다. 성인 남자 자손과 하객들은 도포 등 당시의 대표적인 포 종류를 착용하였는데 특히 무관으로 추정되는 인물들은 철릭, 직령을 착용하고 붉은 색 띠와 청색 계통의 띠를 신분에 맞추어 착용하였다. 징씨(徵氏) 등 안내자는 중치막과 홍단령을 착용하였으며 어린 동자들과 시동(侍童)은 중치막을 착용하였다. 술을 따르고 음식을 나르는 총각들은 땋은 머리에 소창의(小氅衣)를 입고 성인들은 전립(氈笠)에 소창의를 착용하였다. 군영 소속의 세악수들은 소색 소창의에 흑색 전복, 그리고 허리에 남색 포대 등 군복을 착용하였다. 둘째, 노신부는 <교배례도>에서는 거두미와 초록원삼 차림을 하였고 <헌수연도>에서는 남치마·옥색저고리 차림이 확인되었다. 여자 자손들은 어여머리에 비녀와 반자, 진주댕기 등의 칠보장식을 하였고 다양한 색상의 저고리에 남색과 홍색, 옥색 등의 치마를 입었다. 남치마에 초록 장옷을 입은 부인도 확인되었다. 홍치마에 초록색 회장저고리를 입은 <교배례도>의 동녀(童女) 4명은 낭자머리에 비녀 꽂고 도다익 댕기를 길게 드리웠으며 칠보족두리를 썼다. 비자(婢子)들은 어여머리에 가리마를 썼으며 양반 부인들과 유사한 치마·저고리를 착용하였으나 색상이 연했고 치마의 길이가 짧았으며 치마의 부풀림 정도가 약하였다. 기녀는 양반 부인과 비슷한 모습이었으나 색상이 덜 화려하였으며 어여머리에는 칠보장식이 없었다. 셋째, 주인공의 자립 착용, 철릭과 직령을 입은 하객들, 군영 소속 세악수 참여 등에 근거하여 회혼례의 주인공이 병조나 군영과 관련된 인물이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며 군영 악대의 전복의 소매 길이와 잠화 사용, 어여머리의 형태와 댕기, 저고리의 길이와 치마의 부풀린 형태 등에 근거하여 《회혼례도첩》의 제작 시기를 1760년대~1780년대로 추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