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ati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Stage of Micro Manufacturers Clusters: Focused on Apparel Sewing Clusters in Changsin and Jangwi, Seoul, Korea

소공인클러스터의 특성과 발달단계에 대한 비교연구: 서울시 창신 및 장위 의류봉제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 Jung, Young-Su (Graduate School of Public Policy and Information 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정영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전문대학원 공공정책전공)
  • Received : 2020.03.24
  • Published : 2020.03.31

Abstract

The support policy of Micro manufacturers clusters should reflect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Micro manufacturers clusters, but only similar policies are proposed based on the normal collection of information from related companies. Since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Micro manufacturers clusters are not understood, they are not reflected in the support policy.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Micro manufacturers clusters as the formation factors of localization, networking/embeddedness, and innovation synergy/collective learning which are the characteristics of clusters, and applied the development stage based on the analyzed formation factors. Since regional characteristics may be different in the same industry, Micro manufacturers clusters in Changsin and Jangwi, which are representative clusters of apparel sewing industry in Seoul, were compared and studied in terms of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al stag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Apparel Sewing Micro manufacturers clusters, clusters of peers were found to be higher in Changsin than in Jangwi in localization. However, in the synergy and group learning, the Changsin area was mainly centered on designers and the Jangwi area was centered on Micro manufacturers, the Changsin area was active while the Jangwi area was passive in participating in fairs and seminars, and in sample and produc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two formation factors, the development stage of Micro manufacturers clusters in the two regions is progressing beyond the industrial district in the case of Micro manufacturers clusters in Changsin apparel sewing, and the Micro manufacturers clusters in the Jangwi apparel sewing are analyzed to stay in the industrial district. Innovative and long-established garment sewing clusters suggest that the government's support policy needs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stages of the two regions for sustainable growth.

소공인클러스터의 지원정책은 소공인클러스터의 지역적 특성을 반영해야 하지만, 유관기업의 통상적인 정보 수집을 기반으로 비슷한 정책만 내놓고 있다. 소공인클러스터의 지역적 특성이 파악이 안 되므로 지원정책에 반영이 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소공인클러스터의 특성을 클러스터의 특징인 국지화, 네트워킹/착근성, 혁신시너지/집단학습의 형성요소로 분석하였으며, 분석된 형성요소를 기반으로 발달단계를 적용해 보았다. 같은 업종이어도 지역적 특성이 다를 수 있으므로, 서울시 의류봉제업의 대표적인 클러스터인 창신지역과 장위지역의 소공인클러스터를 지역적 특성과 발달단계로 비교 연구하였다. 의류봉제 소공인클러스터의 특성 분석 결과, 국지화에서 동종업체 집적은 창신지역이 장위지역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네트워킹/착근성에서 두 지역 모두 잘 형성되어 있었다. 하지만 혁신시너지/집단학습의 협업에서 창신지역은 디자이너 중심으로 장위지역은 소공인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고, 박람회 및 세미나 참여와 샘플 및 제작에 있어 창신지역은 적극적인 반면 장위지역은 소극적으로 나타났다. 두 형성요소로 살펴본 결과, 두 지역의 소공인클러스터의 발달단계는 창신 의류봉제 소공인클러스터의 경우 산업지구를 넘어 혁신지구로 진행되고 있고, 장위 의류봉제 소공인클러스터는 산업지구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창신과 장위 의류봉제 소공인클러스터는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두 지역의 특성과 발달단계를 반영한 정부의 지원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언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가균형발전위원회, http://balance.go.kr(최종열람일: 2020년 2월 21일).
  2. 권성택.김상욱, 2006, "첨단산업클러스터 형성요인들간의 인과관계분석,"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 연구 7(2), pp.133-148.
  3. 김선배, 2001, "산업의 지식집약화를 위한 혁신체제 구축 방향," 한국경제지리학회지 4(1), pp.61-76.
  4. 김정훈.성열홍, 2018, "도시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 사례 연구-서울시 도시형 소공인을 중심으로,"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구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논문집) 55, pp.149-161.
  5. 김철민.김녹현, 2017, "신발소공인 산업의 실태분석 및 정책 지원 방향: 부산진구 범천동을 중심으로,"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22(6), pp.47-59. https://doi.org/10.9723/jksiis.2017.22.6.047
  6. 김철민.신승만, 2015, "소상공인 및 자영업자 지원정책에 관한 小考: 비판적 고찰," 산업혁신연구 31(4), pp.175-205.
  7. 김철민.정중영, 2016, "도시형 소공인 개념, 현황 및 지원정책에 관한 소고," 중소기업연구 38(3), pp.119-133.
  8. 김주인.백낙기.이재광, 2014, "AHP를 이용한 봉제.의류제 조업의 해외입지선정 모형 및 적용사례,"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16(3), pp.377-388. https://doi.org/10.12812/ksms.2014.16.3.377
  9. 남기범, 2004, "클러스터 정책실패의 교훈," 한국경제지리학회지 7(3), pp.407-443.
  10. 남윤형, 2013, "도시형 소공인 지원활성화 방안," 중소기업연구원.
  11. 박소현.이금숙, 2016, "서울대도시권 지식서비스산업의 입지적 특성과 관련 업종별 고용기회 예측,"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9(4), pp.694-711. https://doi.org/10.23841/egsk.2016.19.4.694
  12. 박진용.신승만, 2013, "제조업 핵심 공급자로서의 도시 소공인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안 연구," 무역연구 9(7), pp.473-495.
  13. 소상공인정책연구소.더불어민주당 소상공인특별위원회, 2016, 중소기업 소공인 일자리 70만개 창출과 경제 민주화, 제조업 경쟁력 강화와 튼튼한 바닥경제를 위한 토론회.
  14.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http://www.semas.or.kr(최종열람일: 2020년 2월 21일).
  15. 신혜원, 2011, 일본의 장인(匠人)정신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양갑모, 2013, "소공인특화지원센터 운영방식에 관한 연구," 한국창업학회 Conferences, pp.225-239.
  17. 윤정호.정연대.김영수, 2018, "문래 기계.금속 집적지의 소공인 기술혁신을 위한 협업모델 및 사례에 관한 연구," 한국창업학회지 13, pp.126-153. https://doi.org/10.24878/TKES.2018.13.6.126
  18. 이관률, 2005, 국가산업단지 혁신클러스터의 특성과 영향 구조에 관한 연구: 구미국가산업단지를 사례로,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이철우, 2011, "대도시 도심 제조업 집적지의 형성과정과 존립기반: 대구시 수제화 산업을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4(4), pp.506-523.
  20. 장미진, 2016, 사회관계망 분석을 이용한 창신패션클러스터의 협력네트워크 유형,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조봉현, 2012, "소공인의 실태와 활성화 과제," 신안보연구 172, pp.141-173.
  22. 조영석, 2005, "산업단지 중심의 혁신클러스터 형성전망과 과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7, pp.73-90.
  23. 중소벤처기업부, https://www.mss.go.kr(최종열람일: 2020년 2월 21일).
  24. 최병훈.조현석, 2010, "산업클러스터와 혁신-사회적 자본과 구조적 요인의 영향 분석," 한국정책학회보 19(3), pp.109-137.
  25. 최태환.윤병섭, 2016, "소공인의 심리적 특성, 환경불확실성, 산업클러스터 특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네트워크와 협력의 매개효과," 한국산업경영학회 발표논문집, pp.1-32.
  26. 통계청, http://kostat.go.kr(최종열람일: 2020년 2월 21일).
  27. 한구영, 2017, 클러스터의 진화-동대문시장 패션클러스터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황주성, 2000, "강남.서초지역의 산업지구적 성격규명을 위한 실증연구," 지역연구 16(1), pp.1-22.
  29. 황주성, 2004, "대덕 IT 클러스터의 구조와 특성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지 7(3), pp.359-384.
  30. Braczyk, H. J., Cooke, P. N. and Heidenreich, M.(eds.), 1998, Regional innovation systems: the role of governances in a globalized world, London: Psychology Press.
  31. Capello, R., 1999, "Spatial transfer of knowledge in high technology milieux: learning versus collective learning processes," Regional Studies 33(4), pp.353-365. https://doi.org/10.1080/00343409950081211
  32. Cooke, P., 1998, "Introduction: origins of the concept." Braczyk, H.-J., Heidenreich, M. and Cooke, P.(eds.), Regional innovation systems, London: UCL Press, pp.2-27.
  33. Gordon, I. R. and McCann, P., 2000, "Industrial clusters: complexes, agglomeration and/or social networks?," Urban Studies 37(3), pp.513-532. https://doi.org/10.1080/0042098002096
  34. Malecki, E. J. and Paivi, O., 1999, Making connections: technological learning and regional economic change, Farnham: Ashgate Publishing Company.
  35. Marshall, A., 1890, Principles of Economics, 8th edn (1920), London, Mcmillan.
  36. Porter, M. E., 1990,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nations: with a new introduction, Free Pr.
  37. Porter, M. E., 1998, "Clusters and the new economics of competition," Harvard Business Review 76(6), pp.77-90.
  38. Rosenfeld, S., 1997, "Bringing business clusters into the mainstream of economic development," European Planning Studies 5(1), pp.3-23. https://doi.org/10.1080/096543197087203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