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ngwon-Do

검색결과 1,172건 처리시간 0.03초

강원도 인삼재배지 농약 사용 실태 (Survey on Pesticide Use by Ginseng Growers at Gangwon Farmland in Korea)

  • 강혜순;박동식;황윤갑;김성문
    • 농약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10-215
    • /
    • 2007
  • 본 연구는 강원도내의 4개시 8개군에 거주하는 271명의 인삼 재배자들을 대상으로 36문항의 설문지를 이용하여 강원도 인삼 재배지의 농약사용 실태를 조사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빈도 및 교차 통계분석을 하였다. 설문조사 대상자들은 강원도 인삼 재배지에 문제가 되는 식물병으로 점무늬병, 탄저병, 잿빛곰팡이병, 뿌리썩음병, 균핵병, 해충은 달팽이, 줄기 굴파리, 굼벵이, 선충, 거세미나방, 잡초는 망추 바랭이, 명아주, 피, 쑥 등을 선정하였다. 이를 방제하기 위하여 응답자의 35%는 농약에 의존한다고 하였으며, 31.5%는 농약사용뿐만 아니라 해충의 천적과 미생물 이용 및 친환경자재 등을 혼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체 응답자의 78.8%가 본인의 경험, 농약상 및 이웃의 추천 등으로 농약을 선정하고 있었으며, 이의 결과로 강원도 인삼 재배지에서 미적용 약제를 사용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농약 살포 시 기준량을 준수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96.3%), 이것은 낮은 비율의 인삼약해(30.1%)와 살포자 중독 경험(38.8%)을 초래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사용 농약을 2년에서 5년간 연용하고 있어(44.1%) 이 지역 병해충 및 잡초의 약제 저항성 유발가능성이 높아 이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으며, 올바른 농약 선정 및 사용법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하천 유역권에 의한 권역구분과 권역별 규제지역 분석 - 강원도 지역을 대상으로 - (River Basin based Region Reconstruction and it's Regulation Analysis: A Case of Gangwon Province)

  • 김창환;배선학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0-33
    • /
    • 2006
  • 산업 구조의 변화와 교통 통신의 발달은 인간이 거주하는 공간의 범위와 의미에 대한 정형화된 인식의 변화를 요구한다. 또한 세계는 점차 특화되고 기능화된 권역들로 블록화 되어 권역간의 경쟁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이 같은 현실에서 현재의 최소 행정단위인 기초자치단체의 행정력과 공간적 범위로 세계화 속에서 경쟁하기에는 그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광역적인 수준에서의 의사결정을 위한 도구로서 GIS를 활용하여, 공간적으로 인접하여 위치하며 유사한 환경적 특징을 지니는 지역들이 공동의 문제 해결과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기능적 권역을 설정하고, 이렇게 설정된 각 권역별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광역적 수준에서의 GIS 활용은 인접지역간의 비효율적 재정집행과 과다한 경쟁을 조율에 있어서 보다 개선된 객관성과 합리성을 제시할 수 있으며, 해당 지역들의 경쟁력 확보와 특화를 위한 광역자치단체 차원에서의 효율적인 예산집행과 계획수립을 가능케 한다. 대상지역인 강원도 지역의 권역설정 기준으로는, 자연환경이 상대적으로 큰 가치를 지니는 강원도의 특성과 수자원의 상대적 가치와 중요성을 고려하여, 자연적 지역구분의 요소 중 하나인 유역권을 기준으로 하였다. 그리고 이 연구에서는 유역권에 의하여 설정된 권역에 대하여, 환경과 관련된 여러 특징 중 지역의 경쟁력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환경규제 현황을 그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강원도 지역을 영동권역, 북한강권역, 남한강권역의 세 권역으로 구분하여 권역별 규제현황을 분석한 결과 북한강 권역은 군사시설 보호구역의 비율과 수자원 보호를 위한 규제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남한강 권역은 산림과 수자원관련 규제비율이 높았으며, 영동권역은 산림과 관련된 규제비율이 높았다. 강원도 지역의 경우 전반적으로 산림과 수자원에 관련된 규제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 PDF

강원과 충북지역 콩씨스트선충과 반짝이콩씨스트선충의 분포상 및 토양 특성 (Plant Parasitic Nematode Fauna of Heterodera glycines and H. sojae, and Soil Characteristics of Soybean Fields in Gangwon-do and Chungcheongbuk-do)

  • 김영준;이동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37-47
    • /
    • 2019
  • 콩 재배지에서 콩씨스트선충(Heterodera glycines)과 반짝이씨스트선충(Heterodera sojae)의 지리적 분포에 관한 조사를 강원도와 충청북도 지역에서 수행하였다. 강원지역 10개시군, 67개 포장에서는 콩씨스트선충이 13개소, 반짝이콩씨스트선충이 5개소에서 검출되었고, 두 선충 혼재하는 포장도 2곳이었다. 충북지역 9개 시군에서는 84개 조사 포장 중 27개소에서 콩씨스트선충이 검출되었고, 반짝이콩씨스트선충 4개소, 두선충 혼재 발생지 5곳이었다. 강원, 충북 지역에서 콩씨스트선충류 검출 여부에 따라 발생하는 다른 식물기생성선충 속의 다양성과 우점도 지수는 콩 재배지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콩씨스트선충과 토양 화학성 사이의 관계 분석에서는 결정계수가 낮게 나타났으며 콩씨스트선충의 밀도가 높은 토양에서는 pH와 가용성 인산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씨스트선충이 검출된 토양의 토성은 사질토가 전체 샘플의 60%를 차지하였다. 점토와 미사의 함량이 높은 토양에서는 콩씨스트선충의 밀도가 낮은 경향을 보였고, 모래 함량이 높은 토양에서 밀도는 높게 나타났다.

강원도 토석류 산사태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Landslides of Debris Flow in Gangwon-do)

  • 유남재;전상현;박남선
    • 산업기술연구
    • /
    • 제28권A호
    • /
    • pp.3-10
    • /
    • 2008
  •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debris flow landslides in Gangwon Province through literature review, data collection and analyses and site investigation. As results of data analyses about landslides occurred currently in this province, the landslide in the form of debris flow is found to be 55 %. Therefore major loss and costs are caused by discharge of soil and rock fragments from landslide. From results of analyzing the geometrical characteristics of landslide, length of most of landslide is less than 200 m, their width is in the range of 10 - 40 m, most of them are know to be occurred in lower elevation than 400 m. Slope angle is in the range of 25 - 35 degrees. Comparing the period of rainfall intensity with the time of landslide being occurred, occurrence of landslide is quite related to duration of a heavy rainfall. For measures of controlling water flow discharge and debris flow, considering geological and topographical ground conditions, appropriate selection and building check dam, erosion control dam and ring net is very beneficial for reducing the loss and costs caused by the landslide of debris flow.

  • PDF

고체상추출법과 HPLC/MSD/FLD를 이용한 수질중의 페놀 분석 (Determination of phenol using solid-phase extraction and HPLC/MSD/FLD in water)

  • 이태준;박근영;표동진
    • 분석과학
    • /
    • 제28권6호
    • /
    • pp.370-376
    • /
    • 2015
  • Priority pollutant이며 페놀성화합물의 전구체인 페놀을 고체상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 정제하여 형광검출기와 질량분석기가 각각 장착된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분석하는 방법을 설정하여 보았다. 고체상추출은 고분자성물질이 충진된 Oasis HLB cartridge를 이용하여 최적의 조건을 확립하였으며 이때의 평균회수율은 87.0% 이었다. 형광검출기를 이용한 경우가 질량분석기를 이용한 경우보다 검출한계가 낮았으나 선택성의 측면에서 질량분석기가 우수하였다.

한랭지역(강원권)에서의 도로터널 라이닝부 피해 현황 연구 (A Study on Current Extent of Damage of Road Tunnel Lining in Cold Regions (Gangwon-do))

  • 진현우;황영철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49-58
    • /
    • 2017
  • 국내 한랭지역(강원권)의 경우 낮은 연평균 기온에 의한 도로터널 라이닝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라이닝에 균열, 망상균열, 박락, 박리, 누수 등의 문제가 발생하며, 해마다 경제적 손실 및 인명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기온에 따른 도로터널 라이닝의 피해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한랭지(강원권) 터널 70개를 조사함으로써 현재 한랭지역의 피해현황을 분석하였고, 같은 한랭지역 중 비교적 따뜻한 기온을 가지는 강릉 지역과 기온이 낮은 홍천 지역의 터널 라이닝 피해를 비교함으로써 기온이 도로터널 라이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영유아 자녀돌봄 자원 공급 수준에 따른 지역사회 유형화 (Categorization of Community Types Based on Childcare Resource Supply for Infants and Toddlers)

  • 김소영;유재언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1권2호
    • /
    • pp.233-245
    • /
    • 2023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ommunity-level childcare infrastructure for infants and toddlers and to use the data to categorize community types using K-Means cluster analysis with spatial constraints. Seven indicators of childcare resource supply were used for the purpose of categorization and the results revealed six types of community cluster. Communities in the Type 1 cluster provided sufficient parks, libraries, and kindergartens, but lacked pediatric facilities and private education institutions. This cluster comprised small cities and rural areas in Gangwon-do, Gyeongsangbuk-do, Chungcheongbuk-do, and Jeollabuk-do. The Type 2 cluster had numerous pediatric facilities and childcare centers, but lacked other childcare infrastructure. This comprised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n Gyeonggi-do, some areas in Chungcheongnam-do, Chungcheongbuk-do, and Gangwon-do bordering Gyeonggi-do. The Type 3 cluster comprised Busan, Daegu, and Gyeongsangnam-do, but had insufficient childcare infrastructure as a whole. Type 4 had the largest number of childcare centers, libraries, and private education institutions and comprised Jeollabuk-do, areas near Gwangju, and Jeju-do. Type 5, consisting of Seoul, Incheon and the southern part of Gyeonggi-do had many pediatric facilities and certified childcare centers, but lacked other childcare infrastructure. Type 6, being the rural areas and islands in Jeollanam-do, had sufficient kindergartens, but other infrastructure was insufficient.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 local government with policy implications in terms of relieving the childcare burden on residents with infants and toddlers.

동해 강원도 연안 용가자미, Hippoglossoides pinetorum의 성숙과 산란 (Maturity and spawning of the pointhead flounder, Hippoglossoides pinetorum in the coastal waters off Gangwon-do, East Sea)

  • 양재형;조정현;김종빈;박정호;이수정;윤병선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4권4호
    • /
    • pp.296-305
    • /
    • 2018
  • Maturity and spawning of the pointhead flounder, Hippoglossoides pinetorum were investigated on the basis of samples collected in the coastal waters off Gangwon-do, East Sea from January 2012 to December 2013. The average total length of H. pinetorum was 25.0 cm and 21.9 cm for females and males, respectively. The spawning period was from May to July according to monthly changes gonadosomatic index (GSI) and maturity stages. The spawning period in Gangwon-do was delayed relatively to that in Gyeongbuk-do. The mature egg diameter ranged between $300-700{\mu}m$. The relationship between TL and fecundity (F) was F = 63.574 TL - 1471.3 ($R^2=0.7603$), that is, the larger total length, the more fecundity H. pinetorum had. We estimated that the TLs at 50% group maturity were 25.6 cm for females and 19.9 cm for males. The spawning ecology by sea area should be considered efficient resource management for H. pinetorum.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study more on the relationships among growth, maturity and water temperature variations in the East Sea.

강원도 횡성지역의 지하수 수질 모니터링 및 인체 위해성 평가 (Water Quality Monitoring and Risk Assessment for Groundwater at Hoengseong, Gangwon-do Province)

  • 강승혜;김기태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56-365
    • /
    • 2021
  • Background: Concerns have been raised regarding the criteria of groundwater, in particular in Gwangwon-do Province where many residents drink groundwater due to the poor supply of tap water and a high nonconformity rate with water quality criteria nationwide. Objectives: Water quality monitoring and risk assessment were conducted for groundwater in Hoengseong, Gangwon-do Province. Methods: A total of 46 items required for meeting drinking water criteria were analyzed from 258 samples collected from March 2017 through August 2018 (152 sites in 2017 and 106 sites in 2018). Risk assessment was conducted for two non-carcinogens (F- and NO3-N), and one carcinogen (i.e., arsenic) based on their high nonconformity to water quality criteria. Results: Water quality analysis revealed that the total proportion of nonconformities was determined to be 27.9%. The nonconformity rate for each content item is as follows: total colony counts (1.6%), total coliform (6.2%), Escherichia coli (1.2%), F- (8.1%), arsenic (4.7%), NO3-N (8.1%), pH (1.2%), manganese (0.4%), and turbidity (5.8%). Risk assessment indicated that fluoride induced a hazard quotient greater than 1 with the 95% UCL (Upper Confidence Limit) concentration of the total 258 sites and average, median, and 95% UCL concentrations of nonconformity sites. For NO3-N, there was no human health risk. For arsenic, the excess cancer risk exceeded the acceptable cancer risk of 1×10-6 with the average and 95% UCL concentrations of total 258 sites and average, median, and 95% UCL concentrations of nonconformity sites.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expand water quality monitoring of groundwater and conduct a more detailed risk assessment in order to establish a health care plan for the residents of Hoengseong, Gangwon-do Province.

Prediction of potential spread areas of African swine fever virus through wild boars using Maxent model

  • Lim, Sang Jin;Namgung, Hun;Kim, Nam Hyung;Oh, Yeonsu;Park, Yung Chul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6권1호
    • /
    • pp.54-61
    • /
    • 2022
  • Background: In South Korea, African swine fever virus (ASFV) has spread among wild boars through Gangwon-do to Dangyang-gun, Chungcheongbuk-do on the southern border of Gangwon-do. To prevent the spread of ASFV to African swine fever (ASF)-free area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areas with a high probability of finding ASFV-infected carcasses and to reduce the density of wild boars in those areas. In this study, we described the propagation trend of ASFV among wild boars, constructed the habitat suitability maps for ASFV-infected carcasses, and suggested areas with a high probability of finding ASFV-infected carcasses and an important route of ASFV transmission. Results: Despite the active quarantine policies in Korea to prevent the spread of ASFV through wild boar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onthly average of number of ASFV-infected carcasses observed between 2020 and 2021. The ASFV-infected carcasses were found more in winter and spring (January to April). Since the first ASF outbreak in wild boars on October 2, 2019, the maximum width of ASFV-infected carcass distribution area was 222.7 km for about 26 months till November 20, 2021. The habitat suitability map, based on GPS coordinates of ASFV-infected wild boar carcasses, shows that highly detectable areas of ASFV-infected carcasses were sporadically dispersed in western and southwestern parts of Gangwon-do, and ranged from north to south of the province along the Baekdudaegan Mountains, whereas poorly detectable areas ranged along the north to the south in the middle parts of the province. Conclusions: Our suitability model, based on the GPS coordinates of ASFV-infected carcasses, identifies potential habitats where ASFV-infected carcasses are likely to be found and ponential routes where ASFV is likely to spread. Among ASF-free areas, the areas with high suitability predicted in this study should be given priority as survey areas to find ASFV-infected carcasses and hunting areas to reduce wild boar popul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