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mma Distribution

검색결과 869건 처리시간 0.042초

Fixed-accuracy confidence interval estimation of P(X > c) for a two-parameter gamma population

  • Zhuang, Yan;Hu, Jun;Zou, Yixuan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27권6호
    • /
    • pp.625-639
    • /
    • 2020
  • The gamma distribution is a flexible right-skewed distribution widely used in many areas, and it is of great interest to estimate the probability of a random variable exceeding a specified value in survival and reliability analysis. Therefore, the study develops a fixed-accuracy confidence interval for P(X > c) when X follows a gamma distribution, Γ(α, β), and c is a preassigned positive constant through: 1) a purely sequential procedure with known shape parameter α and unknown rate parameter β; and 2) a nonparametric purely sequential procedure with both shape and rate parameters unknown. Both procedures enjoy appealing asymptotic first-order efficiency and asymptotic consistency properties. Extensive simulations validate the theoretical findings. Three real-life data examples from health studies and steel manufacturing study are discussed to illustrate the practical applicability of both procedures.

ON CHARACTERIZING THE GAMMA AND THE BETA q-DISTRIBUTIONS

  • Boutouria, Imen;Bouzida, Imed;Masmoudi, Afif
    • 대한수학회보
    • /
    • 제55권5호
    • /
    • pp.1563-1575
    • /
    • 2018
  • In this paper, our central focus is upon gamma and beta q-distributions from a probabilistic viewpoint. The gamma and the beta q-distributions are characterized by investing the nature of the joint q-probability density function through the q-independence property and the q-Laplace transform.

Generalized Gamma 분포 모형의 매개변수 유도 방법에 의한 설계홍수량의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Design Flood by Different Methods for the Estimation of Parameters in Generalized Gamma Distribution Model)

  • 이순혁;맹승진;류경식
    • 한국관개배수논문집
    • /
    • 제5권1호
    • /
    • pp.32-46
    • /
    • 199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rive optimal design floods by generalized gamma distribution model of the annual maximum series at six watersheds along Han and Nag Dong river systems. Design floods obtained by different methods for estimation of parameters

  • PDF

Derivation of the Fisher Information Matrix for 4-Parameter Generalized Gamma Distribution Using Mathematica

  • Park, Tae Ryong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7권2호
    • /
    • pp.138-144
    • /
    • 2014
  • Fisher information matrix plays an important role in statistical inference of unknown parameters. Especially, it is used in objective Bayesian inference where we calculate the posterior distribution using a noninformative prior distribution, and also in an example of metric functions in geometry. To estimate parameters in a distribution, we can use the Fisher information matrix. The more the number of parameters increases, the more its matrix form gets complicated. In this paper, by using Mathematica programs we derive the Fisher information matrix for 4-parameter generalized gamma distribution which is used in reliability theory.

월유출량에 대한 Run-Length의 해석 (Analysis of Surplus and Dficit-using Runs for Monthly Streamflow)

  • 강관원;안경수;김양수
    • 물과 미래
    • /
    • 제18권4호
    • /
    • pp.317-325
    • /
    • 1985
  •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한강 및 금강의 중요관측지점의 월평균 유출량을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먼저 일정유량(Truncation level) 별로 Run-length와 Run-sum에 대한 2-변수 Gamma 분포 및 대수정규분포의 적합성 여부를 검토하였던 바 Gamma 모델이 적합한 것으로 판명된 자료와 실측치와 비교하였다. 그리고 Run-length 및 Run-sum에 대한 일정유량별로 평균치의 변화에 대한 성질을 구명하였다.

  • PDF

Coalescence behavior of dispersed domains in binary immiscible fluid mixtures having bimodal size distributions under steady shear flow

  • Takahashi Yoshiaki;Kato Tsuyoshi
    • Korea-Australia Rheology Journal
    • /
    • 제17권3호
    • /
    • pp.125-130
    • /
    • 2005
  • Coalescence process of binary immiscible fluid mixtures having bimodal size distributions, prepared by mixing two pre-sheared samples at different shear rates, ${\gamma}_{pre1}\;and\;{\gamma}_{pre2}$, under shear flow at a final shear rate, ${\gamma}_f$, are examined by transient shear stress measurements and microscopic observations in comparison with the results for simply pre-sheared samples having narrow size distributions (unimodal distribution samples). Component fluids are a silicone oil (PDMS) and a hydrocarbon-formaldehyde resin (Genelite) and their viscosities are 14.1 and 21.0 $pa{\cdot}sec$ at room temperature $(ca.\;20^{\circ}C)$, respectively. The weight ratio of PDMS: Genelite was 7:3. Three cases, $({\gamma}_{pre1}=7.2sec^{-1},\;{\gamma}_{pre2}=12.0sec^{-1}\;and\;{\gamma}_f=2.4sec^{-1}),\;({\gamma}_{pre1}=0.8sec^{-1},\;{\gamma}_{pre2}=4.0sec^{-1}\;and\;{\gamma}_f=2.4sec^{-1}),\;and\;({\gamma}_{pre1}=7.2sec^{-1},\;{\gamma}_{pre2}=12.0^sec^{-1}\;and\;{\gamma}_f=7.2sec^{-1})$ the first case, transient shear stres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but domains larger than the initial state are observed at short times. In the latter cases, there exist undershoot of shear stress, reflecting existence of deformed large domains, which is confirmed by the direct observation. It is concluded that coalescence between large and small domains more frequently occur than coalescence between the domains with similar size in the bimodal distribution samples.

일 강우량의 모의 발생을 통한 갈수유량 계열의 산정 및 빈도분석 (Low Flow Frequency Analysis of Steamflows Simulated from the Stochastically Generated Daily Rainfal Series)

  • 김병식;강경석;서병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2권3호
    • /
    • pp.265-279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Markov 연쇄 모형에 의해 산정된 모의 일 강우량을 일 유출모형인 Tand 모형에 입력시켜 모의 일유출량을 산정함으로써 저수유량계열을 확장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또한, 모의된 일 유량계열로부터 지속기간별 연 최저치 계열을 작성하였으며, 지속기간별 연 최저치계열에 대한 빈도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분포형은 Lognormal-2, Lognormal-3, Gamma-2, Gamma-3, LogGamma-3, Gumbel-2, Weibull-2 분포이었으며, 모수추정은 모멘트법과 최우도법을 사용하였다. Kolmogorov - Sminorv 검정방법으로 지속기간별 연 최저치 계열에 적합한 확률분포형을 결정하고, 용담댐 지점을 대상으로 하여 지속기간별 갈수 빈도곡선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방법을 적용하면 과거 저수 유량계열의 통계적 특성을 잘 나타내는 일 유량의 모의가 가능 하여, 갈수유량계열 자료가 빈곤한 유역에서 확률 갈수량을 추정하는데 유용하리라고 판단된다.

  • PDF

이차원 양성자 선량 분포 확인을 위한 즉발감마선 이차원분포 측정 장치 개발 (Development of Two-dimensional Prompt-gamma Measurement System for Verification of Proton Dose Distribution)

  • 박종훈;이한림;김찬형;김성훈;김성훈;이세병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6권1호
    • /
    • pp.42-51
    • /
    • 2015
  • 양성자 치료 시 양성자 빔을 사용하여 정밀한 치료를 수행하고 환자의 안전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인체 내 양성자 빔의 선량 분포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팀은 이전 연구에서 1차원 배열형 검출기를 종형으로 배치하여 빔 진행방향으로 이동시켜가면서 2차원적인 즉발감마선 분포를 측정하여 양성자 선량 분포와 유사한 분포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즉발감마선 이차원분포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기 위해 이차원 평행다공형 집속 장치, 이차원 배열의 NaI(Tl) 섬광체와 MA-PMT로 이루어진 즉발감마선 이차원분포 측정 장치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즉 발감마선 이차원분포 측정 장치의 성능을 평가한 결과 $^{22}Na$ 감마선원의 에너지 분해능은 $10.9%{\pm}0.23p%$ (0.511 MeV)와 $6.4%{\pm}0.24p%$ (1.275 MeV)로 평가되었으며, $^{137}Cs$$9.8%{\pm}0.18p%$ (0.662 MeV)로 평가되었다. 고에너지 Am-Be 선원의 double escape 피크인 3.416 MeV의 에너지 분해능은 $11.4%{\pm}3.6p%$로 평가되었다. 본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45 MeV 양성자 빔을 PMMA에 조사하여 발생한 즉발감마선 이차원분포를 측정한 결과 0.5 nA의 세기의 양성자 빔에서 $9{\times}10^9$ 양성자 조사 시 양성자 선량 분포와 유사한 즉발감마선 이차원분포를 측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추가로 측정한 즉발감마선 이차원분포의 프로파일 분포를 이용하여 양성자 빔의 비정을 평가해 본 결과 $17.0{\pm}0.4mm$로 평가되었고, 실제 비정인 17.4 mm과 굉장히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스테레오 기반 감마선원 탐지 및 가시화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Radioactive Source Detection and the Visualization with the Stereo Radiation Detector)

  • 박강택;이남호;차한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100-1102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스테레오 기반 감마선원 탐지장치를 통해 감마선원을 포함하는 공간을 래스터 스캔방식으로 스캔하여 가시광영상과 감마선영상을 획득하고, 스테레오 감마선 탐지장치로부터 선원까지의 거리와 방향에 대한 3차원 정보 획득 및 가시화를 수행하였다. 탐지장치의 구성은 감마선원 탐지를 위한 방사선 검출부, 선원탐지를 위해 래스터스캔방식의 스캔을 위한 팬틸트 그리고 가시광영상을 위한 CCD 카메라로 이루어진다. 선원에 대한 공간분포를 측정하기 위해 스테레오 구조의 장치를 구현하였으며 스테레오 영상획득을 위해 CCD 카메라와 감마선 탐지장치는 각각 2대로 구성하였다. 탐지선원에 대한 분포를 나타내기 위해 감마선 탐지 장치와 가시광 카메라에 대한 보정을 수행하였고, 각각의 카메라에 대한 스테레오 보정을 수행한 후 가시광영상과 감마선영상 중첩을 통해 감마선원에 대한 분포를 나타내었다. 좌, 우 분포영상에 대한 정류화처리 후 스테레오 영상에 대한 가시화결과를 도출하였다.

  • PDF

감마선 분포탐지를 위한 조사구 및 차폐체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collimator and radiation shield for the detection of the gamma-ray distribution)

  • 황영관;이남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44-945
    • /
    • 2016
  • 감마선 영상화 장치에서 감마선을 탐지하는 검출부는 선원을 바라보는 Collimator와 Collimator 이외의 방향에서 입사되는 감마선을 차폐하기 위한 차폐체로 구성되며 검출센서는 해당 차폐체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감마선에 대한 분포는 Collimator의 입사구를 통해 들어오는 신호와 검출부가 바라보는 방향에 대한 정보를 통해 분포를 나타낼 수 있다. 때문에 입사구에서 들어오는 신호 외에는 잡음으로 처리해야 하므로 차폐체의 역할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상용 감마선 탐지장치의 보다 축소된 납 기반의 콜리메이터 및 차폐체에 대하여 구조와 물성을 변경하여 소형, 경량화 된 Collimator 및 차폐체를 제작하였다. 또한 감마선 조사시험시설을 이용하여 감마선 입사구의 측정된 신호값을 기준으로 차폐 효율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제작된 Collimator 및 차폐체가 영상화 장치구현를 구현하는데 보다 효율적임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