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ming Disorder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4초

확률형 아이템 이용은 인터넷 게임 과몰입을 예측하는가? (Can Random Reward Item Usage Predict the Internet Gaming Disorder Tendency?)

  • 이수진;전용준;채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439-45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확률형 아이템과 게임 과몰입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확률형 아이템을 성능 확률형과 치장 확률형, 그리고 비확률형 아이템을 사용하는 세 집단으로 구분 후, 집단간 게임 과몰입을 포함한 변인들의 차이를 살펴보고, 게임 과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통계학적, 심리사회적 변인이 무엇인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게임 이용률이 가장 높은 20대를 대상(N=413)으로 인구통계학적 변인(연령, 성별), 게임 과몰입, 게임시간, 게임이용비용, 확률형아이템이용비용(이하 확률형이용비용)을 측정하고, 심리사회적 변인은 기질 및 성격, 인지정서조절, 스트레스를 Cloninger의 기질 및 성격 검사,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도, 일상생활 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여 각각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게이머의 2/3가 확률형 아이템 게임을 즐기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자의 비율이 남자의 비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이템 유형에 따라 구분한 세 집단 간에는 게임 과몰입, 게임시간, 게임이용비용, 확률형이용비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셋째, 게임 과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게임이용비용, 게임시간, 부적응적 인지정서조절, 스트레스, 자극추구 기질과 연대감 성격으로 나타났다. 게임 과몰입을 위한 적절한 개입으로서, 게임시간, 지출비용, 정서조절과 스트레스 관리의 중요성을 확인하였고, 본 연구 결과의 일반화를 위한 후속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게임 이용 장애에 대한 심리사회적 관점과 문화적 관점의 상호보완적 접근 (A Complementary Approach of a Psychosocial and Cultural Perspective to Gaming Disorder)

  • 서도원;송용수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83-92
    • /
    • 2020
  • 세계보건기구는 게임 이용 장애를 중독 행동에 따른 장애로 규정했는데 이에 학계의 상이한 관점 위에서 찬반 논쟁이 일어나고 있다. 본 논문은 게임 과몰입을 바라보는 질병 모델적 관점과 심리사회적 관점, 문화적 관점의 시각차를 확인하고 이를 간학문적 태도로 상호 보완하여 게임 과몰입에 대한 해결방안을 중층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해결방안으로는 첫째, 다수의 게임 이용자에게 1차 예방, 즉 리터러시 교육을 통한 선용적 관점을 적용하고 둘째, 게임 과몰입 사용자들이 대안활동을 찾을 수 있게 돕는 2차 예방을 실시하며 셋째, 3차 예방으로 게임 과몰입의 폐해가 명확한 대상자들에게는 치료적인 개입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WHO의 게임 이용 장애 질병 코드화 이후 언론의 게임 보도에 대한 내용 분석 (Content Analysis of News Coverage on Games after the Inclusion of Gaming Disorder in ICD-11)

  • 이숙정;육은희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91-106
    • /
    • 2021
  • 본 연구는 게임 이용 장애 질병 코드화라는 맥락에서 게임에 대한 언론 보도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2019년 5월부터 2020년 8월까지 국내 5개의 종합일간지에 보도된 게임 기사 694건을 분석했다. 그 결과, 게임 산업에 대한 보도의 비율이 매우 높았으나 주로 산업 동향·기업사 경영 현황에 관한 보도였다. 정책 보도는 규제 정책이 압도적으로 많았고 특히 중독 관련 정책 보도가 주를 이뤘다. WHO의 질병 코드화를 찬성하는 의견만 다룬 보도는 매우 적었고 반대하는 의견만 다루는 보도와 찬반 의견을 모두 다루는 보도량이 비슷한 비율을 보였다. 반대 근거로는 산업계와 학계의 관점이 반영돼 있었다. 이용 효과 보도는 매우 낮은 비율을 보였으나 게임을 극단적인 범죄·일탈행위의 원인으로 보도하는 기존 관행을 그대로 따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임상환자를 대상으로 한 인터넷 게임장애의 치료방법 고찰 (Internet Gaming Disorder Treatment Options in the Hospital Setting)

  • 박정하;현기정;손지현;이영식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6권2호
    • /
    • pp.75-85
    • /
    • 2015
  • Internet gaming disorder (IGD), one of the common subtypes of internet addiction, is now classified in Section 3 of DSM-5 and is increasingly regarded as a growing health concern in many parts of the world. Consequently, many psychotherapeutic and psychopharmacological approaches have been considered and some research regarding therapeutic strategies has been conducted. However, treatment of IGD is in its early stages and therefore is not yet well established. This article reviews multiple therapeutic modalities including our own treatment model for IGD according to clinical and biological effects, thus providing suggestions for standard treatment strategies. The two main streams are psychopharmacological treatment and cognitive-behavior treatment, and the cognitive-behavior approach includes cognitive reconstruction, psychoeducation, and parenting coach. Many other non-pharmacological treatments are also recommended for personalized treatment of IGD.

도피이론을 통한 청소년 게임 과몰입 영향모델 분석 (A Study of Pathological Gaming Model in Young Adolescents from the Perspective of Escape Theory)

  • 이대영;이승제;정의준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3-12
    • /
    • 2020
  • 도피이론은 부정적 외부환경으로 인한 개인의 자아인식과 조절능력 상실을 과의존/중독으로 연결시키는 경로로 바라본다. 본 연구는 이를 토대로 청소년의 사회심리적 변수(학업스트레스, 우울), 인지적 변수(자존감, 자기통제)를 사용, 게임 과몰입 영향모델을 설계하고 825명의 설문데이터를 분석, 검증하였다. 그 결과, 학업스트레스는 우울감의 증가, 자존감과 자기통제의 감소를 가져왔으며 낮아진 자기통제는 게임 과몰입을 악화시키고 있었다. 이 결과는 도피이론의 외부환경과 자기조절능력 상실의 부정적 효과를 잘 설명하여 청소년 게임 과몰입에서 학업스트레스와 자기통제의 영향력에 대한 사회/정책적 관심과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게임 플레이 효과의 양면성과 게임 규제 태도 연구 :게임 장르를 중심으로 (Two Aspects of the Game Playing Effect and Attitude toward Game Regulation :Focused on Game Genre)

  • 정창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425-439
    • /
    • 2019
  • 본 연구는 게임 플레이 효과에 대한 양면적인 측면의-긍정적(인지 욕구), 부정적(게임 중독)-효과를 분석하여 게임 규제 정책과 게임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안했다. 게임 장르의 특수성에 초점을 두고, 게임 플레이가 인지 욕구와 부정적 효과에(중독/과몰입)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했다. 또한, 게임 플레이 효과는 게임정책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으므로, 게임 유저를 중심으로, 게임 장르와 게임 규제 정책에 대한 태도가 어떤 관계가 있는지 분석했다. 분석 결과, 게임 장르의 특성에 따라 게임 플레이의 효과와 규제에 관한 태도가 상이하게 나타났다. 게임을 오래 할수록 게임 중독 효과가 증가했지만, 동시에 인지 욕구도 상승했다. 게임 규제대상이었던 RAS(Role playing, AOS(Aeon of Strife), Strategy) 게임 장르를 플레이할수록 게임 중독을 상승시켰지만 동시에, 인지 욕구를 높이는 데도 기여했다. AR(Augmented Reality) 장르 플레이는 인지 욕구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쳤던 반면, 전반적인 게임 규제에는 찬성하는 태도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게임 플레이가 가져오는 긍정적인 효과와 부정적인 효과를 동시에 트레이드 오프 (trade-off)할 수 있는 밸런싱 전략이 요구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인터넷게임장애 환자들의 내재동기 저하와 기본심리욕구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Low Intrinsic Motivation and Basic Psychological Need in Internet Gaming Disorder)

  • 김민경;정영훈;신유빈;김병훈;김은주;김재진
    • 생물정신의학
    • /
    • 제24권2호
    • /
    • pp.52-58
    • /
    • 2017
  • Due to the increasing use of the internet, various social problems have been emerging, and one of them is internet gaming disorder (IG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low internal motivation was present in IGD and basic psychological needs affected internal motivation. Twenty-one individuals with IGD and 21 healthy controls performed a 'motivation task' in which the avatar in virtual reality asked whether they would accept an activity in two conditions stimulating intrinsic or extrinsic motivation. The task performance was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and was correlated with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Scale scores. Patients had a significantly lower acceptance rate of the proposal in the intrinsic motivation condition than controls, and this intrinsic motivated tendency was correlated with the satisfaction in their basic psychological needs. As with other substance use disorders, IGD was associated with a lower level of internal motivation, which was related to the dissatisfact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such as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ionship.

한국 성인남녀에서 스트레스와 세로토닌 전달체(5-HTTLPR) 유전자 변이가 인터넷 게임장애(IGD)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tress and Serotonin-Transporter-Linked Polymorphic Region Variants on Internet Gaming Disorder in Korean Adults)

  • 홍형숙;정조은;조현;곽수민;최미란;최정석;최삼욱;김대진
    • 생물정신의학
    • /
    • 제25권3호
    • /
    • pp.79-87
    • /
    • 2018
  • Objectives Internet gaming disorder (IGD) is known to be related to stress and the serotonin-transporter-linked polymorphic region (5-HTTLPR) that is known to be associated with stress and has been studied to affect various psychiatric illness outbreaks. We tri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5-HTTLPR and IGD. Methods A total of 59 participants with IGD, diagnosed according to the 5th edition of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 criteria and 67 normal controls (NC) were enrolled. The IGD group and the NC were compared using chisquare test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the 5-HTTLPR, and IGD. Results The mean scores for anxiety, impulsivity and stres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IGD group than in the NC.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stress and IGD [odds ratio (OR) = 1.172, 95% confidence interval (CI) = 1.008-1.362].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at stress would affect IGD. Therefore, the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stress should be included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IGD.

  • PDF

부모양육태도와 청소년 게임과몰입 연구 : 도피이론을 중심으로 (Adolescents' Gaming Disorder Study and Parenting Attitude : Based on the Escape Theory)

  • 이대영;정의준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199-208
    • /
    • 2019
  • 도피이론은 자살과 같은 문제행동에 대한 이론으로 부정적인 자신인식을 그 원인으로 보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대표적인 청소년 문제로 주목을 받고 있는 게임과몰입의 원인을 도피이론을 통해 추적해 보았다. 자살이론은 부정적 외부환경에 의해 촉발된 문제를 내부귀인과 자기비난으로 흘러가게 하며 이를 혐오적 자기인식으로, 다시 문제행동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나타낸다. 이 과정을 청소년의 환경, 심리, 행동에 대입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로 부모의 애정부족과 일관성부재가 부정적 외부환경을 조성하고 이것이 부정적 외부환경을 조성하여 자녀의 자존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곧이어 낮은 자존감이 우울이라는 부정적 감정을 유발, 자신의 통제력을 낮추어 게임과몰입을 유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는 게임과몰입이 도피이론모형을 통해 설명되던 폭식, 쇼핑중독 등 강박행동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는 것을 나타냈으며, 게임과몰입 연구를 위해서 개인의 환경심리요인에 보다 집중할 필요가 있음을 나타낸다.

Internet Addiction and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Traits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in Japan

  • Tateno, Masaru;Tateno, Yukie;Kamikobe, Chikara;Monden, Ryunosuke;Sakaoka, Oji;Kanazawa, Junichiro;Kato, Takahiro A.;Saito, Takuya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9권3호
    • /
    • pp.144-148
    • /
    • 2018
  • Objectives: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at internet addiction (IA) is associated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consistently. However, in terms of gender, there are controversial findings. We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IA and self-acknowledged ADHD traits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in Japan. Methods: The study questionnaire consisted of questions about demographics, Adult ADHD Self-Report Scale-V1.1 Part A (ADHD screener) and Young's Internet Addiction Test (IAT). When four or more items are more frequent than the cut-off on ADHD screener, the subject was categorized into students with a positive ADHD screen. We defined students with total IAT score of 70 and higher as IA. Results: A total number of respondents was 369 (mean age: $19.0{\pm}0.7years$). Seventy-seven subjects were screened positive on ADHD screener (20.9%). Students with a positive ADHD screen scored significantly higher on the IAT ($54.2{\pm}14.2$ vs. $42.5{\pm}11.3$). The rates of IA in students with and without a positive ADHD screen were 18.2% and 1.0%, respectively. Conclusion: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e relation between IA and self-evaluated ADHD traits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in Japan. Appropriate education for students on how to use the internet properly will be necessary to prevent 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