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metogenesis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19초

꼬막, Tegillarca granosa ( Linne ) 의 생식소발달 및 생식세포형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Gonadal Development and Gametogenesis of the Granulated Ark, Tegillarca granosa (Linnee))

  • 이주하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5-64
    • /
    • 1997
  • 꼬막, Tegillarca granosa은 우리나라 남해 및 서해안 일대에서 서식하는 중요한 수산자원 중의 하나이지만, 이에 대한 생물학적 기초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1995년 2월부터 1996년 1월까지 전남 벌교연안에서 채집한 꼬막의 생식소발달, 생식세포형성과정 및 생식주기를 조사하였다. 1. 꼬막은 자웅이체이면서 난생이고, 생식소는 내장낭의 간중장선을 싸고 있는 결합조직으로부터 족부의 근육층까지 분포한다.2. 미분화간층직과 호산성 과립세포들이 초기 활성기의 소낭에 풍부하게 나타나기 시작하여 완숙기에는 거의 없어지는 것으로 보아, 이들은 생식소 및 생식세포형성과 발달에 영향을 공급하는 영향세포로 생각된다.3. 생식소발달, 생식세포형성과정, 조직분화과정 및 세포학적 특성에 따라, 이들의 생식주기를 초기 활성기, 완숙기, 부분 방출기, 방출 및 비활성기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4. 방란 및 방정은 수온 2$0^{\circ}C$정도되는 6월하순부터 시작되고, 주산란시기는 수온이 23-24$^{\circ}C$정도 되는 7-8월이며, 완숙란의 크기는 50-60$\mu\textrm{m}$이다.5. 비활성기는 9월에서 이듬해 4월까지 지속되는 비교적 긴 기간이며, 초기 활성기도 비교적 길어 1월에서 5월까지 지속되는 반면, 후기활성, 완숙 및 방출기는 비교적 짧아, 5월에서 8월까지 모두 완료된다.6. 비만도의 월별 변화는 생식소의 발달, 생식주기 및 수온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7. 사용된 재료 433개체 중 1개체가 자웅동체현상을 나타내었다.

  • PDF

계화도조개 (Potamocorbula amurensis)의 생식주기에 관한 조직학적 연구 (Histological Study on the Reproductive Cycle of Potamocorbula amurensis (Bivalvia: Corbulidae))

  • 이주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629-636
    • /
    • 1999
  • 1996년 11월부터 1997년 10월까지 전북 부안군 문포 앞바다의 갯벌에서 채집된 계화도조개, p. amurensis를 재료로하여, 그들의 생식소발달과정, 생식세포형성과정, 생식주기, 난경의 월별변화, 비만도 및 군성숙도 둥을 조직학적으로 조사하였다. 계화도조개는 자웅이체이며 난생이다. 난소와 정소는 각각 수많은 난자형성소낭과 정자형성소낭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소낭에는 간충직과 호산성 과립세포들이 들어 있는데, 이들은 초기 생식세포의 형성과 발달에 영양을 공급하는 영양세포로 생각된다. 분열증식 중인 초기 활성기의 난원세포는 $9\~12\mu$m로서 6$\mu$m 내외의 크고 뚜켠한 핵과 호염기성 단일 인을 가지고 있었다. 직경 $30\~32\mu$m로 성장한 난모세포는 난병을 소낭벽에 부착한 채 소낭의 내강을 향해 긴 타원형으로 성장하였다. 난모세포가 $43\~45\mu$m로 성장하면 소낭벽으로부터 유리되며, 완숙란의 크기는 $50\~60\mu$m이었다. 정자형성소낭의 벽에는 정원, 정모, 정세포 및 완숙정자 순으로 충상배열을 하며 성숙되었다. 생식소의 발달, 생식세포형성과정, 난경의 월별변화, 조직분화과정 및 세포학적 특성에 따라, 생식주기를 초기 활성기, 후기 활성기, 완숙기, 부분 산란기 및 회복기 등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산란기는 5$\~$7월과 9$\~$10월 사이이며, 주산란은 수온이 $18^{\circ}C$ 이상인 5$\~$6 및 10월에 2차례 일어났다. 비만도지수의 월별변화는 생식주기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군성숙도가 $50\%$를 넘는 개체는 암, 수 모두 각장 8.1$\~$10.0 mm인 개체들로 조사되었다. 생식세포형성은 두 가지 방법 즉 1. 산란 후, 생식세포형성소낭내에 잔존하던 미방출란과 미방출정자는 퇴화, 흡수되지만 기존의 소낭은 크게 위축되지 않고, 2$\~$3개월 동안 (특히 여름)에 곧 회복되면서 새로운 생식세포형성에 참가하는 방법, 2. 산란 후 기존의 각 소낭은 위축되고 새로운 소낭의 형성과 더불어 새로운 생식세포가 형성되는 방법이 있다고 생각되었다.

  • PDF

우렁쉥이, Halocynthia roretzi의 배우자 형성 및 생식소 발달 (Gametogenesis, Gonadal Development and Maturation of the Sea Squirt, Halocynthia roretzi)

  • 김봉석;방종득;류호영;홍정표;정의영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5권2호
    • /
    • pp.137-144
    • /
    • 2001
  • 본 연구는 동해남부해역의 수하식 우렁쉥이 양식장에서 양식되고 있는 2년산 우렁쉥이, Halocynrhia roretzi의 생식세포 및 생식소 발달과 성숙 조사를 위하여 1996년 5월부터 1997년 4월에 걸쳐 조사되었다. 우렁쉥이는 자웅동체형으로 난생이었다. 난소는 체벽에 평행하게 붙어 좌측에 6~8개, 우측에 8~10개의 가는 생식수관을 가진 구조이며, 정소는 난소 사이에 불규칙 한 많은 낭상 구조를 가진 복합 생식소이었다. 난원세포는 직경이 11.7~15.6 ${\mu}m$이었고, 초기성장기의 난모세포는 직경 39.6~47.6 ${\mu}m$이었으며, 핵경은 10.0~25.0 ${\mu}m$이었다. 난소를 대부분 차지하는 난황형성중인 난모세포는 158.6~210.0 ${\mu}m$에 이르렀다. 성숙 난모세포는 210.0~230.9 ${\mu}m$로 피질부에서 test cell들이 관찰되었다. 정소는 한 개의 정소낭에 여러 개의 곡정세관이 밀집되어 그 내부 생식상피를 따라 일반적인 정자형성과정을 보이고 있었다. 첫 산란은 수온이 1$0^{\circ}C$이하로 떨어진, 3년생이 되는 1997년 1월에서 2월에 주로 이루어졌다.

  • PDF

Regulation of mitochondrial morphology and metabolism by Jak-STAT pathway

  • Rhee, Kun Do
    • 한국동물생명공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89-193
    • /
    • 2021
  • Jak-STAT pathway is required for embryogenesis, female gametogenesis, cytokine-mediated neuroprotection, diabetes, obesity, cancer, stem cell, and various tissues. The noncanonical role of Jak-STAT in mitochondria function was supported by the detection of STAT protein in mitochondria, however, several studies show that STAT protein is detected in the endoplasmic reticulum (ER), and not in mitochondria. STAT protein may alter mitochondria function without entering mitochondria, this involves regulation of fission and fusion proteins to change mitochondria morphology. However, how changes in mitochondria morphology lead to changes in mitochondria metabolism needs further investigation.

패류 맵사리(Ceratostoma rorifluum)의 생식세포형성과 생식주기 (Gametogenesis and Reproductive Cycle of the Murex Shell Ceratostoma rorifluum(Neogastropoda: Muricidae))

  • 이주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53-260
    • /
    • 2008
  • Gonadal development, gametogenesis, reproductive cycle, spawning, relative weight of flesh, and onset of sexual maturity of the murex shell, Ceratostoma rorifluum, collected from the rocky intertidal zone of Daehang-ri, Buan-gun, Jeollabuk-do, Korea were investigated monthly from January to December 2005 both cytologically and histologically. The gonads were widely placed on the digestive gland located in the posterior spiral fleshy part in the shell. C. rorifluum had separate sexes, and was an internal fertilizer. The sex ratio of females to males was approximately 1:1. The ovary and testis contained a great number of oogenic follicles and spermatogenic tubules, respectively. The oogonia and fully ripe oocytes were $15-19{\mu}m$ and $150-160{\mu}m$ in diameter, respectively, and the cytoplasm of the ripe oocytes contained a number of yolk granules. The relative weight of flesh reached a maximum in August($39.35{\pm}0.40%$), and then decreased rapidly in November($32.75{\pm}1.20%$). The percentages of female and male snails at first sexual maturity with shell heights ranging from 12.1-14.0 mm were 60.0% and 52.9%, respectively, while 100% of the snails of both sexes with shell heights over 18.1 mm were reproductively active. Based on the gonadal development and histological observations, the reproductive cycle of the snail could be categorized into five successive stages: early active(December to May), late active(March to July), ripe(June to September), spawning(July to October), and recovery(October to March). C. rorifluum spawned once a year between July and October, and the majority of spawning occurred in September when the seawater temperature exceeded $23.5^{\circ}C$.

어깨뿔고둥 (Ocenebra japonica)의 생식세포형성과 생식주기 (Gametogenesis and Reproductive Cycle of the Murex Shell (Ocenebra japonica) (Neogastropoda: Muricidae))

  • 이주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385-392
    • /
    • 2004
  • Gonadal development, gametogenesis, reproductive cycle, gonad index, and flesh weight rate of the murex shell (Ocenebra japonica) collected from the rocky intertidal zone of Buan-gun, Jeollabuk-do, Korea were investigated by means of histological method from January to December 2002. O. japonica had separate sexes, and was oviparous. The gonad was widely situated on the surface of the digestive gland located in the rear of the spiral flesh part in the shell. The male penis was located near the two tentacles. The ovary was composed of a number of oogenic follicles, and the testis was composed of several spermatogenic tubules. The size of ripe oocyte was approximately $140{\mu}m$ in diameter. The gonad index (GI) began to increase in March $(33.24{\pm}2.33)$ and reached the maximum in June $(47.77{\pm}1.90)$ Thereafter, the values decreased from July $(45.12{\pm}3.60)$ to October $(19.32{\pm}2.91)$. The flesh weight rate (FWR) began to increase in January $(25.93{\pm}1.32)$ and reached the maxium in May $(31.78{\pm}1.09)$ Thereafter, the values decreased from June $(31.50{\pm}0.66)$ to October $(24.09{\pm}1.60)$. The reproductive cycle could be classified into five successive stages: early active (October to April), late active (January to June), ripe (May to September), spawning (July to September) and recovery (September to February). The reproductive cycle was closely related to the seawater temperature.

Seasonal Variations in Biochemical Components of the Visceral Mass and Adductor Muscle in the Pen Shell, Atrina pectinata

  • Baik Sung-Hyun;Kim Kang-Jeon;Chung Ee-Yung;Choo Jong-Jae;Park Kwan Ha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4권1호
    • /
    • pp.18-24
    • /
    • 2001
  • Seasonal content changes of the three key nutrients for organisms, protein, lipid and glycogen, were analyzed for a whole year to delineate the seasonal energy strategy in pen shells, Atrina pectinata. Two metabolically important organs, the visceral mass and the posterior adductor muscle, were examined. Protein in the visceral mass rose in April and stayed at the level until June followed by the constant minimum value between August and November. The protein contents in the posterior adductor muscle increased sharply in April and again in July, followed by a gradual decline thereafter. Total lipid contents in the visceral mass gradually increased between January and May, and then slowly decreased until September since which a new weak increase was noticed. Lipid levels in the adductor muscle rapidly dropped in June and July. Glycogen contents in the visceral mass rapidly increased between February and June, followed by a drastic drop in July. This reduced visceral glycogen level was maintained up to September, and a gradual reduction ensued. Glycogen contents in the adductor muscle steadily but markedly increased from April reaching the maximum in August, and then slowly declined thereaft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 accelerated protein and lipid synthesis occurs in the gonad when the pen shell undergoes the ripe stage of gametogenesis, but the levels of these two nutrients decrease on spawning. With this gonadal process, regular protein synthesis and lipid storage in the posterior adductor muscle are temporarily arrested. The most important nutrient reserves that support gonad developmental cycles in a long term seem to be glycogen of the posterior adductor muscle.

  • PDF

형산강하구에 서식하는 참재첩 (Corbicula leana (Prime))의 생식주기 (Reproductive Cycle of Marsh Clam, Corbicula leana (Prime) in Hyongsan Estuary)

  • 김진희;유명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84-191
    • /
    • 2000
  • 포항 형산강 하구에 서식하는 참재첩, Corbicula leana을 대상으로 생식세포 형성과정 및 생식주기를 조직학적으로 조사하였다. 참재첩은 자웅이체로서 난생이며, 생식소는 완숙하면 암컷은 흑갈색, 수컷은 유백색을 띤다. 생식소관은 내장낭의 간중장선 하방으로 부터 근충의 외벽근층내에 있는 섬유성 망상결체조직까지 분포되어 있다. 난소는 수지상으로 연결된 난소소관으로 구성되어 있고, 정소 역시 많은 소관상의 정소소관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들 소관의 내강상피가 생식상피 기능을 하고 있다. 성숙난모세포는 배포의 변화로 알 수 있으며, 그 크기는 $70{\~}80{mu}m$ 정도이다. 난소 및 정소의 초기 발달에는 간충조직과 색소과립세포들이 영양세포로 관여하고 있으며 난소와 정소가 발달하면서 점차적으로 사라진다. 생식소 발달은 수온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고, 비만도의 변화도 주기성이 일치하였다. 생식주기는 분열증식기, 성장기, 성숙기, 방출기, 퇴화기 그리고 회복기 둥의 연속적인 주기로 구분할 수가 있다. 산란기는 6월 하순부터 9월 중순까지이고, 산란성기는 7월과 8월이었으며 생물학적 최소형은 10.0 mm 이상으로 조사되었다.

  • PDF

Reproductive Biology of the Temperate Soft Coral Dendronephthya suensoni (Alcyonacea: Nephtheidae)

  • Choi, Eun-Ji;Song, Jun-Im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1권2호
    • /
    • pp.215-225
    • /
    • 2007
  • The azooxanthellate soft coral Dendronephthya suensoni (Holem, 1895) is distributed mainly around Jejudo Island, Korea. This species was determined as gonochoric with a sex ratio of 2:1 (female:male). Both female and male colonies have one gametogenic cycle a year. The annual reproductive cycle of D. suensoni is dependent on the seawater temperature. In particular, reproduction of the male colony showed a higher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awater temperature and the mean diameter of the spermaries. Gametogenesis in females and males took 6 months and 12 months, respectively. The mean diameter of a mature oocyte was $249.29\;{\pm}\;36.24\;{\mu}m$, with a maximum size of $354.45\;{\mu}m$. Spawning could have occurred in the fall after the seawater temperature began to decrease.

새꼬막, Scapharca subcrenata Lischke의 성성숙에 관한 연구

  • 이주하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91-102
    • /
    • 1998
  • 새꼬막은 자웅이체로서 난생이었다. 생식소는 내장낭의 간중장선에서부터 족부까지 외측의 대부분을 싸고 있으며, 난소는 난자형성소낭, 정소는 정자형성소낭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완숙란의 세포질에는 많은 난황과립을 축적하고 있으며, 난막의 외측은 얇은 젤라틴상의 피막으로 싸여 있었다. 정자형성소낭벽에는 정원, 정모, 정세포 및 변태한 정자 순으로, 소낭의 내강을 향하여 충상배열을 하며 성숙 발달되었다. 생식주기는 초기 활성기(11-5월), 후기 활성기(5-7월), 완숙기(6-9월), 부분 방출기(7-9월), 방출 및 비활성기(9-4월)로 구분할 수 있었다. 방란, 방정은 수온이 21$^{\circ}C$ 이상으로 상승하는 7월초순부터 9월까지 지속되며, 산란 최성기는 8월이었다. 비만도지수의 월별 변화는 생식주기와 아주 밀접ㅎ나 관계가 있었다. 난자형성소낭과 정자형성소낭에는 eosin에 강하게 염색되는 과립세포와 간충직들이 나타나는데, 이들은 생식소 및 생식세포형성과 발달에 영양을 공급하는 영양세포로 생각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