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stological Study on the Reproductive Cycle of Potamocorbula amurensis (Bivalvia: Corbulidae)

계화도조개 (Potamocorbula amurensis)의 생식주기에 관한 조직학적 연구

  • LEE Ju Ha (School of Life Science, Jeonju University)
  • Published : 1999.09.01

Abstract

Gonadal development, gametogenesis, reproductive cycle, egg-diameter and composition, condition factor, and the first sexual maturity of the clam, Potamocorbula amurensis were investigated by histological observation. Samples were collected monthly from the tidal flat of Moonpo, Puan-gun, Chollabuk-do, west coast of Korea from November 1996 to October 1997. P. amurensis is dioecious and oviparous. The gonads were composed of a number of gametogenic follicles. The oogonia and fully ripe oocytes were $9\~12\mu$m and $50\~60\mu$m in diameter, respectively. Each of the spermatogenic follicle formed stratified layers composed of spermatogonia, spermatocytes spermatids, and spermatozoa in groups on the follicular wall. The reproductive cycle of P. amurensis could be classified into five successive stages: early active, late active, ripe, partially spawned, and recovery. Spawning occurred twice a year from May to July and from September to October, the main spawning seasons also appeared twice a year between May and June, and in October when the water temperatures reached above $18^{\circ}C$. The monthly changes in the condition factor were closely related with the reproductive cycle. Minimum size for the sexual maturation of female and male were 8.1 mm in shell length. There were two patterns for the gametogenesis: 1. After spawning, the undischarged ripe oocytes and spermatozoa in the follicles were degenerated and absorbed, but in part, the existing follicles were not contracted significantly and then they took part in new gametogenesis within one or two months (especially, in summer). 2. After spawning, each follicle was contracted, thereafter gametogenesis again occurred in newly formed follicles.

1996년 11월부터 1997년 10월까지 전북 부안군 문포 앞바다의 갯벌에서 채집된 계화도조개, p. amurensis를 재료로하여, 그들의 생식소발달과정, 생식세포형성과정, 생식주기, 난경의 월별변화, 비만도 및 군성숙도 둥을 조직학적으로 조사하였다. 계화도조개는 자웅이체이며 난생이다. 난소와 정소는 각각 수많은 난자형성소낭과 정자형성소낭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소낭에는 간충직과 호산성 과립세포들이 들어 있는데, 이들은 초기 생식세포의 형성과 발달에 영양을 공급하는 영양세포로 생각된다. 분열증식 중인 초기 활성기의 난원세포는 $9\~12\mu$m로서 6$\mu$m 내외의 크고 뚜켠한 핵과 호염기성 단일 인을 가지고 있었다. 직경 $30\~32\mu$m로 성장한 난모세포는 난병을 소낭벽에 부착한 채 소낭의 내강을 향해 긴 타원형으로 성장하였다. 난모세포가 $43\~45\mu$m로 성장하면 소낭벽으로부터 유리되며, 완숙란의 크기는 $50\~60\mu$m이었다. 정자형성소낭의 벽에는 정원, 정모, 정세포 및 완숙정자 순으로 충상배열을 하며 성숙되었다. 생식소의 발달, 생식세포형성과정, 난경의 월별변화, 조직분화과정 및 세포학적 특성에 따라, 생식주기를 초기 활성기, 후기 활성기, 완숙기, 부분 산란기 및 회복기 등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산란기는 5$\~$7월과 9$\~$10월 사이이며, 주산란은 수온이 $18^{\circ}C$ 이상인 5$\~$6 및 10월에 2차례 일어났다. 비만도지수의 월별변화는 생식주기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군성숙도가 $50\%$를 넘는 개체는 암, 수 모두 각장 8.1$\~$10.0 mm인 개체들로 조사되었다. 생식세포형성은 두 가지 방법 즉 1. 산란 후, 생식세포형성소낭내에 잔존하던 미방출란과 미방출정자는 퇴화, 흡수되지만 기존의 소낭은 크게 위축되지 않고, 2$\~$3개월 동안 (특히 여름)에 곧 회복되면서 새로운 생식세포형성에 참가하는 방법, 2. 산란 후 기존의 각 소낭은 위축되고 새로운 소낭의 형성과 더불어 새로운 생식세포가 형성되는 방법이 있다고 생각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