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me outcomes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6초

The effect of game-based dual-task training for executive function and repetitive behaviors in patients with autism

  • Yu, Jae-ho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94-395
    • /
    • 2022
  • Exergames are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healthcare/rehabilitation. It has also been used to improve motivation among patients with reduced cognition. The purpose of this pilot study was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using augmented reality (AR) with game-based cognitive-motor training programs for executive function, restricted and repetitive behaviors (RRBs)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Sixteen children aged 6 -16 years were randomly allocat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Outcome measures were perform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and included executive function, restricted and repetitive behavior. A satisfactory survey was conducted post-interventio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was observed in working memory and cognitive flexibil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P<0.05). However, despite no statistical improvements in cognitive inhibition and four subscales of RRBs, promising changes were observed in all the subscales of the executive function and the behavioral outcomes. Parents appreciated the program and children enjoyed the interaction with the AR game-based training. The findings of this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showed that AR using Kinect v2 motion with a cognitive-motor game content can be used for children with autism. However, there is a need for conducting a large-scale study to evaluate his effectiveness on executive function and restricted and repetitive behaviors.

  • PDF

해석수준이론에 기반한 기능성 게임 효과 증대 방안 연구 (A Preliminary Study of Serious Game Effect Model based on Construal-Level Theory)

  • 이혜림;정의준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105-120
    • /
    • 2014
  • 최근 기능성 게임의 긍정적인 영향에 대한 결과가 부각되면서 그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활성화 되고 있다. 기능성 게임은 기획단계에서부터 의도적인 목적을 가진 게임으로, 이용자에 대한 설득과 그에 따른 의식과 행동의 변화를 추구한다. 따라서 그러한 설득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기능성 게임에서 이용자들이 선택적 행위를 하는 과정 속에서 작동하는 심리적 요소들을 정리하고 이에 대한 효율적 방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용자들의 선택과 관련한 관점들을 고려하고 그에 따른 태도와 행위의 결과를 이론적으로 접근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들의 심리적 거리 관념을 중심으로 그에 따른 행위에 중점을 두는 해석수준이론을 적용하여, 기능성 게임에 개괄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CLT in process-outcome serious game model"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이용자들의 의사결정 과정에 해석수준의 개념과 효과들을 적절히 적용한다면 이용자들의 가치와 목적 중심의 설득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모델은 기능성 게임의 개발자와 연구자들에게 궁극적으로 그 효과를 증대시킬 유용한 틀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청소년 게임 이용자의 인정욕구에 관한 연구 : 아들러의 개인심리학을 중심으로 (A Study about Need for Approval of Adolescent Game Users : Focused on Adler's Individual Psychology)

  • 김혜영;이혜미;유승호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93-106
    • /
    • 2017
  • 본 연구는 아들러의 개인심리학 관점에서 청소년들의 게임이용 동기와 목적을 설명한다. 청소년들과의 심층인터뷰 결과에 따르면 청소년들에게 게임은 공동체 안에서 인정받고자 하는 욕구를 강하게 드러내는 장이자 자신의 삶에 대한 태도를 표현하는 수단이 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인정욕구는 공동체의식의 형성에 따라서 적응적/부적응적 태도의 차이를 보이는데, 개인의 인정욕구가 공동체적 의식을 통해 사회 적응적인 결과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또래와, 부모, 그리고 사회의 역할이 중요하다. 현대사회에서 게임은 한 개인이 공동체의식을 내면화시키며 자신의 자아를 인정받는 자아실현의 중요한 영역으로써, 게임을 배타시하거나 경멸하는 태도보다는 개방하고 관용하여 적응적으로 개입하는 태도로의 전환이 요구된다.

동종의 중첩 무선 네트워크에서 비협력적 게임을 이용한 호수락 제어기법의 연구 (A Study of Call Admission Control Scheme using Noncooperative Game under Homogeneous Overlay Wireless Networks)

  • 김남선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1-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다속성 의사결정(MADM)과 게임 이론을 결합하여 무선 자원의 이용효율을 향상시키는 호 수락제어 방법을 제시한다. 다속성 의사결정 방법으로 그레이 관계분석(GRA), 단순부가가중치법(SAW), TOPSIS들을 이용하였는데, 이 방법들은 서로 다른 서비스 품질(QoS)을 갖는 서비스들이 선호하는 대상 네트워크들의 선호도를 계산할 것이다. 이 선호도 값들을 이용한 효용함수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요구하는 서비스 중에서 서비스 제공자들에게 적합한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비협력적 게임이 진행된다. 요청되는 모든 서비스가 선택될 때까지 게임은 반복적으로 진행되며, 각 단계에서 내쉬균형을 이루는 서비스가 선택되도록 하였다.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4개의 무선 랜(WLAN) 시스템 중에서 임의의 2개의 네트워크가 중첩하여 존재하는 경우들을 각각 분석한 결과, 모든 다속성 의사결정 방법들은 서비스 제공자가 얻는 최대 보수의 차이는 있었으나 게임의 각 단계에서 동일한 서비스 선택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and traditional game-based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s, on lipid profile improvement in overweight and obese children in West Java Indonesia

  • Yulia, Cica;Khomsan, Ali;Sukandar, Dadang;Riyadi, Hadi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5권4호
    • /
    • pp.479-491
    • /
    • 2021
  • BACKGROUND/OBJECTIVES: One ongoing effort to curtail dyslipidemia in school children is through lifestyle intervention. This study analyzes outcomes of the intervention of nutrition education and Javanese traditional game-based physical activity, on lipid profiles of overweight and obese children. SUBJECTS/METHODS: The experimental study consisted of three steps: data collection (October to December 2016), intervention processes (January to March 2017), and final report preparation (April to May 2017). This was a split-plot block study, enrolling a total of 72 subjects. Traditional game intervention (12 meetings) and nutrition education (9 meetings) was carried out within 3 months with material related to obesity. RESULTS: Our results showed no decrease in the levels of total cholesterol in the group receiving nutrition education (rise by 1.56 mg/dL), but when compared to subjects without intervention, total cholesterol levels experienced was increased. The group which did not receive physical activity showed increase in the total cholesterol, whereas the traditional game intervention group showed a decrease of 0.05 mg/dL total cholesterol at the end of the intervention. Nutrition education and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s did not influence any reduction in the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 levels, but rather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at the end of the intervention. However, the increase in LDL-c levels in the traditional game group was lower than in other intervention groups. Duncan's test indicated that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and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s did not differ from the cut-off values of LDL-C and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CONCLUSIONS: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s in the traditional game group tended to decrease at the end of the intervention, but the results did not differ much from other intervention groups. We deduce that nutrition education and traditional game-based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s are not capable of improving blood lipid profiles in overweight and obese children within 3 month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time of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 to maintain the lipid profile in another study.

보건 의료용 기능성 게임의 효과적 개발 방향 연구 (An Overview of Using Serious Games for the Effective Development in Health and Medicine)

  • 이혜림;정의준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73-90
    • /
    • 2013
  • 기능성 게임은 현재 정부, 교육, 군사, 기업 그리고 보건 및 의료분야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확장되고 있다. 특히 보건/의료 기능성 게임은 예방과 치료를 위한 유용한 도구로 인식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천식, 당뇨, 암, 뇌질환, 백혈병 등의 질환을 가진 환자들의 상태를 호전시키는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효과들을 토대로, 미국과 유럽 등에서는 건강심리, 가상현실, 행동의학 등의 다학제간 융합연구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게임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이에 대한 체계적인 학문적 접근은 물론 개발사의 효과적인 기획 전략 수립과 다양한 개발 노력도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건/의료 기능성 게임에 대한 기존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그 개념과 효과, 분류체계를 정리하고, 대표적인 성공사례를 분석하여, 향후 관련 연구와 개발 및 기획에 대한 개괄적인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보건/의료 기능성 게임의 성공적 개발을 위해서는 의학적 근거와 과학적 설명을 근간으로 기획 단계부터 관련 이론을 체계적으로 적용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보건/의료 기능성 게임에 적용되었거나 향후 활용 가능한 이론들을 정리하고, 성공사례 분석과 결부해 연구자와 개발자, 그리고 의료 전문가들이 고려할 사항과 방향성에 대한 제언을 정리하였다.

MMO 게임의 게임플레이 분석적 평가 모형 - GOMS 모형을 중심으로 - (Analytical Evaluation Model of the Gameplay in MMO Game - Focused on GOMS Model -)

  • 송승근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1652-1660
    • /
    • 2009
  • 본 연구는 대규모 다중 사용자 온라인 게임에 관한 게임플레이 과정을 GOMS(Goal Operator Method Selection Rule)로 모형화 하는데 목적이 있다. GOMS 분석은 HCI(Human Computer Interaction)의 연구방법으로서 전문가의 행동을 모형화 하고 그들의 행동을 예측하는 것이다. 초보자 가이드와 온라인 게임 매뉴얼을 이용하여 GOMS의 목표, 작용소를 찾고 3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예비실험을 실시하여 GOMS의 방법과 선택규칙을 도출하였다. 예비실험결과를 토대로 30명의 전문 게이머들을 대상으로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게임 법칙에 대한 추상도 수준에 따른 법칙선택의 예측력은 96.25%, 제한사항의 복잡도에 따른 법칙선택의 예측력은 77.35%의 GOMS 모델 적합도가 산출 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GOMS 모형은 게임을 설계하는 초기 단계에 새로운 평가 모형을 제시하며 게임의 품질을 향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앱 인벤터 게임 작성을 활용한 중학생의 프로그래밍 수업 및 학습 성과 분석 (Middle-School Programming Classes Utilizing App Inventor Game Creation and the Analysis of their Educational Outcomes)

  • 김성경;김상철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49-60
    • /
    • 2018
  • 많은 나라들에서 최근 초중고생에게 컴퓨터 프로그래밍 교육을 의무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래밍이 초중고생이 배우기 어렵기에, 게임 프로그래밍을 프로그래밍 수업에 적용해 학생들의 수업 동기와 만족도가 높아졌다는 기존 연구들이 다수 발표되었다. 우리는 중학생의 컴퓨터 프로그래밍 수업에 앱 인벤터 게임 작성을 활용하고 그 학습 효과를 분석하는 연구를 진행했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가 수업 시간에 활용했던 앱 인벤터 게임들의 명세 및 우리의 수업 모델을 기술한다. 또한 게임 프로그래밍을 활용한 프로그래밍 수업이 컴퓨팅 사고력, 창의적 사고력 및 프로그래밍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변화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중학생들의 이들 능력 및 긍정적 인식이 크게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짝 학습인 하브루타(Havruta) 학습을 프로그래밍 수업에 적용해 이것이 일반 빙식에 비해 학습 성과를 높임을 알 수 있었다.

철근공사 스마트 학습을 위한 모바일 게임 개발 (Development of a Mobile Game for Smart Education of Rebar Work)

  • 박우열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19-228
    • /
    • 2022
  • 본 연구는 학습자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학습성과를 높이기 위해 철근공사 교육에 게임적 요소를 활용한 모바일 앱을 개발하고 적용 효과를 분석하였다. 게임 개발 모델인 4F 프로세스를 활용하여 스마트 폰 사용에 익숙한 대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스마트폰 앱을 개발하였으며, 학습미션과 포인트 등의 게임 메커닉스와 낱말 맞추기나 퍼즐 게임과 같은 친숙한 게임 유형을 활용하여, 학습자의 흥미를 자극하고 학습 동기를 높일 수 있는 방식으로 앱을 개발하였다. 적용 결과 인터페이스 스타일,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활용의 용이성, 지각된 즐거움, 활용 태도, 활용 의도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철근 교육용 게임 앱을 도입하여 수업에 활용하는 것은 다양한 측면에서 교육적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농촌가정 자녀들의 방과후 활동에 대한 연구 (After-school activities of rural children)

  • 옥경희;김미해;천희영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9권4호
    • /
    • pp.85-103
    • /
    • 2001
  • After-school activities were examined for 449 rural children in first through seventh grades. Childrens engagement of after-school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child and family characteristics, especially childrens age and behavior control ability. Findings showed a decline in amount of time spent studying and reading and a raise in going to a game-room. Childrens school achievement,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were also differed by a range of after-school activities. Children spent more time in studying and reading showed higher grades, happiness, school life. Teachers reported greater aggressive behavior and less adjustment of school life among children participating more in game related activities and hanging out. Watching TV, doing house chores and visiting friends were not variables which showed different outcom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