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TEP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09초

무역인력양성시스템 교육서비스품질과 만족도, 그리고 국제화 의도 간 실증적 관계 - 대학무역인력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Empirical Relationships among Education Service Quality for Trade Talents, Satisfac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Intention: Glocal Trade Experts Incubating Program)

  • 이재훈;조효비;묘사원;황성훈
    • 통상정보연구
    • /
    • 제19권3호
    • /
    • pp.177-193
    • /
    • 2017
  • 글로벌 환경에서 우수한 무역인재의 보유는 이제 국가의 수출경쟁력을 좌우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전세계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예외는 아니다. 다양한 무역인재양성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있다. 그 중에서 가장 실효성 있는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는 지역특화청년무역전문가양성사업에 대해 본 연구를 살펴보고자 한다. 지역특화청년무역전문가양성사업의 교육을 이수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국제화의도를 증폭시키는데 교육의 서비스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 있다. 그 결과, 강사품질, 교육인프라품질, 교육품질 모두가 교육만족도와 국제화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교육만족도는 매개변수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이는 단순히 교육을 수행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교육서비스품질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어 향후 교육자 양성에도 관심을 가져야만 우수한 무역인재가 양성될 수 있음을 본 연구결과는 보여주고 있다.

  • PDF

글로벌무역인력 양성을 위한 합리적인 무역학 교과과정 개편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 Direction of Modification of the Trade and International Business Curriculum for Global Trade Expert)

  • 박광서;유광현
    • 무역상무연구
    • /
    • 제37권
    • /
    • pp.329-360
    • /
    • 2008
  • In Korea, the major of international trade and business introduced in the 1960s to supply trade expert to trading companies, and the heyday of the trade major was in the 1980s. However the trade major fell into decay from the middle of 1990s. The purpose of trade education in university is to supply high qualified employees to societies and companies. The problem is that companies have difficuties for recruiting of trade expert, on the other hand university graduates have few job oppertunies. It has some discrepancies between education and field. The object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direction of modification of the trade and international business curriculum for global trade expert. We research international trade and business departments' curriculums of GTEP universities. GTEP stands for global trade expert incubating program started from 2006 which have charge of MOCIE and KITA. First, in the title of department, a lot of former researchers have taken up the position to return "Trade" or "International Trade". We think more important fact is not the title of department but the curriculum, so we insist on a harmony between the department title and curriculums. The focus of modification of curriculum is to educate global trade expert, so we need to know about global business environment and companies' needs also. Second, We propose the directions for modification of curriculum are "convergence" and "specialty". Trade major is a mixed study in nature and trade major try to treat lots of subjects such as trade, business adminstration, economics, international law, international commerce, logistics and marketing etc to catch up changing global business circumstanses and companies' needs. So convergence of adjacent field is very important in study and training. Specialty means selection and concentration strategy for global trade expert. It is difficult to learn every knowledge and skills for employer's needs in 4 years and 140 credits. A students who has studied basic subject in trade, management, economics can choose 1 or 2 specailty subject such as trade and e-commerce, global marketing, logistics and transportation, commerce and policy, servive trade, foreign language and cross culture etc. In concusion, the concept of convergence and specialty is not separation but harmony each other, so we propose to promote two concept together for modification of the trade and international business curriculum for training of global trade expert.

  • PDF

대학의 산학협력 무역인력 양성이 중소기업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f Trade Experts Incubating in University and the SME Export Performance)

  • 이호형
    • 통상정보연구
    • /
    • 제17권2호
    • /
    • pp.307-327
    • /
    • 2015
  • 대학 무역교육에 현장실무지식과 현장실습을 접목하는 교육 방식이 활성화되고 있는 현상은 무역인력의 질적 수준 향상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GTEP, LINC, 학과 또는 강의 단위 산학협력형 무역교육 등을 전부 조사하여 분석한 결과 해외전시회 참가를 중심으로 중소기업의 수출성과 확대에 실질적인 기여를 하고 있다. 산학협력을 경험한 학생이 졸업 후 해당 기업에 취업하면서 청년취업 문제가 해소되고 중소기업에 맞춤형 무역인력을 공급할 수 있는 연쇄적인 성과도 나타나고 있다. 산학협력 무역교육을 경험한 대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정보화 능력, 외국어 능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제품/기술에 대한 지식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학협력을 통해 해외시장에 진출한 50개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수출성과 달성에는 산학협력 방식의 대학생 무역교육 후 수료생의 역량 향상이 성공요인으로 나타났다.

  • PDF

Add to Cart or Buy It Now? Factors Influencing the Usage Intention of Online Shopping Cart

  • Kim, Namhee;Chun, Sungyong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5권2호
    • /
    • pp.117-132
    • /
    • 2018
  • This study examines the reason why consumers try to use the online shopping cart more, and especially analyzes the influence of personal psychological factor such as regulatory focus. Hypotheses are tested with a two-way ANOVA model using experimental data collected from 210 undergraduate students at a business school in South Korea. We found that prevention focused consumers try to use online shopping cart more than promotion focused consumers. It is possible that prevention focused consumers try to consider as many alternatives as possible to ensure safety as they focus on negative results or losses during shopping online. However, we also found out when the buying purpose is utilitarian, promotion focused consumers are not different from the promotion in terms of the usage intention of online shopping carts. Marketing managers can provide different messages customized for their consumers by leading them to use the online shopping cart in a more effective way.

4차 산업혁명시대 무역인력양성 방향과 전략에 관한 연구 (The Direction & Strategy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 Global Business Practise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조원길
    • 무역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67-85
    • /
    • 2019
  • This study analyzes the trade issues and curriculum issues of universitie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with the aim of finding strategies to improve the curriculum of international commerce and to cultivate trade manpower by matching them with the trade job competencies required by trade enterprises. To this end, trade college students, GTEP partners, industry-academia partners, and expert groups of N university were asked to provide information on trade curriculum for the current curriculum. The resulting data were analyzed by questionnaire frequency analysis and FGI method to reveal that both students and graduates are interested in improving the trade curriculum of the university, and that companies are also demanding talents who are responsible for the comprehensive process of trade practice and can perform sincerely and comprehensively. Therefore, we have established a new curriculum that is suitable for the 4th industrial age, opened a certificate acquisition course suitable for the needs of the company, and developed the commercial practice, trade simulation, capstone design, and PBL teaching method. Ways are suggesting to reduce mismatch between universities and companies.

해외시장 개척을 위한 산학협력 활성화 연구 (A Study on activation of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r pioneering overseas market)

  • 이호형
    • 통상정보연구
    • /
    • 제19권1호
    • /
    • pp.305-324
    • /
    • 2017
  • 최근 해외시장 개척을 위한 산학협력 방식의 무역교육은 현상은 무역인력의 질적 수준 향상과 중소기업의 수출성과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그러나 수출 초보기업과 수출 경험이 없는 대학생들이 함께 해외시장 개척에 나섰을 경우 항상 좋은 성과만 있는 것은 아니다. 체계적인 교육과 준비과정이 없는 해외시장 개척 활동은 사실상 예산과 시간 낭비가 될 수 있고 성과를 기대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GTEP, LINC, 중소기업청 사업 등 해외시장 개척 산학협력 경험자 30명을 대상으로 집단 인터뷰를 실시하여 산학협력에 필요한 각 단계별 모형을 도출하였다. 학생선발, 협력기업 네트워킹, 학생교육, 해외시장조사, 전시회 발굴, 전시회 준비, 전시회 파견, 사후 관리 8단계의 모형을 제시하였고 각 단계별 진행사항 및 유의사항을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정리하였다. 구체적인 내용은 해외시장 개척 산학협력을 처음 시작하거나 성과를 높이고자 하는 각 대학 사업단 관계자들이 직접 적용할 수 있는 부분이다.

  • PDF

글로벌 사업 진출을 위한 산학협력 협업촉진모델: 경남 G대학 GTEP 사업 실험사례연구 (A Study on the UIC(University & Industry Collaboration) Model for Global New Business)

  • 백종옥;박상혁;설병문
    • 벤처창업연구
    • /
    • 제10권6호
    • /
    • pp.69-80
    • /
    • 2015
  • 협업을 촉진할 수 있는 환경과 시스템을 갖추는 것은 기업경쟁력 확보에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협업이란 여러 사람이 협동적이고 조직적으로 일하며, 공동의 목표 혹은 가치를 추구하여 정보와 프로세스를 공유함으로써 노동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상호작용을 의미한다. 협업을 촉진시키는 요인에는 비전 공유, 비전을 반영한 조직의 원칙 및 규칙, 온라인 시스템 구축, 의사소통 등이 있다. 첫째, 비전을 구체화 할수록 조직원의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참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둘째, 구성원이 수용하는 규칙이나 원칙이 단합과 좋은 성과로 이어지게 된다. 또한 능력에 맞는 업무 분담과 자기 계발을 위한 활동이 업무로 이어지고 정기적인 팀 활동을 만들어 협업 환경 및 분위기를 조성하는데 도움이 된다. 셋째, 체계적인 온라인 협업 시스템의 구축으로 효율적이고 신속한 업무가 이루어진다. 기업들은 클라우드 서비스와 소셜미디어를 활용하여 업무의 저비용과 고효율을 이룰 수 있었으며, 이때 구성원들의 적극적 활용과 참여를 유도하는 지속적 교육이 반드시 수반되어야 한다. 넷째, 기업을 알리고 조직 내 외부 사람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는 활동은 기업의 이미지를 바꾸고, 기업 성과를 창출해 내는 기반이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글로벌 사업진출과정에 발생하는 문제해결 방안으로 산학협력 협업촉진모델을 제안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기업조직에서 협업이 잘 이루어지기 위한 촉진요인을 전략적 연동 모형(strategic alignment model)을 기반으로 협업을 이해하고, 스마트워크 도구를 활용하는 팀 사례분석을 통한 성공요인을 도출한다. 연구결과 체계적인 협업촉진모델을 만들기 위하여 조직 구성 단계에 맞는 역할들을 도출하였다. 첫째, 리더는 확고하고 명확한 비전을 만들어 조직구성원에게 전파하여 공감과 믿음 그리고 소속감을 가지도록 하여야 한다. 둘째, 중간관리자를 포함한 리더는 조직의 비전을 팀원간에 전파하기 위해 규칙과 원칙을 만들고, 시스템을 구축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관리하여야 한다. 셋째, 팀원은 기업의 비전을 내재화하여 역할에 책임을 다할 뿐만 아니라 외부로 기업을 알리는 역할에 충실해야 한다. 연구결과는 향후 실증 연구를 위한 기반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지각된 위험이 나노기술 제품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기관, 사람, 기술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Effect of Perceived Risk on the Intention to Adopt Nanotechnology Products as Moderated by Institution, People, and Technology Trust)

  • 배성훈;강상규;김준현;정연주;이동환;천성용;송호준;김남희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51-69
    • /
    • 2017
  • TVarious studies in different industries have proven the effectiveness of nanotechnology, which is considered as a representative technology that makes lives faster and more convenient and economical. However, as nanomaterials are tiny, consumers are concerned on whether they can do any physical harm. Therefore, based on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of use from the generally us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this study added additional variables including perceived risk. Moreover, this study introduced three kinds of trust (institution, people, and technology trust) as moderating variables, which can reduce the negative effect of perceived risk. Based on the analysis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e determined that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of use positively influenced the intention to adopt nanotechnology products. Thus, when consumers regarded nanotechnology products as efficient and convenient, they showed increased intention to adopt the technology. Furthermore, perceived risk negatively affected the intention to adopt nanotechnology products, that is, when customers' perceived risk increased, the adoption intention of nanotechnology product decreases because of the potential risk from nanotechnology. On the one hand, the negative effect of perceived risk on adoption intention decreased when trust in nanotechnology washigh and when consumers highlytrust experts or administrators. On the other hand, trust in government, public institutions, and companies which produce nanotechnology products showed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generalized TAM by applying the model to new nanotechnology products and extended existing studies by the addition of perceived risk and various trust factors to the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