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SH reductase

검색결과 147건 처리시간 0.029초

두릅열수추출물이 당뇨유발 흰쥐의 간조직 중 유해 활성산소 대사효소계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ralia elata Water Extracts on Activities of Hepatic Oxygen Free Radical Generating and Scavenging Enzyme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김명주;조수열;이미경;신경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653-658
    • /
    • 2004
  • Wistar계 흰쥐에게 두릅열수추출물을 7주간 급여하였으며 당뇨유발은 희생 2주전 streptozotocin을 투여하여 혈당이 300 mg/dL 이상인 흰쥐를 대상으로 유해 활성 산소 대사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였다. 간조직 중의 유해 활성산소 생성계인 P-450 함량과 XO 및 AD 활성은 정상군에 비하여 당뇨대조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된 반면, AH 활성은 증가 되었다. 두릅열수추출물 급여로 이들 유해 활성 생성계 효소 활성 변화가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OD, CAT, GSH-Px 및 GST, GR과 같은 유해 활성산소 제거계와 G6PD 효소들은 당뇨유발로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으나, 두릅열수추출물 급여군에서는 이들 효소 활성이 낮았다. 당뇨유발로 항산화물질인 글루타티온 함량은 유의적으로 감소된 반면 지질과산화물 생성은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그러나 두릅열수추출물 급여는 당뇨대조군의 이들 함량 변화를 유의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두릅열수추출물 급여는 STZ 투여로 인한 유해 활성산소 대사계 변화를 완화시킬 뿐만 아니라 지질과산화물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한 당뇨합병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오디, 뽕잎 및 누에의 혼합비율에 따른 Streptozotocin 유발 당뇨쥐에서의 항산화 효과 및 지질대사개선 효과 (Antioxidant Effects and Improvement of Lipid Metabolism of Mulberry fruit, Mulberry Leaves and Silkworm Powder with Different Mixing Ratio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권은혜;정명애;이순재;최상원;조성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9권2호
    • /
    • pp.91-99
    • /
    • 200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ulberry fruit, mulberry leaves and silkworm powder with different mixing ratios on hepatic antioxidative system and lipid metabolism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Sprague-Dawley male rats weighing $100{\pm}10g$ were induced diabetic by 50 mg/kg bw streptozotocin and randomly assigned to following experimental groups; normal diet group (DM), 0.3% and 0.6% mulberry fruit diet groups (F and 2F), 0.3% mulberry leaves diet group (M), 0.3% silkworm powder diet group (S), 0.15% mulberry fruit+0.15% mulberry leaves diet group (FM), 0.15% mulberry fruit+0.15% silkworm powder diet group (FS), 0.1 % mulberry fruit+0.1 % mulberry leaves+0.1% silkworm powder diet group (FMS). The experimental diets were fed for 4 weeks. Hepatic SOD activity was not changed significantly by any of single or combined supplementations of mulberry fruit, leaves and silkworm powder but GSH-px and catalase activities were increased by the groups supplemented with two or three of the test ingredients (FM, FS, FMS) as compared with the DM group. Hepatic TBARS value was not reduced significantly by any of the supplementations but lipofuscin contents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FM, FS and FMS groups as compared with the DM group. Hepatic mitochondria and microsomal carbonyl values were reduced by the single and combined supplementations of the test ingredients. Hepatic HMG-CoA reductase activities were increased in the all supplementation groups as compared with the DM group. Hepatic total lipid and triglyceride contents were increased but cholesterol contents reduced in the supplemented groups. The effects on the enzyme activities, peroxide or its products and lipid contents were most remarkable in the FMS group. In conclusion, mulberry fruit, mulberry leaves and silkworm powder have the favorable effects on antioxidative system and lipid metabolism in the diabetic liver and the mulberry fruit, leaves and silkworm powder with equal ratio exert the synergistic effect expectedly to prevent diabetic complications.

흰쥐에서 황칠나무 열수 추출물을 포함한 혼합물의 혈중 알코올 농도와 숙취 해소 효과 (Eliminatory Effect of Mixture including Hot Water Extract of Dendropanax morbifera Lev. on Alcohol-induced Blood Alcohol Concentration and Hangover in Rat)

  • 나주련;김은;박소이;이기훈;정의선;김진석;김용재;김선오
    • 한국키틴키토산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67-276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숙취해소에 좋은 것으로 알려진 식품 소재와 황칠나무 추출물을 복합하여 in vitro 및 in vivo에서 알코올 유도된 간 손상에 대한 보호효과를 검토하였다. HepG2세포에서 300 mM 알코올과 SBJ 혼합물을 처리하였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LDH 수치가 감소하였으나 황칠나무 추출물을 제외한 복합물인 SBJ-복합물에서는 그 효과가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것을 관찰하였다. In vivo에서 SBJ 혼합물의 보호효과를 확인하고자 흰쥐에 알코올과 SBJ 혼합물을 투여한 결과, 알코올 투여 후 1시간까지 급격하게 혈중 알코올 수치가 EtOH군에서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SBJ 혼합물 투여군은 유의적인 차이로 감소되었음이 관찰되었으며 또한 농도의존적인 경향을 확인하였다. ADH 및 ALDH 활성의 증가는 SBJ 혼합물의 알코올 분해 및 대사산물의 제거 활성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뿐만 아니라, 알코올에 의하여 증가한 LDH의 농도가 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GST, SOD, GPx 및 reduced glutathione와 같은 항산화 인자 및 효소의 활성은 대조군보다 EtOH군이 유의적으로 감소했으며, SBJ 혼합물에 의해 개선되는 경향을 관찰하였다. 이를 통해 SBJ 혼합물은 ADH, ALDH 활성 증가 및 항산화 방어계를 향상시킴으로써 산화적 스트레스 감소를 통한 간보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간보호에 미치는 주요한 추출물은 황칠나무 추출물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숙취해소 작용을 갖는 신규 식품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건강한 남자 대학생에서 민들레즙 보충이 알코올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 및 숙취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Dandelion Juice Supplementation on Alcohol-Induced Oxidative Stress and Hangover in Healthy Male College Students)

  • 노경희;장지현;김진주;신진혁;김동규;송영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683-69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성인 남자를 대상으로 민들레즙이 알코올 섭취 후 산화적 스트레스 및 숙취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여 알코올 섭취로 인한 간 기능 보호와 숙취해소 효과를 가진 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평균 주량이 소주 1병 이상으로 술을 즐겨 마시는 건강한 20대 식품전공 남자 대학생 9명을 선정하여 개인차를 없애기 위해 실험 시작 전 1주일 간 금주를 시켰으며 시험에 앞서 임상대상자들에게 본 연구에 대해 충분히 숙지시킨 후 안정된 분위기에서 시험을 cross over design으로 진행하였다. 대상자들에게 매일 민들레즙 220 mL씩 1주일간 보충시킨 후 각각 20% 에탄올을 함유한 소주 360 mL씩 (에탄올 함량 72 g)을 섭취시켰다. 술은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1시간 내에 다 마시게 하였으며 두 번의 실험 사이에는 2주간의 wash-out period를 가졌다. 민들레즙을 보충한 군에서 알코올 섭취 후 혈중 HDL-C 농도가 유의적으로 (p<0.01) 증가하였으며 LDL-C 농도는 현저하게 감소하였고 ADH와 ALDH 활성을 향상시켜 에탄올과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다소 저하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 항산화능과 지질과산화 정도는 민들레즙 보충에 따른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민들레즙을 보충한 군에서는 알코올 섭취 후 다소 지질과산화가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적혈구의 항산화 효소계 활성은 GSH-red와 catalase 활성이 민들레즙을 보충한 군에서 유의적으로(p<0.05)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알코올 섭취로 인한 임파구의 DNA 손상정도는 민들레즙의 보충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지만 민들레즙을 보충한 군에서 알코올에 의한 임파구DNA 손상을 다소 억제시키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주 동안과 술 마신 다음날에 나타나는 숙취증상에 대한 설문조사에서는 각 문항에서 민들레즙 보충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들로 미루어 볼 때 민들레즙 보충이 알코올 섭취 후 HDL-C 농도를 증가시켰고 ALDH 활성을 향상시켜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감소시키며 GSH-red와 catalase 활성을 증가시켜 체내에서 알코올에 의한 산화과정이나 지질과산화 생성을 다소 억제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민들레에 포함되어 있는 유효 물질이 숙취해소와 간 기능 보호 및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되며, 따라서 민들레즙이 알코올에 의한 간 기능 보호, 숙취해소 및 항산화 효과를 가진 기능성 물질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겠다.

갈대순분말이 고지방을 급여한 마우스의 지질대사 및 적혈구 항산화방어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Young Phragmites communis Leaves Powder on Lipid Metabolism and Erythrocyte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in High-Fat Diet Fed Mice)

  • 이진;정주영;조영숙;박석규;김광진;김명주;이미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677-683
    • /
    • 2010
  • 본 연구는 고지방을 급여한 마우스의 체내 지질개선 및 항산화 방어계에 미치는 갈대순의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4주령의 ICR마우스(n=24)를 1주일간 적응시킨 후 정상식이를 급여한 정상군, 고지방을 급여한 고지방군, 고지방-갈대순분말 급여군으로 나누어 8주간 사육하였다. 갈대순분말은 사람이 하루에 3잔의 차를 마시는 양을 고려하여 식이에 1% 수준이 되도록 첨가 조제하여 급여하였다. 갈대순분말군의 체중, 일일 식이섭취량과 에너지섭취량은 고지방군에 비하여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갈대순분말 급여 시 혈장의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지방군에 비하여 19% 감소되었고 중성지질 함량은 36%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갈대순분말은 고지방식이로 축적된 간 조직의 중성지질 함량 변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지방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추었다. 심장조직의 중성지질과 콜레스테롤 함량 역시 정상군에 비하여 고지방군이 각각 145%, 112%의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으나 갈대순분말 급여로 중성지질 함량은 감소경향을 보였으며 콜레스테롤 함량은 정상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개선되었다. 갈대순분말은 고지방군에 비하여 분변으로의 중성지질과 콜레스테롤 배설을 각각 27%와 28%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 갈대순분말은 간 조직의 지방산 산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지방산 합성효소 활성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였다. 간 조직 중의 HMG-CoA reductase와 ACAT 활성도 역시 갈대순급여군이 고지방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다. 적혈구 중의 SOD와 CAT 활성은 정상군에 비하여 고지방식이 급여 시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으나 GSH-Px 활성은 고지방식이로 인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반면, 갈대순분말 급여는 적혈구의 SOD와 CAT 활성과 지질과산화물 함량을 고지방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추었다. 이와 같이 갈대순분말은 고지방식 이를 급여한 마우스의 간 조직에서의 지방산과 콜레스테롤 합성을 저해하고 분변으로의 지질배설을 증가시킴으로써 혈장 지질개선에 효과적이었으며 적혈구의 항산화 효소활성도와 지질과산화물 함량도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벼와 피의 생리적(生理的) 차이(差異)에 의한 백화형(白化型) 제초제(除草劑)의 선택성(選擇性) (Selectivity of Bleaching Herbicides Caused by Physiological Differences between Rice and Barnyardgrass)

  • 나지영;김진석;김태준;조광연;변종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89-101
    • /
    • 1992
  • 직(直), 간접적(間接的)으로 활성산소(活性酸素)를 발생시켜 엽록소(葉綠素) 및 막파괴(膜破壞)를 일으키는 제초제(除草劑)들의 선택성기구(選擇性機構)를 명확히 하기 위해서는 제초제(除草劑)의 체내흡수(體內吸收), 이행(移行), 대사(代謝) 외(外)에 작용점(作用點)에서의 감수성(感受性), 과산화(過酸化) 능력(能力), 막(膜)의 안정성(安定性) 및 항산화(抗酸化) 능력(能力)의 차이(差異) 등(等)에 대해서도 검사(檢射)되어야 할 것이다. 본(本) 실험(實驗)에서는 대부분의 백화형(白化型) 제초제(除草劑) 처리에서 관찰되는 벼, 피 반응(反應) 차이(差異)의 일부(一部)를 이러한 관점에 기준을 두어 해석해 보고자 실험(實驗)을 수행하였다. 1. 피가 벼보다 여러 백화형(白化型) 제초제(除草劑)에 대해 민감(敏感)하였으며, 무처리(無處理)의 엽신(葉身)을 절취(切取)하여 두었을때도 노화(老化), 괴사(壞死)되는 정도가 피에서 더욱 빨라 생리적(生理的)으로 약한 특성을 보였다. 2. Oxyfluorfen 처리후의 PPIX 축적과 norflurazon 처리후의 carotene 감소율(減少率)은 벼, 피간의 선택성(選擇性)과는 상관이 없었다. 3. Lipoxygenase 활성(活性)은 피가 약 5-6배(倍)높고, 불포화지방산(不飽和脂肪酸)의 비율도 피가 벼보다 높아 과산화(過酸化)가 쉽게 일어날 수 있는 소질(素質)을 갖고 있었다. 4. Peroxidase, catalase, superoxide dismutase, glutathione reductase, ascorbic acid oxidase 등(等)의 생체중당(生體重當) 활성(活性)은 벼가 피보다 각각 3.6, 11.4, 1.5. 2.5배(倍) 더 높았다. 한편 약제처리 후 항산화(抗酸化) 효소(酵素) 유기능력(誘起能力)에 있어서는 오이 peroxidase에서와는 달리 벼, 피에서는 변화가 없거나 오히려 비슷한 정도로 활성(活性)이 떨어지는 경향이었다. 5. 항산화제(抗酸化劑) 함량(含量)의 경우 벼가 피보다 ${\alpha}$-tocopherol은 2.3배(倍) ascorbic acid는 4.1배(倍), GSH는 1.7배(倍), carotenoid는 1.8배(倍) 높았다. 따라서 유묘기(幼苗期)(3-4 엽기(葉期) 미만(未滿))의 벼, 피에 백화형(白化型) 제초제(除草劑)를 처리할 때 피가 공통적 A로 감수성(感受性)을 보였던 이유는 피가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성질(性質) 즉 낮은 색소대사력(色素代謝力), 항산화(抗酸化) 효소(酵素)의 낮은 활성(活性), 항산화제(抗酸化劑)의 저함량(低含量), 높은 불포화(不飽和) 지방산(脂肪酸) 비율(比率), lipoxygenase의 고활성(高活性) 등(等)을 보유하고 있는데도 그 원인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난소절제 흰쥐에서 녹차가공품의 지질강하와 항산화 작용을 통한 항동맥경화 효과 (Anti-atherogenic Effect of Green Tea Product through Hypolipidemic and Anti-oxidative Action in Ovariectomized Rats)

  • 조미경;노경희;김진주;송영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0호
    • /
    • pp.1263-1270
    • /
    • 2007
  • 난소절제 흰쥐에서 녹차가공품(GTP)의 항동맥경화 효과를 분석하여 폐경기 증후 개선을 위한 기능성식품으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GTP는 경남하동 소재 화개제다(花開製茶)로부터 제공받았다. 실험 동물은 10주령의 Sprague-Dewley 암컷 흰쥐로 평균 체중 $279{\pm}2g$인 실험 동물을 완전임의배치로 한 군당 10마리씩 4군으로 나누어 양쪽 난소를 절제한 후(OVX) 실험 식이를 제공하였다. Sham 대조군은 실험군과 동일한 스트레스를 주기 위해 난소를 절제하지 않고 개복수술만 실시한 후 실험하였다. 난소 절제 후 2주간 배합사료를 급여한 후 Sham-대조군(Sham-C)과 OVX-대조군(OVX-C)은 AIN' 76에 기초해서 제조한 콜레스테롤 첨가 식이를, OVX 실험군은 콜레스테롤 첨가 식이에 GTP 5%(OVX-G 5%)와 20%(OVX-G 20%)로 함유한 실험 식이를 조제하여 6주간 급여하였다. 식이 조제시 Ca함량은 총 식이의 0.4%수준으로 GTP첨가량 5%(Ca 함량 50%와 $CaCO_3$ 50%)와 GTP 첨가량을 20%(Ca함량 0.4%)로 조정하였으며 Sham-E와 OVX-C는 20% GTP 수준의 Ca 함량과 동일한 양으로 $CaCO_3$로 조정하여 첨가하였다. 혈청의 TG농도는 OVX-C군에 GTP 20%를 첨가한 식이를 섭취한 군에서 유의적으로(p<0.05) 낮은 수준을 보였다. 총 콜레스테롤 농도에 대한 HDL-C 농도비(%)는 GTP 20%를 첨가한 식이를 제공받은 군에서 유의적으로(p<0.05) 높았으며 $TNF-{\alpha}$ 수준은 GTP 20%를 첨가한 식이를 제공받은 군에서 유의적으로(p<0.05) 감소하였다 간의 TG와 TBARS 수준은 GTP 20%를 첨가한 식이를 제공받은 군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GTP의 첨가가 간에서의 GSH함량 및 항산화 효소계의 활성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GTP를 첨가한 식이를 섭취한 실험군의 1일 변중의 총 지방 및 TG 배설량은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OVX-C군에 비해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총 콜레스테롤 배설량은 OVX-C군에 비해 높은 수준이었다. 난소 절제 흰쥐에서 5% GTP를 제공받은 군에 비해 20% GTP를 첨가한 식이를 제공받은 군에서 혈액과 간에서의 지질농도 감소와 항산화 효소의 활성이 높은 수준을 보여 GTP의 첨가량이 높을수록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로 미루어 볼 때 난소절제 흰쥐에서 GTP 첨가가 변의 총지질과 TG및 콜레스테롤 배설을 증가시켜 혈청과 간의 총 지질 농도와 TG및 총콜레스테롤 농도를 감소시키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GTP의 섭취가 체내 총 지질 농도를 감소시켜 항 동맥경화 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녹차가공품의 폐경기 고지혈증 개선을 위한 기능성식품으로의 가능성을 보여 준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