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SD

검색결과 198건 처리시간 0.019초

에지 타겟 분석을 통한 무인기 영상의 선명도 지표 추출 (Extraction of UAV Image Sharpness Index Using Edge Target Analysis)

  • 임평채;서정훈;김태정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4권6_1호
    • /
    • pp.905-923
    • /
    • 2018
  • 무인기 영상을 활용한 고해상도의 산출물을 생성하기 위해서 영상 분석을 통해 측정되는 영상자체의 선명도 분석이 필요하다. 무인기의 선명도가 명확하지 않는 영상을 현업에서 사용할 경우 무인기를 이용한 정확한 3차원 정보의 획득이나 매핑 등의 작업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영상 선명도를 설명할 수 있는 지표로 식별해상도(Ground Resolved Distance, GRD)가 사용되어 왔다. GRD는 영상에서 식별 가능한 두 물체간의 최소거리로 정의되며 공간적 샘플간격인 GSD(Ground Sampling Distance)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GRD를 육안판독에 의하지 않고 영상에 촬영된 에지 타겟을 분석하여 추출하고자 한다. 특히 GRD대 GSD의 비율(GRD/GSD), 또는 픽셀단위로 표현된 GRD를 영상의 상대적 선명성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로 사용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회전익을 사용하여 여러 촬영환경에서 고도별로 촬영된 에지타겟의 분석을 통해서 GRD를 산출하였다. GRD/GSD를 사용하여 선명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영상을 판별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서 영상의 선명도 지표로서의 적정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Lagrangian 개념에 의한 부유토사 확산범위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ediment Transport Region based on the Lagrangian Concept)

  • 조홍연;김창일;이길하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05-112
    • /
    • 2007
  • Lagrangian 개념에 근거하여 입도분포를 고려한 토사 확산범위 예측모형을 구성하여 입도분포를 고려한 경우와 고려하지 않은 경우의 확산범위 변화를 분실하였다. 토사의 입도분포를 Lagransian 관점에서 고려하기 위하여 입도분포곡선을 대수정규분포 함수로 가정하고, 토사입자에 해당하는 난수를 생성하였다. 토사입자는 구형으로 가정하였으며, 입도분포곡선에서 난수의 중량을 기준으로 발생된 난수를 토사입경에 해당하는 인자로 환산하였다. 부유토사 이동양상은 입자의 침강양상 모의를 통하여 검토하였으며, 침강속도는 van Rijn 공식을 이용하였고 침강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수평 확산계수만을 상수로 가정하여 포함하였다. 입도분포를 고려한 경우의 확산범위는 표사입도에 의한 영향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의 확산범위와 유사하게 산정되었다. 그러나, 확산범위를 공급된 총입자중량의 90%, 99% 토사중량이 차지하는 영역을 기준으로 정의하는 경우, 90% 기준조건에서는 입도분포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의 확산범위가 크게 산정되었으나, 99% 기준조건에서는 입도분포를 고려한 경우의 확산범위가 크게 산정되었다. 또한, 토사의 침강양상도 입도분포를 고려한 경우가 보다 현실적인 모습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Siemens star를 이용한 드론 영상의 품질 평가 (Quality Evaluation of Drone Image using Siemens star)

  • 이재원;성상민;백기석;윤부열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17-226
    • /
    • 2022
  • 고정밀 공간정보제작 분야의 활용 측면에서 무인항공사진측량은 촬영된 영상의 정량적인 품질 검증 방법과 인증에 대한 절차와 세부 규정이 미흡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영상에 대한 검증 수단이 해상도와 명암의 대비 정도를 동시에 분석 할 수 있는 MTF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분석이 아닌 GSD (Ground Sample Distance) 만으로 품질을 평가하고 있어 유인항공영상보다 품질이 떨어지는 경우도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드론 영상 품질 분석에서 MTF 분석의 필요성을 확인하기 위해 Siemens star를 이용하여 GSD와 MTF 분석을 동시에 실시하였다. 서로 다른 드론 기체와 센서로 동일한 해상도로 타겟을 촬영한 영상을 분석한 결과, GSD에서는 약간 상이한 결과를 나타내었지만, 영상의 해상도와 명암의 대비 정도를 동시에 분석할 수 있는 σMTF 수치는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MTF 분석이 보다 객관적이며 신뢰도 높은 품질분석 방법이라고 결론지을 수 있다. 아울러 작업자가 카메라 센서의 성능, 중복도 및 기체의 성능을 적절하게 판단하여 촬영을 실시하여야만 높은 품질의 드론 영상을 획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본 연구는 제한된 기체와 촬영 조건하에서 취득된 영상으로만 분석을 수행한 결과이다. 따라서 향후 관련 분야의 다양한 실험 데이터를 축척하여 지속적인 연구를 수행하면 보다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는 결과를 도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SVM의 확률 출력을 이용한 새로운 Global Soft Decision 기반의 음성 향상 기법 (Global Soft Decision Using Probabilistic Outputs of Support Vector Machine for Speech Enhancement)

  • 조규행;장준혁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75-79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support vector machine (SVM) 기반의 global soft decison (GSD)을 이용한 새로운 음성 향상 기법을 제시한다. 일반적으로 soft decision (SD) 이득 수정 및 잡음 전력 추정에 근거한 음성 향상 기법이 hard decision을 이용한 음성향상 기법 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각 프레임에서의 음성 부재에 대한 효과적인 척도인 전역음성 부재확률 (global speech absence probability, GSAP)을 SD 기반의 음성 향상 기법에 적용한 여러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sigmoid 함수를 이용하여 얻어진 SVM의 확률 출력에 의해 추정된 새로운 GSAP를 음성 향상 기법에 적용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의 성능은 다양한 잡음 환경에 적용하여 PESQ 및 MOS 평가 방법을 바탕으로 기존의 GSD 기반의 스펙트럼 향상 기법과 비교하여 향상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조선소 도장작업 노동자 유기용제 노출과 일간 변이 (Characteristics of Workers'Exposure Concentration and Daily Variations to Organic Solvents in Shipbuilding Painting Processes)

  • 안진수;박두용;강태선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88-499
    • /
    • 2019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haracterization of organics solvent exposure among painting workers in the shipbuilding painting process, especially for their daily variations(within worker variance). Methods: Charcoal passive dosimeters were worn throughout each work shift for 20 days for five painting workers from October 19 to November 26, 2015. A total of 100 samples were collected, analyzed and compared with statutory workplace environmental measurements. Results: The geometric mean(GM) and geometric standard deviation(GSD) of mixed organic solvent(six substances) exposure index(EI) for the 100 samples were 0.42 and 4.42 respectively. The median and range of GSD for within worker EI representing five workers' daily EI variation is 3.72 and 2.63 ~ 5.20, respectively, which is classified as a very large variation(GSD>3). We were able to divide the painting process into two similar exposure groups(SEGs), Touch-up and Spray. Spray painting workers were much more exposed to organic solvent than Touch-up painting workers(GM=0.71 vs. 0.19), but less variably (GSD=3.64 vs. 4.10). xylene is the substance to which the workers were most exposed(GM=16.19 ppm, GSD=4.36), and the exposure characteristics of six substances including xylene is similar to those of EI. Conclusions: The daily variation of organic solvent exposure in the shipbuilding painting process is so high that statutory Assessment of Reliability of Work Environment Monitoring needs to be conducted with statistically sufficient number of samples and evidence.

A STUDY ON THE DETERMINATION OF THE INSTANTANEOUS FIELD OF VIEW FOR I-M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

  • Seo Doo-Chun;Park Su-Young;Lee Dong-Han;Lee Sun-Gu;Song Jeong Heon;Lim Hyo-Suk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5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5
    • /
    • pp.649-652
    • /
    • 2005
  • In this paper we present a detail approach of the determination of IFOV (Instantaneous Field of View) of high-resolution (l m) panchromatic satellite image over test site. IFOV is the representative measurements as the determinat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in remote sensed imaging system. It can be defined as some area on the ground with the particular altitude when the satellite acquires the image at any given time. Especially, spatial resolution of passive sensors primarily depends on their IFOV. The determination of IFOV goes through simple steps of procedure as followings: Firstly, the GSD (Ground Sample Distance) should be computed at each point on the geometrically corrected image. Then, The GSD is converted into the IFOV. So we are going to explain our test procedures and results.

  • PDF

Chylous Manifestations and Management of Gorham-Stout Syndrome

  • Cho, Sungbin;Kang, Seung Ri;Lee, Beom Hee;Choi, Sehoo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2권1호
    • /
    • pp.44-46
    • /
    • 2019
  • Gorham-Stout disease (GSD) was first described by Gorham and colleagues in 1954, but its precise mechanism and cause remain to be elucidated. In this condition, voluminous and potentially fatal chylous effusions into the thorax can occur. Herein, we describe a case of GSD in which the patient presented with massive pleural effusions and mottled osteolytic bone lesions. We performed multiple operations, including thoracic duct ligation using video-assisted thoracoscopic surgery and thoracotomic decortication, but these procedures did not succeed in preventing recurrent pleural effusion and chest wall lymphedema. After administering sirolimus ($0.8mg/m^2$, twice a day) and propranolol (40 mg, twice a day), the process of GSD in this patient has been controlled for more than 2 years.

양돈장 작업장소별 암모니아 및 황화수소의 실시간 모니터링 (Real-time Monitoring of Ammonia and Hydrogen Sulfide According to Workplace at Swine Farms)

  • 박지훈;강태선;석지원;진수현;허용;김경란;이경숙;윤충식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02-411
    • /
    • 2013
  •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concentrations of ammonia and hydrogen sulfide according to task unit area at swine farms. Methods: A total of six swine farm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mmonia and hydrogen sulfide were monitored using a real-time multi-gas monitor which could sample the gases simultaneously. The sampling was done in the pig building, manure storage facility and composting facility of each farm. Results: The concentration of ammonia in the pig buildings(GM 22.6 ppm, GSD 2.3) was significantly higher(p<0.0001) than in the manure storage facilities(GM 10.4 ppm, GSD 2.7) and composting facilities(GM 8.6 ppm, GSD 2.8). The concentration of hydrogen sulfide in the manure storage facilities(GM 9.8 ppm, GSD 3.2) was higher(p<0.0001) than in the pig buildings(GM 2.3 ppm, GSD 2.3) and composting facilities(GM 1.9 ppm, GSD 2.5). In particular, the levels of hydrogen sulfide in the confined manure storage facilities were higher than those in open-type facilities and the peak concentration(98 ppm) in the confined facilities was approximate to 100 ppm, at the value of Immediately Dangerous to Life or Health(IDLH). Conclusions: Suffocation accidents caused by hazardous gases at a swine farm have occurred annually. Real-time monitoring of the hazards should be done in order to protect farm workers and livestock from the sudden accidents.

한국인 제3형 당원병 환자의 임상상 및 AGL 유전자형 (AGL gene mutation and clinical features in Korean patients with glycogen storage disease type III)

  • 고정민;이정현;김구환;유한욱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5-23
    • /
    • 2006
  • Purpose: Glycogen storage disease type III (GSD-III), is a rare autosomal recessive disorder of glycogen metabolism. The affected enzyme is amylo-1,6-glucosidase, 4-alpha-glucanotransferase (AGL, glycogen debranching enzyme), which is responsible for the debranching of the glycogen molecule during catabolism. The disease has been demonstrated to show clinical and biochemical heterogeneity, reflecting the genotype-phenotype heterogeneity among different patients. In this study, we analyzed mutations of the AGL gene in three unrelated Korean GSD-III patients and discussed their clinical and laboratory implications. Methods: We studied three GSD-III patients and the clinical features were characterized. Sequence analysis of 35exons and part exon-intron boundaries of the AGLgene in patients were carried out by direct DNA sequencing method using genomic DNA isolated from patients' peripheral leukocytes. Results: The clinical features included hepatomegaly (in all patients), seizures (in patient 2), growth failure (in patients 1), hyperlipidemia (in patients 1 and 3), raised transaminases and creatinine kinase concentrations (in all patients) and mild EKG abnormalities (in patients 2). Liver transplantation was performed in patient 2due to progressive hepatic fibrosis. Administration of raw-corn-starch could maintain normoglycemia and improve the condition. DNA sequence analysis revealed mutations in 5 out of 6 alleles. Patient 1 was a compound heterozygote of c.1282 G>A (p.R428K) and c.1306delA (p.S603PfsX6), patient 2 with c.1510_1511insT (p.Y504LfsX10), and patient 3 with c.3416 T>C (p.L1139P) and c.l735+1 G>T (Y538_R578delfsX4) mutations. Except R428K mutation, 4 other mutations identified in3 patients were novel. Conclusion: GSD-III patients have variable phenotypic characteristics resembling GSD-Ia. The molecular defects in the AGL gene of Korean GSD-III patients were genetically heterogeneous.

  • PDF

경사 타겟을 이용한 무인항공영상의 경계반응 분석 (Edge Response Analysis of UAV-Images Using a Slanted Target)

  • 이재원;성상민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17-325
    • /
    • 2020
  • 무인항공사진측량은 저비용, 고효율의 장점으로 최근 고정밀의 신속 공간정보 데이터 취득 수단으로 떠오르고 있다. 하지만 무인항공영상의 정량적인 품질 검증 방법이나 인증에 대한 구체적인 절차와 세부규정이 미흡하다. 또한, 영상 품질에 대한 검증 수단이 영상의 해상도와 함께 명암의 대비 정도를 분석 할 수 있는 MTF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분석이나 경계반응 분석이 아니라 단순히 GSD (Ground Sample Distance) 만으로 품질을 평가하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무인항공영상 품질 분석에서 경계반응 분석의 필요성을 확인하기 위해 GSD 분석과 함께 Slanted edge target을 이용한 경계반응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작업자가 간편하게 경계반응을 분석할 수 있도록 Matlab GUI 기반 tool을 제작하였다. 연구 결과, 동일한 GSD 임에도 불구하고 경계 반응 분석 결과는 상이하게 나타나 경계반응 분석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무인항공영상의 경계반응 분석 수치는 무인항공기에 탑재한 카메라의 성능에 비례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