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OT

검색결과 4,870건 처리시간 0.038초

불임유우의 혈청화학치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erochemical status in dairy Holstein cows of reproductive disorder)

  • 이관복;신창호;김선희;임종목;최원식;박현기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77-182
    • /
    • 1997
  • To make index on therapy or releasing from dairy holstein cows of reproductive disorder, the levels of serological sex hormones and total ALP, GOT, GPT, and serum protein were measured.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experimen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levels of FSH and estradiol in reproductive disorder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and lower than those in pregnant group and control group, respectively. (p<0.05) 2. The level of prolactin was showed mild difference in three groups and that of progesterone was reasonably higher in pregnant group with significance (p<0.05). 3. The activity of GPT was significantly higher and that of GOT was showed higher In reproductive disorder group, respectively ( p<0.05) 4. The level of total ALP was higher in reproductive disorder group, however no difference was showed between pregnant and control group. 5. The level of serum protein was followed as control, pregnant, and reproductive disorder with insignificance.

  • PDF

수도근(水稻根)의 Amino산(酸) 대사(代謝)에 관한 연구 -제(第) 3 보(報) 수도근(水稻根)의 몇가지 효소(酵素)의 활성(活性)에 미치는 삼요소(三要素)및 호흡저해제(呼吸沮害劑)의 영향(影響) (Studies on the amino acid metabolism of young rice root (Part 3) - Effects of nitrogen, phosphorus, potassium and respiratory inhibitor on the enzyme activities of rice root -)

  • 김용웅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01-207
    • /
    • 1974
  • 수도(水稻)의 생육(生育)과 GOT, GPT 및 Peroxidase의 활성(活性)에 미치는 삼요소(三要素)와 호흡저해제(呼吸沮害劑)의 영향(影響)에 대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질소(窒素)의 형태(形態)에 따른 근(根)과 지상부(地上部)의 신장정도(伸長程度)는 $NO_3$-N 구(區) > urea-N 구(區) > $NH_4$-N 구(區)의 순(順)이며 GOT, GPT, Peroxidase의 활성도(活性度)는 $NH_4$-N 구(區) > urea-N 구(區) > $NO_3$-N 구(區)의 순(順)으로 수도(水稻)의 생육(生育)과는 반대(反對) 현상(現象)을 나타내었다. 2. 수도근(水稻根)의 ${\alpha}$-naphthylamine의 산화력(酸化力)은 $NO_3$-N 구(區) > urea-N 구(區) > $NH_4$-N 구(區)의 순(順)이며 질소농도(窒素濃度)에 따라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다. 3. 수도근(水稻根)의 GOT, GPT는 무질소구(無窒素區)에서 가장 활성감소(活性減少)가 컸으며 삼요소(三要素) 결핍(缺乏)에 의(依)한 영향(影響)은 GOT가 GPT 보다 심(深)했으며 peroxidase는 반대(反對)로 활성(活性)이 증가(增加)하였고 그 경향(傾向)은 무가리구(無加里區) > 무인산구(無燐酸區) > 무질소구(無窒素區)의 순(順)이었다. 4. 호흡조해제(呼吸阻害劑)가 수도(水稻)의 지상부(地上部) 생장(生長)에 미치는 영향(影響)은 질소형태(窒素形態)에 따라 억제(抑制) 정도(程度)가 무질소구(無窒素區) > $NH_4$-N 구(區) > urea-N 구(區) > $NO_3$-N 구(區)의 순(順)이었다. 5. 호흡조해제(呼吸阻害劑)에 의한 수도근(水稻根)의 GOT, GPT 활성(活性)에 미치는 영향(影響)도 무질소구(無窒素區) > $NH_4$-N 구(區) > urea-N 구(區) > $NO_3$-N 구(區)의 순(順)으로 저해(沮害)를 받으며 Peroxidase의 활성(活性)에 미치는 영향(影響)은 일정(一定)한 경향(傾向)을 보이지 않는다.

  • PDF

발효 이고들빼기(Youngia denticulata Houtt Kitamura) 에탄올 추출물이 알코올 투여로 손상시킨 흰쥐의 간독성 해소 효과 (Hepatotoxicity Reducing Effect of Ethanol Extracts from Fermented Youngia denticulata Houtt Kitamura in Ethanol-treated Rats)

  • 김미정;이현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389-399
    • /
    • 2016
  • Aspergillus oryzae로 발효시킨 이고들빼기의 에탄올 추출물이 알코올성 간독성을 유발한 SD계 흰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군은 정상대조군(NC), 에탄올대조군(EC), 에탄올급여 및 비발효 이고들빼기 추출물 0.5% 첨가식이 급여군(ENY), 에탄올급여 및 발효 이고들빼기 추출물 0.5% 첨가식이 급여군(EFY)의 4개군(6마리/군)으로 나누어 4주간 사육하였으며, 혈청과 간 조직의 주요 지표 성분과 항산화 및 산화관련 효소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EC군이 NC군에 비하여 혈중 GOT 및 GPT 활성은 각각 87.90% 및 57.02%가 높았다. 간 조직의 중성지질과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각각 77.51% 및 18.56%, LPO 함량은 193.86%가 높았다. 반면에 GSH 함량은 29.52% 낮았다. 또, 항산화계 효소인 SOD 및 GST 활성은 각각 42.78% 및 0.94% 낮게 나타났으며, XO(O type)효소활성은 70.83% 높았다. 이로써 알코올 급여군은 전형적인 간 손상과 함께 항산화계에도 손상이 있음을 나타내었다. ENY 및 EFY군은 EC군과 비교하여 GOT 및 GPT 활성은 각각 24.73~41.99% 및 22.91~30.11%가 낮았고, 중성지질 함량은 16.65~33.33%,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22.44~23.11%, LPO 함량은 63.34~66.13%가 감소한 반면, GSH 함량은 24.61~35.60% 증가하였다. 또, GST 활성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SOD 활성은 각각 214.94% 및 261.19% 높았다. 또, XO(O type) 효소활성은 40.34~51.20% 감소하였다. EFY군은 ENY군에 비하여 GOT 및 GPT활성은 각각 22.93%, 9.34% 낮았고, 혈중 중성지질과 총콜레스테롤 및 LPO 함량은 각각 20.01%, 0.86% 및 7.59%가 낮았다. 그리고 SOD 및 GST활성은 각각 21.52% 및 0.6%가 높았고, XO(O type) 효소의 활성은 18.19% 낮았다. 이상의 결과, 발효 이고들빼기 추출물이 알코올로 유도된 간 손상 흰쥐에 대하여 간 조직 TG와 총콜레스테롤 및 LPO의 함량을 감소시키고, GOT, GPT 및 XO의 활성감소와 동시에 SOD활성을 높임으로써 간의 해독효과가 큰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결과는 향후 발효 이고들빼기의 성분들을 이용한 기능성식품의 개발과 이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일부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구강보건지식 및 실천정도 분석 (Analysis of the Oral Health Knowledge and Practice of Teachers in Som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 김수화;임미희;정재연;황윤숙;이선미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379-385
    • /
    • 2010
  •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구강건강지식 및 구강건강실천정도를 파악하고자 유아교육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교사 16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으며, SPSSWIN 14.0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구강건강지식정도에 있어서 치아우식증 관련지식 평균 7.97(9), 잇솔질 2.66(3), 치주조직병 2.86(5), 불소 2.42(5), 식이 1.04(2)로 나타났으며, 전체 24문항을 기준으로 평균 16.98로 100점으로 환산시 70점 정도의 구강건강지식 수준을 보였다. 2. 구강건강실천정도는 혀닦기를 하는 경우가 4.22로 가장 높은 반면, 정기구강검진에 있어서는 2.60으로 낮게 나타났다. 전체 구강건강실천정도는 3.11정도의 수준을 보였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구강건강지식과의 차이는 전체적인 지식에 있어 30대 연령 17.47, 5년 이상-10년 미만의 교육경력 17.50, 대졸이상 17.27, 원장인 경우가 18.26, 교육경험이 있는 경우가 17.01로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구강건강실천정도와의 차이는 연령에 있어서 당분섭취제한, 정기구강검진, 구강위생보조용품사용, 혀닦기, 전체적인 구강건강실천정도에 있어 나이가 많을수록 실천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5. 구강보건지식정도와 구강건강실천정도와의 관계는 전체적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각 영역별로 구강보건지식이 높을수록 실천정도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지속적인 구강보건교육을 통한 지식의 향상은 물론 구강보건실천 향상도 매우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고등학생의 정신건강 상태에 관한 연구 -SCL-90을 이용, 서울시 인문계 1 . 3학년을 중심으로- (A STUDY ON MENTAL HEALTH STATE OF HIGH SCHOOL STUDENTS)

  • 김은주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10-141
    • /
    • 198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mental health state of high school students. First-year students and third-year students af liberal high schools is Seoul were subject to this study. Questionnaire of Symptom Checklist-90 and various factors was adopted for the survey. A total of 916 questionnaires was sellected for the analysis, and the results are obtained as follows; 1) The characteristics in responses to mental health scale showed that obsessive-compulsive scale score was the highest, followed by interpersonal-sensitivity, depression, hostility, and anxiety. The subject group of the students showed higher scores in nine symptom dimensions except somatization than other normal group. 2) Girl-students showed higher scores than boy-students in somatization, depression, and anxiety, whereas the opposite was true in hostility. 3) Third-year students got high scores, in somatization, anxiety and Depression. 4) Parental marriage state of the reponde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nine symptom dimensions of mental health. Scores of the students with parents was the lowest, followed by those of students with only mother, only father and the rest(no parents, divorced, sepaerated, step-parent) in increasing order. 5) Smoking students showed high score in obsessive-compulsive, depression, hostility, paranoid ideation, and psychoticism. Especially in hostility, they got much higher score. 6) Students with poor record at school got higher scores in every symptom dimension than those with good record at school, especially in obsessive-compulsive and depression scale. 7) Parents' attitude toward student showed significant effect on every scale. Students under over-expectation or indifference from parents were in bad mental health state. 8) Students who have advisor proved to be in better mental health state than those who never consult their personal problems with others. 9) He who has family history got higher scores in some scales. 10) Respondents who looked upon what they have learned in high school as being rather an obstacle to sound social life got high scores in all the symptom dimensions and next came those of the students who answered that there were a lot of unnecessary things in their learning. 11) Those for whom it would not quite necessary to enter college if there were little formal schooling discrimination in society got high scores in obsessive-compulsive, interpersonal sensitivity, depression, hostility, and in psychoticism, especially higher in obsessive-compulsive scale. 12) Mental health state of the students who are influenced by the social surroundings, mass media, and the home environments showed high score in 8 symptom dimensions. 13) Abnormal response frequency of this sample is as follows; 24.0% of boys, 23.8% of girls, 22.5% of the first-year students, and 26.9% of the third-year studen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grades. 14) The factors of distinctive correlation between the dimensions of SCL-90 and 16 factors were the father's negative attitude and depression, negative responses on teaching contents and anxiety, and smoking and hostility. In conclusion, mental health state of liberal highschool students on the whole showed worse than other normal groups. It had close terms with relation with their parents, schoolwork, smoking, teaching contents, the social surrounding, mass media, and the home environments. Thus I believe there need not only mental health education of students, training of teachers, counceling of parents, but also changes in teaching contents, and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system and the social surroundings under the national support.

  • PDF

소아천식에 대한 임상적 고찰 (A Clinical study on Pediatric Bronchial Asthma)

  • 김윤희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33-148
    • /
    • 2002
  • Objective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ore effective oriental medical treatment for Pediatric Bronchial Asthma Method : Aroma therapy and Herbal medicine was given to 28 pediatric bronchial asthma patients(19 males and 9 females) for about 5months from the First, August 1999 The Fifth, January 2002. Results: 1. Demographic factor : The sample consisted of 28 persons among whom 19 were male, 9 were female. The age ranges from 1 year old to 6 year old. Less than 2 year old were 4 and 2-6 year old were 20. 2.Residence : Apartment and villar dwellers were 19(67.9%), Residential street divellers were 9(32.1%). 3.Age distribution at on set : 6(21.4%) fell ill befor 1 year old and 22(78.6%) fell ill after 1 year old 4. The period of illness : 9(32.2%) suffered during 1-3 year and 6(21.4%) suffered during 6 mouth-1year and 6(21.4%) suffered during more than 3 year. 5. Frequency of the symptoms : The symptoms appeared 2-3 times a year in the case of 16(57.2%), one time a year in the case of 1, 4 times a year in the case of 6(21.4%). 6. Concomitance symptoms : All experienced coughing sign, wheezing, 23(82.1%) experienced epistaxis, nose dripping, 13(46.4%) got fever, anorexia. 7. Past history of illness : 16(57.1%) got brochiolitis, brochitis, 12(42.9%) suffered pneumonia, 9(32.1%) had allergic rhinitis. 2 had allergic rhinitis, sinusitis, atopic dermatitis, bronchial asthma, 3 got atopic dermatitis, bronchial asthma and 7 had allergic rhinitis, sinusitis, bronchial asthma, 8. Family disease : In the case of family disease, 21(75%) had allergic dermatitis, 9(42.9%) had bronchial asthma, 8(38.1%) had allergic dermatitis. 9. The symptoms became very severe in the change of season in the case of 13(46.4%) and in the case of 11(39.3%), the change of season made no difference 10. Associated caused of induction symtoms : 28(100%) got sick by common cold, infectional disease, 8(28.6%) got sick by cold food, cold air 11.The kind of therapy : 15(53.6%) got oriental therapy after occidental therapy, 11(39.3%) took only oriental therapy. 12. Improvement degree of each symptoms : In the case of cough and wheeze that are the main symptoms of bronchial asthma, 78.6% and 64.3% of the patients replied < improvement > and in the case of dyspnea, tachypnea 41.7% of the patients replied . In other symptoms, all replied 13. Degree of satisfaction : 19(67.9%) replied , 2(7.1%) replied . Conclusion : Herbal medicine and aroma therapy proved to be a very effective oriental medical treatment for pediatric bronchial asthma.

  • PDF

심폐바이패스를 이용한 성인 심장수술 시 환자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Factors Affecting the Postoperative Outcome in Adult Cardiac Surgery with Cardiopulmonary Bypass)

  • 이성철;김윤태;문성민;현경애;김대식;최석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1호
    • /
    • pp.1493-1498
    • /
    • 2008
  • 본 연구는 심폐바이패스를 이용한 성인 심장수술 시 수술 후 환자의 회복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규명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성인 심장수술 환자 32명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하였다. 심장수술 시 밸혈구 수, GOT, troponin-I (cTNI), interleukin-6 (IL-6), endothelin-1 (ET-1), D-dimer, neuron-specific enolase (NSE) 등의 혈장농도는 유의하게 증가한데 비해 혈소판 수는 감소하였다. 수술 직후 GOT 및 D-dimer 농도와 24 시간 및 총출혈량, 기계호흡보조 시간, 중환자실 치료기간, 재원일수와 각각 양의 상관성이 있었다. 혈소판 수와 기계호흡보조 시간, 중환자실 치료기간, 재원일수와 각각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Creatinine 농도와 기계호흡보조 시간, 중환자실 치료기간 사이에 양의 상관성이 있었다. NSE 농도와 24 시간 출혈량 사이에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cTNI 농도와 재원일수 간에 양의 상관성이 있었다. 대동맥 교차차단 및 총심폐바이패스 실시 시간과 24 시간 및 총 출혈량, 재원일수 사이에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들은 심폐바이패스를 적용한 성인 심장수술 시 수술 후 환자의 결과와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변수는 수술 종료 직후(CPB-off)의 GOT, BUN, creatinine, D-dimer 등의 농도와 혈소판 수임을 시사하고 있다.

랫드 간세포 일차배양에서 셀레늄이 카드뮴에 의해 유도된 독성 및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enium on Cadmium-Induced Toxicity and Lipid Peroxidation in Rat Hepatocyte Primary Culture)

  • 임태진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94-99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랫드 간세포 일차배양에서 카드뮴에 의해 유발된 세포독성 및 지질과산화에 대한 셀레늄의 항산화 및 간보호 효과를 조사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2개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1에서는, 1, 10, 50, 100 및 $50\;{\mu}M$의 다양한 농도의 카드뮴으로 6시간 동안 간세포를 일차 배양하였다. 간세포 생존율과 지질과산화는 각각 MTT 방법과 TBARS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항산화 효과와 간보호 효과는 각각 GOT와 GSH-Px 활성을 측정함으로써 결정하였다. 카드뮴은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생존율을 감소시켰으며 지질과산화는 증가시켰다. 세포 생존율과 지질과산화 간에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r=-0.943, p<0.01)가 관찰되었다. 카드뮴은 $50\;{\mu}M$ 농도에서 GOT의 활성을 증가시켰으나 GSH-Px의 활성은 감소시켰다. 실험 2에서는 셀레늄이 카드뮴에 의해 유발된 독성 및 지질과산화에 대한 효과를 연구하기 위해 $100\;{\mu}M$의 카드뮴과 0.01, 0.1 및 1 ppm의 다양한 농도의 셀레늄으로 6시간 동안 간세포 일차 배양하였다. 세포 생존율과 GSH-Px의 활성은 1 ppm의 셀레늄에 의해 증가되었다. 반면에, 지질과산화와 GOT의 활성은 0.1 ppm의 셀레늄에 의해 감소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셀레늄이 카드뮴에 대한 항산화 및 보호 효과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

일부 대학생의 흡연실태와 흡연신념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of the State of Smoking to Smoking Beliefs among College Students)

  • 이현옥;송지연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69-377
    • /
    • 2013
  • 본 연구는 일부 대학생의 흡연실태와 흡연실태에 따른 흡연신념을 파악하여 대학생의 건강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흡연 예방 및 금연 프로그램 개발과 활용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2012년 5월 1일부터 6월 1일까지 전라북도에 위치하고 있는 10개 대학교 학생 중 1,696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흡연실태는 흡연경험이 있는 학생은 23.7%였고, 처음 흡연한 시기는 고등학교가 42.1%로 가장 높았고, 흡연기간은 4년 이상이 46.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흡연신념은 한 달 용돈이 30만원~39만원과, 40만원 이상에서 1.91점으로 가장 높았고(p<0.001), 흡연과 구강건강 관련성은 '전혀 그렇지 않다'가 2.00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01). 3. 흡연실태에 따른 흡연신념은 처음 흡연한 시기에서 초등학교가 2.66점으로 가장 높았고, 친한 친구 5명 중 흡연하는 친구는 4명이 2.60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4. 흡연의존도와 금연의도에 따른 흡연신념은 흡연의존도에서 '매우 그렇다'가 2.75점으로 가장 높았고(p<0.001), 금연의도는 '금연하지 않음'이 2.68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