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OSEONG-GUN COUNTY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9초

Analysis of vivax malaria cases in Gangwon-do (Province), Korea in the year 2000

  • Lee, Kyu-Jae;Kim, Chun-Bae;Choi, Byong-Ju;Park, Kee-Ho;Park, Jong-Ku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9권4호
    • /
    • pp.301-306
    • /
    • 2001
  • A total of 827 malaria cases were reported in the Gangwon-do in the year 2000. There were 18.2 cases per 100,000 inhabitants. There were 283 cases among civilians and 544 cases among the military. 90.6% of cases were reported in Cheorwon-(531), Hwacheon- (152), and Goseong- (66) gun (county), which bordered the demilitarized zone (DMZ). A distinct feature pertaining to the malaria cases in Gangwon-do is that the number of cases has increased about two times over the last year. The mean time from the beginning of symptoms to malaria diagnosis was five days. Control systems for malaria by public health organizations and military organizations are well maintained , but were not able to reduce the malaria prevalence rate. The cause for the increase in pattern of the malaria cases in Gangwon-do may be caused by the spreading of prevalent areas of malaria to the east. Continuous endeavor such as early detection of cases, early treatment, education on clinical symptoms and prevention of mosquito bites with repellent and mosquito nets will help to reduce the infection rate of malaria in Gangwon-do.

  • PDF

대형 산불이 맹금류 서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orest Fire on the Raptor Habitation)

  • 한성우;이준우;백운기;이한수;김인규;홍길표;강정훈;백인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85-392
    • /
    • 2005
  • 본 연구는 대형 산불이 발생한 강원도 고성군 산불피해지 역에 서식하는 맹금류의 현황을 통해 산불피해지 역이 맹금류의 서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고성군 산불피해지역에서 관찰된 맹금류는 총2목 3과 8종 최대 개체수 합계 28개체가 확인되었다. 최우점종은 새홀리기였으며, 말똥가리, 황조롱이, 붉은배새매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2002년 5월에 가장 많은 종과 개체수가 관찰되었으며, 부분적 미피해지역과 미피해지역에서 5종으로 가장 많은 맹금류가 관찰되었다. 이 한 맹금류들의 종과 개체수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산불피해지 역에 맹금류들이 둥지를 만들 수 있는 조건을 조성해준다면, 산불피해지 역에 서식하는 맹금류의 종과 개체수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판단된다.

강원도형 치유관광의 과제 및 웰니스 상품화 방안 (The Commercialization Ways of Wellness Tourism and the Problems of Healing Tourism in Gangwon Province Model)

  • 김상윤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317-323
    • /
    • 2019
  • 최근 웰니스 문화 및 치유관광에 대한 사회적 수요가 증대되고 있는 가운데 문헌조사 및 사례연구를 통해 치유관광 목적지로서 강원도의 치유관광 여건을 검토하고, 강원도형 치유관광의 발전 과제 및 웰니스 관점의 상품화 방안을 고찰하였다. 조사 결과, 강원 영동권은 자연적 자원을 기반으로 한 우수한 치유기반 여건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나, 지자체 간에 치유관광사업의 개발 컨텐츠나 사업 아이템이 중복되거나 계획단계에 머무르고 있어 중복투자를 방지하고 서로 연계하여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유기적인 협력이 요구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주 사례지로 검토한 고성군의 경우, 실버치유관광으로서의 잠재력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지역의 특화된 자원과 연계한 테라피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치유관광 대상별 웰니스 상품화 전략을 모색하고 강원 영동권의 지역별 강점을 효과적으로 연계 특화시켜 나간다면 실버 및 건강지향형 관광객을 타겟으로 하는 웰니스 관광상품 개발 운영의 지역적 성공 사례로 자리매김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