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M-CSF receptor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초

가와사키병 환아의 혈장내 G-CSF와 GM-CSF 농도 및 과립구에서의 이들 수용체의 발현 변화 (Plasma G-CSF and GM-CSF Concentration and Amount of Their Receptors on the Granulocyte in Kawasaki Disease)

  • 유영경;이기범;김현희;김소영;김유정;이원배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4호
    • /
    • pp.376-381
    • /
    • 2003
  • 목 적 : G-CSF와 GM-CSF는 과립구생성에 중요한 사이토카인으로서, 각각의 수용체(이하 G-CSFr과 GM-CSFr)에 결합하여 기능을 하게 되며, 이들 수용체들은 미성숙 골수 세포로부터 성숙된 말초 과립구까지 발현된다. 일반적으로 혈중 G-CSF와 GM-CSF의 농도 및 이들 수용체의 발현은 과립구가 증가하는 감염질환에서 변화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가와사키병에서 과립구 수 증가와 관련된 변화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된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가와사키병 환아와 정상아의 혈중 G-CSF와 GM-CSF의 농도를 측정하고 말초혈액의 과립구 표면에 존재하는 이들의 수용체를 정량분석 하였으며, 또한 수용체를 충분히 포화시킬 수 있는 과량의 CSF에 수용체를 노출시켰을 때 결합하지 않고 남은 수용체 발현양에는 어떤 변화가 있는 지를 분석하여 가와사키병 환자의 과립구 수 증가와 G-CSF와 GM-CSF 및 이들 수용체 변화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정상 대조군으로서 비감염성질환으로 입원한 같은 연령대의 아동 중 말초혈액 백혈구 수 및 중성구 수가 정상인 아동 13명과 면역글로불린을 쓰기 전 급성기 초기의 가와사키병 환아 14명, 총 27명의 혈중 G-CSF와 GM-CSF의 농도를 측정하였고 세포표면 G-CSFr와 GM-CSFr의 발현양은 각각 항 G-CSF 수용체 단클론항체, 항 GM-CSF 수용체 단클론항체와 혼합 후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였으며, 활동성 G-CSFr, GM-CSFr의 양적변화를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 과 : 가와사키병 환아의 총 백혈구 수는 정상대조군과 차이가 없었으나 중성구 수, 단핵구 수는 증가하였고 총 백혈구수는 중성구 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다. 혈중 G-CSF의 농도는 정상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감소되어 있었고(P=0.133) 혈중 GM-CSF의 농도는 정상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었다(P=0.027). 가와사키병 환아의 중성구의 G-CSFr, GM-CSFr의 발현양은 정상대조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721, P=0.912). 수용체를 포화시키기에 충분한 과량의 CSF와 배양시킨 후 포화농도에도 결합하지 않은 수용체의 양을 측정하면 남은 수용체수는 감소하게 되는데, 가와사키병 환아에서 과량의 G-CSF에 배양한 후 감소된 중성구 G-CSFr의 발현양은 정상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P=0.554), 혈중 G-CSF 농도와는 무관하였으며(P>0.05) 혈중 GM-CSF 농도와 반비례하였다(정상아; r=-0.589, P=0.044, 가와사키병 환아; r=-0.946, P=0.004). 가와사키병 환아와 정상대조군에서 수용체를 포화시키기에 충분한 과량의 GM-CSF에 배양한 후 중성구의 GM-CSFr의 발현양을 분석한 결과는 발현이 증가된 소견을 보여(P=0.255) 항 GM-CSF항체가 항 G-CSF 항체와는 달리 GM-CSF와 그 수용체의 결합에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증가된 중성구의 GM-CSFr의 양은 정상아에서는 총 백혈구 수와 비례하였으나(r=0.788, P=0.035), 가와사키병 환아에서는 상관관계가 없었다(P=0.644). 결 론 : 가와사키병 환아의 백혈구 수 증가의 원인은 중성구 수의 증가로 보이고 G-CSF, GM-CSF의 농도는 감소되어 있었으며 G-CSFr, GM-CSFr 발현양 및 활동성 G-CSFr, GM-CSFr 발현양은 정상아와 유의한 차이가 없어서 이는 중성구 수 증가가 G-CSF, GM-CSF의 증가나 그 수용체 수 변동에 의한 것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고 GM-CSF 농도의 감소가 활동성이 있는 G-CSFr의 증가를 일으켜 가와사키병 급성기 총 백혈구 수 증가의 원인인 중성구 수 증가를 유도했을 가능성을 나타낸다.

Mouse Granulocyte-mar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Enhances Viability of Porcine Embryos in Defined Culture Conditions

  • S. H Jun;X. S Cui;Kim, N. H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3년도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초록집
    • /
    • pp.71-71
    • /
    • 2003
  • Granulocyte-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GM-CSF) is a multifunctional cytokine that has been implicated in the regulation of pre-implantation embryo development across several speci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mouse granulocyte-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mGM-CSF) on development of porcine parthenotes and nuclear transferred embryos, and on their expression of implantation-related genes. In the presence of bovine serum albumin, mGM-CSF did not increase the percentage of oocytes that developed to the blastocyst stage and at day 7 did not increase oocyte cell number. Addition of 10 mM GM-CSF to protein-free culture medium significantly increased the compaction and blastocoel formation of 1- to 2-cell parthenotes and cloned embryos developing in vitro. However, cell number was not increased when they were cultured in the presence of GM-CSF. Semi-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s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revealed that mGM-CSF enhances mRNA expression of the leukemia inhibitory factor receptor, but does not influence interleukin-6 or sodium/glucose co-transporter protein gene expression in blastocyst stage parthenot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mGM-CSF may enhance viability of porcine embryos developing in vitro in a defined culture medium.

  • PDF

백혈구 증가증 환아의 혈장내 G-CSF와 GM-CSF의 농도 및 과립구에서의 이들 수용체의 발현 (Plasma G-CSF and GM-CSF Concentrations and Expression of their Receptors on the Granulocyte in Children with Leukocytosis)

  • 최원석;유경환;김유정;김소영;김현희;이원배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3호
    • /
    • pp.271-276
    • /
    • 2003
  • 목 적 : G-CSF와 GM-CSF는 과립구생성에 중요한 사이토카인으로서, 각각의 수용체 G-CSFr과 GM-CSFr에 결합하여 기능을 하게 되며, 이들 수용체들은 미성숙 골수 세포로부터 성숙 된 말초 과립구까지 발현된다. 일반적으로 혈중 G-CSF와 GM-CSF의 농도 및 이들 수용체의 발현은 과립구가 증가하는 감염질환에서 변화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백혈구 증가증에서 과립구수 증가와 관련된 변화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된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백혈구 증가증 환아와 정상아의 혈중 G-CSF와 GM-CSF의 농도를 측정하고 말초혈액의 과립구 표면에 존재하는 이들의 수용체를 정량분석하였으며, 활동성이 있는 수용체 발현 양에는 어떤 변화가 있는 지를 분석하여 백혈구 증가증 환아의 과립구 수 증가와 G-CSF와 GM-CSF 및 이들 수용체 변화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정상 대조군으로서 비감염성 질환으로 입원한 같은 연령대의 아동 중 말초혈액 백혈구 수 및 중성구 수가 정상인 아동 13명과 급성기 초기의 백혈구 증가증 환아 14명, 총 27명의 혈중 G-CSF와 GM-CSF의 농도를 측정하였고 세포표면 G-CSFr와 GM-CSFr의 발현양은 각각 항 G-CSF 수용체 단 클론항체, 항 GM-CSF 수용체 단클론항체와 혼합 후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였으며, 활동성 G-CSFr, GM-CSFr의 양적변화를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 과 : 백혈구 증가증 환아의 총 백혈구 수는 $24,100{\pm}6960/{\mu}L$로 정상 대조군 $8,680{\pm}378/{\mu}L$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 중성구 수는 백혈구 증가증 환아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으나($20,800{\pm}2120/{\mu}L$ vs $3,360{\pm}2,120/{\mu}L$) 단구수는 차이가 없었다. 혈중 G-CSF의 농도 $164.0{\pm}187.5pg/mL$는 정상 대조군 $71.9{\pm}94.1pg/mL$과 감소된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217) 혈중 GM-CSF의 농도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968). 백혈구 증가증 환아의 중성구의 G-CSFr 발현양 $963.6{\pm}575.7$은 정상대조군 $1711.1{\pm}452.6$에 비해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P=0.012), 백혈구 증가증 환아의 중성구의 GM-CSFr의 발현양 $471.7{\pm}217.0$은 정상 대조군의 $854.8{\pm}383.0$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220). 항 G-CSFr항체는 수용체가 G-CSF와 결합하고 나면 수용체에 결합하지 못하는 epitope에 대한 항체로 보여지며, 수용체를 포화시키기에 충분한 과량의 CSF와 배양시킨 후 포화농도에도 결합하지 않은 수용체의 양을 측정하면 남은 수용체 즉, 활동성 수용체 수는 감소하게 되는데, 백혈구 증가증 환아에서 과량의 G-CSF에 배양한 후 감소된 중성구 G-CSFr의 발현양은 $407.8{\pm}405.1$로 정상 대조군의 $1,012.2{\pm}488.5$에 비해 유의한 감소를 보였고(P=0.050), 혈중 G-CSF 농도 및 혈중 GM-CSF 농도와 무관하였다(P=0.735, P=0.087). 백혈구 증가증 환아와 정상대조군에서 수용체를 포화시키기에 충분한 과량의 GM-CSF에 배양한 후 중성구의 GM-CSFr의 발현양을 분석한 결과는 발현이 증가된 소견을 보였다. 증가된 중성구의 GM-CSFr의 발현 양은 정상아 및 백혈구 증가증 환아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828). 결 론 : 백혈구 증가증에서는 중성구 수 증가에 의하여 총 백혈구 수가 증가되고 혈중 G-CSF의 농도는 중성구 증가의 원인으로 생각되며 G-CSFr과 결합하여 백혈구 증가증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인다. GM-CSF 농도 및 GM-CSFr은 백혈구 증가에 영향을 주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Inhibitory mechanism of Korean Red Ginseng on GM-CSF expression in UVB-irradiated keratinocytes

  • Chung, Ira;Lee, Jieun;Park, Young Sun;Lim, Yeji;Chang, Do Hyeon;Park, Jongil;Hwang, Jae Sung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9권4호
    • /
    • pp.322-330
    • /
    • 2015
  • Background: UV-irradiated keratinocytes secrete various proinflammatory cytokines. UV-induced skin damage is mediated by growth factors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granulocyte 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 (GM-CSF). In a previous study, we found that the saponin of Korean Red Ginseng (SKRG) decreased the expression of GM-CSF in UVB-irradiated SP-1 keratinocytes.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find the inhibitory mechanism of SKRG on UVB-induced GM-CSF expression in SP-1 keratinocytes. Methods: We investigated the inhibitory mechanism of SKRG and ginsenosides from Panax ginseng on UVB-induced GM-CSF expression in SP-1 keratinocytes. Results: Treatment with SKRG decreased the expression of GM-CSF mRNA and protein induced by irradiation of UVB in SP-1 keratinocytes. The phosphorylation of ERK was induced by UVB at 10 min, and decreased with SKRG treatment in SP-1 keratinocytes. In addition, treatment with SKRG inhibited the UVB-induced phosphorylation of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which is known to be an upstream signal of ERK. From these results, we found that the inhibition of GM-CSF expression by SKRG was derived from the decreased phosphorylation of EGFR. To identify the specific compound composing SKRG, we tested fifteen kinds of ginsenosides. Among these compounds, ginsenoside-Rh3 decreased the expression of GM-CSF protein and mRNA in SP-1 keratinocytes. Conclusion: Taken together, we found that treatment with SKRG decreased the phosphorylation of EGFR and ERK in UVB-irradiated SP-1 keratinocytes and subsequently inhibited the expression of GM-CSF. Furthermore, we identified ginsenoside-Rh3 as the active saponin in Korean Red Ginseng.

GM-CSF가 돼지 처녀 생식 배아 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M-CSF on Porcine Parthenotes Development)

  • 이재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365-370
    • /
    • 2015
  • GM-CSF는 중요한 조혈모세포 성장인자로서 면역요법에서 중요한 기능을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GM-CSF가 돼지 처녀생식배아의 발달과 세포 수 및 착상관련 유전자의 발현에 관한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돼지 처녀 활성화 배아는 GM-CSF가 5, 10, 20 ng/ml 존재 하에서 7일 동안 배양하여 배 반포의 형성율과 전 세포 수 그리고 유전자 발현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단백질이 없는 배양액에 20 ng/ml의 GM-CSF를 첨가 하였을 때 배 반포의 형성 율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배반포의 세포 수 또한 GM-CSF 를 첨가한 배양액에서 증가 하였다. GM-CSF는 처녀생식 배 반포에서 interleukin-6의 mRNA 발현을 증가 시켰으나, LIF 수용체 mRNA 발현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real time RT-PCR로 밝혀내었다. 이 결과로 GM-CSF 성분이 확인된 배양액에서 돼지 배아의 체외 발달 과 생존력을 강화 시켰음을 시사하고 있다.

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 (TNFR)-associated factor 2 (TRAF2) is not Involved in GM-CSF mRNA Induction and TNF-Mediated Cytotoxicity

  • Kim, Jung-Hyun;Cha, Myung-Hoon;Lee, Tae-Kon;Seung, Hyo-Jun;Park, Choon-Sik;Chung, Il-Yup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37권2호
    • /
    • pp.111-116
    • /
    • 1999
  • 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 (TNFR)-associated factor 2 (TRAF2) is known to act as a signal transducer that connects TNFR2 to its downstream effector functions such as proliferation of thymocytes, regulation of gene expression, and cell death. TRAF2 consists of largely two domains, the N-terminal half that contains a signal-emanating region and the C-terminal half that is responsible for binding to the intracellular region of TNFR2.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possible roles of TRAF2 in granulocyte-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GM-CSF) gene expression and cell death. A truncated mutant of TRAF2 ( 2-263) that contains only a C-terminal half was generated, and transiently transfected to the A549 cell, a human lung cancer cell line, and L929 cell, a murine TNF-sensitive cell line. GM-CSF mRNA was induced in untransfected A540 cells both in dose- and time-dependent manner upon the exposure of TNF. However, neither the full length TRAF2 nor the mutant altered GM-CSF mRNA production regardless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TNF. Furthermore, neither TRAF2 versions significantly changed the cytotoxic effect of TNF on L929 cells. These data suggest that TRAF2 may not be involved in the signal transduction pathway for GM-CSF gene induction and cell death mediated by TNF.

  • PDF

The Effect of Granulocyte-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 (GM-CSF) on The Expression of IL-1 System mRNA in Mouse Embryos

  • Kim, D. H.;S. S. Ko;Lee, H. C.;Lee, H. H.;Kim, S. S.;Lee, H. J.;B. C. Yang;Park, S. B.;W. K. Chang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3년도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초록집
    • /
    • pp.52-52
    • /
    • 2003
  • Granulocyte-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 (GM-CSF) is synthesized in the female reproductive tract and has been shown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human and murine embryo development and implantation. However, the mechanism of GM-CSF on the embryo development is unknown. Recent studies suggested that GM-CSF may be increase the expression of implantation relented genes, such as interleukin-1 (IL-1) system. Our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interleukin-1$\alpha$ (IL-1$\alpha$), interleukin-1$\beta$ (IL-1$\beta$) and interleukin-1 receptor antagonist (IL-lra) mRNA between the GM-CSF supplemented group and control group in mouse embryos. Mouse 2-cell embryos were cultured in P-1 medium supplemented with or without mouse GM-CSF (10 ng/ml). The number of total and apoptotic cell in blastocyst were assessed by TUNEL. And then, the expression of IL-1$\alpha$, IL-1$\beta$ and IL-1ra mRNA in blastocyst were examined by RT-PCR.

  • PDF

In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by 29-kDa FN-f via cGAS/STING pathway

  • Hwang, Hyun Sook;Lee, Mi Hyun;Choi, Min Ha;Kim, Hyun Ah
    • BMB Reports
    • /
    • 제52권5호
    • /
    • pp.336-341
    • /
    • 2019
  • The cGAS-STING pathway plays an important role in pathogen-induced activation of the innate immune response. The 29-kDa amino-terminal fibronectin fragment (29-kDa FN-f) found predominantly in the synovial fluid of osteoarthritis (OA) patients increases the expression of catabolic factors via the toll-like receptor-2 (TLR-2) signaling pathwa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29-kDa FN-f induces inflammatory responses via the cyclic GMP-AMP synthase (cGAS)/stimulator of interferon gene (STING) pathway in human primary chondrocytes. The levels of cGAS and STING were elevated in OA cartilage compared with normal cartilage. Long-term treatment of chondrocytes with 29-kDa FN-f activated the cGAS/STING pathway together with the increased level of gamma-H2AX, a marker of DNA breaks. In addition, the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cluding granulocyte-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GM-CSF/CSF-2), granulocyte colony-stimulating factor (G-CSF/CSF-3), and type I interferon ($IFN-{\alpha}$), was increased more than 100-fold in 29-kDa FN-f-treated chondrocytes. However, knockdown of cGAS and STING suppressed 29-kDa FN-f-induced expression of GM-CSF, G-CSF, and $IFN-{\alpha}$ together with the decreased activation of TANK-binding kinase 1 (TBK1), interferon regulatory factor 3 (IRF3), and inhibitor protein ${\kappa}B{\alpha}$ ($I{\kappa}B{\alpha}$). Furthermore, NOD2 or TLR-2 knockdown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GM-CSF, G-CSF, and $IFN-{\alpha}$ as well as decreased the activation of the cGAS/STING pathway in 29-kDa FN-f-treated chondrocytes. These data demonstrate that the cGAS/STING/TBK1/IRF3 pathway plays a critical role in 29-kDa FN-f-induced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CCR5-mediated Recruitment of NK Cells to the Kidney Is a Critical Step for Host Defense to Systemic Candida albicans Infection

  • Nu Z. N. Nguyen;Vuvi G. Tran;Saerom Lee;Minji Kim;Sang W. Kang;Juyang Kim;Hye J. Kim;Jong S. Lee;Hong R. Cho;Byungsuk Kwon
    • IMMUNE NETWORK
    • /
    • 제20권6호
    • /
    • pp.49.1-49.15
    • /
    • 2020
  • C-C chemokine receptor type 5 (CCR5) regulates the trafficking of various immune cells to sites of infection. In this study, we showed that expression of CCR5 and its ligands was rapidly increased in the kidney after systemic Candida albicans infection, and infected CCR5-/- mice exhibited increased mortality and morbidity, indicating that CCR5 contributes to an effective defense mechanism against systemic C. albicans infection. The susceptibility of CCR5-/- mice to C. albicans infection was due to impaired fungal clearance, which in turn resulted in exacerbated renal inflammation and damage. CCR5-mediated recruitment of NK cells to the kidney in response to C. albicans infection was necessary for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neutrophils, the main fungicidal effector cells. Mechanistically, C. albicans induced expression of IL-23 by CD11c+ dendritic cells (DCs). IL-23 in turn augmented the fungicidal activity of neutrophils through GM-CSF production by NK cells. As GM-CSF potentiated production of IL-23 in response to C. albicans, a positive feedback loop formed between NK cells and DCs seemed to function as an amplification point for host defense. Taken together, our results suggest that CCR5-mediated recruitment of NK cells to the site of fungal infection is an important step that underlies innate resistance to systemic C. albicans infection.

알레르기 림프구에서 집먼지진드기 알러젠의 PAR2/PKCδ/p38 MAPK 경로를 통한 사이토카인 증가는 호중구의 세포고사를 억제시킨다 (House Dust Mite Allergen Inhibits Constitutive Neutrophil Apoptosis by Cytokine Secretion via PAR2/PKCδ/p38 MAPK Pathway in Allergic Lymphocytes)

  • 이나래;이지숙;김인식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188-19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집먼지 진드기 추출물은 호중구에 단독으로 작용하는 것보다, 림프구와 호중구의 공동배양에서 호중구의 세포고사를 더 억제시켰다. 집먼지 진드기는 알레르기 질환의 림프구에서 IL-6, IL-8, MCP-1, GM-CSF의 분비를 증가시켰다. 집먼지 진드기에 의해 증가된 사이토카인은 protein kinase C ${\delta}$의 억제제인 rottlerin과 p38 MAPK의 억제제인 SB202190에 의해서 감소하였다. 집먼지 진드기에 의해 활성화된 p38 MAPK은 protease-activated receptor (PAR2)의 억제제, rottlerin, SB202190에 의해서 억제되었다. Serine protease 억제제인 aprotinin과 cysteine protease 억제제인 E64은 림프구의 사이토카인의 증가와 관련이 없었다. 또한 집먼지 진드기에 의해 증가된 사이토카인의 변화는 천식과 알레르기 비염 환자에서 차이가 없었다. 림프구에서 집먼지진드기에 의해서 분비되는 분자들은 호중구의 유주운동을 억제시켰다. 본 연구를 통하여 집먼지진드기에 의해 유발되는 알레르기 질환의 병인기전을 규명하는데 유용한 결과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