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S standard

검색결과 359건 처리시간 0.022초

DGPS 음향 측심기를 이용한 농업용 저수지의 퇴적량 산정 (Calculation of Sediment Volume of the Agriculture Reservoir Using DGPS Echo-Sounder)

  • 박승기;정재훈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3권3호
    • /
    • pp.297-307
    • /
    • 2005
  • 본 연구는 예당저수지의 합리적인 유지와 준설사업의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퇴적량 산정을 위한 내용적 측량을 DGPS 음향 측심기를 이용하여 2004년 11월 $25\~30$일간 수행하였다. 인공위성으로부터 위도와 경도신호는 1 초 간격으로 UTM 좌표 계로 수신하였다. 수심 값은 0.2초 간격으로 MIDAS Surveyor에 있는 Eecho sounder sensor 로 측정하였다 Arc Info GI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우리나라 좌표계인 TM좌표로 변환하였다. 등수심선도 작성은 Sufer, Arc View와 Auto CAD Program을 사용하였다. 저수지 용량은 평균등고선면적법으로 산정하였다. 예당저수지의 유효저수량을 결정하기 위한 이번 조사의 결과는 4,601.6ha-m로 기왕의 유효저수량보다 약 5.425ha-m정도 퇴적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 PDF

매핑 규칙을 활용한 GML 3.0 엔코딩 시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a GML 3.0 Encoding System Using Mapping Rules)

  • 이용수;김동오;손훈수;한기준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27-38
    • /
    • 2003
  • 최근 여러 분야에서 지리공간 정보의 활용이 증가함에 따라 기존에 각자 구축해 두었던 각종 지리 공간 정보를 개인.조직 나아가 사회 국가 간에 자유롭게 유통 및 활용하려는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이를 위해 OGC에서는 다양한 분야의 지리공간 정보를 손쉽게 상호 운용하기 위해 이질적인 환경의 지리공간 정보를 XML로 엔코딩하여 다양한 분야에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GML 명세를 제시하였으며, ISO/TC 211에서도 GML을 채택하여 국제 표준으로 추진 중에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지리공간 정보 상호 운용 방법인 GML 3.0을 분석하고, 엔코딩 과정을 좀더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바꾸기 위해 엔코딩 방법을 정의하는 매핑 규칙을 작성하여 활용하였다. 마지막으로 공간 데이타베이스에 구축된 지리공간 정보를 GML 3.0 문서로 엔코딩 할 수 있도록 매핑 규칙을 활용한 GML 3.0 엔코딩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엔코딩 시스템을 테스트하기 위해 공간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으로 ZEUS를 사용하였다.

  • PDF

수질오염총량 단위유역의 유량조건별 수체 손상 평가를 위한 부하지속곡선 적용성 연구 (Application Load Duration Curve for Evaluation of Impaired Watershed at TMDL Unit Watershed in Korea)

  • 황하선;윤춘경;김지태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903-909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valuated on the applicability of Load Duration Curve Method (LDC Method) using HSPF watershed model and sampling data for efficient TMDLs in Korea. The LDC Method was used for assessment pollutant characteristics in watershed and water quality variation in each water flow level. Load Duration Curve is applied for judge the level of impaired water-body and can be estimated the impaired level by pollutant, such as BOD, T-N, and T-P in this study depending on variation of stream flow. As a result, BOD, T-P was usually exceed the standard value at low flow and dry hydrologic period. Improvement of effluent concentration from WWTP and riparian buffer protection zone are effective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T-N showed the worst condition at mid-range hydrologic period and moist hydrologic period. Therefore, soil erosion control program and BMPs for non-point source pollution control is effective for recovery the water quality, which can be useful method for management of water quality in the plan of recovery water quality spontaneously. Applicability of LDC Method was evaluated in the Nakbon A watershed. However, we need to consider more detailed and accumulated data set such as accurate GIS data and detail pollution data, and WWTP discharge water quality data for accurate evaluation of watershed. Overall, The LDC Method is adequate for evaluation of watersheds characteristics, and its application is recommended for watershed management and TMDL Implementation.

체계적인 공간정보표준 관리를 위한 정책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Policy Improvement for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the National Geospatial Standards)

  • 황병주;황정래;김병선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6권2호
    • /
    • pp.225-237
    • /
    • 2016
  • 최근 들어 공간정보를 비롯하여 다양한 정보와 관련된 정책 동향은 개방과 공유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 동향에 맞춰서 개별 시스템에서 관리하는 공간정보를 체계적으로 공유하기 위해서는 공간정보표준을 반드시 준수해야 한다. 공간정보표준을 준수할 경우, 정보에 대한 접근성과 가독성, 정보처리 및 시스템 간의 상호운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표준의 이점에도 불구하고, 공간정보표준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공간정보사업자들은 표준 적용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표준 제정 현황을 조사하고, 국내 공간정보표준이 갖는 표준의 중복성, 버전 간 불일치, 유사 표준 제정 등의 문제점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국가공간정보체계에서 공간정보표준의 관리 운영, 조직 구성, 법제도 개선 등을 위한 기초 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stallation and Test Run of Comprehensive Analysis System for SF6 in Power Equipment

  • Lee, Jeong Eun;Kim, Kwang Sin;Kim, Ah Reum;Park, Seoksoon;Kim, Kyeongsook
    • KEPCO Journal on Electric Power and Energy
    • /
    • 제3권1호
    • /
    • pp.41-47
    • /
    • 2017
  • After $SF_6$, which is being used in power equipment as an insulating material, is classified as one of the 6 major greenhouse gases, the maintenance and the refinement of used $SF_6$ started to get attention. In regard to this, KEPCO Research Institute (KEPRI) is developing $SF_6$ recovery and refinement technology starting with establishing a comprehensive $SF_6$ analysis system. With the analysis system,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es of the purity and the impurities of $SF_6$ before and after recovery, and before and after refinement have been carried out. The analysis system is comprised of GC-DID (Gas Chromatograph -Discharge Ionization Detector) for trace impurities analysis, GC-TCD (Thermal Conductivity Detector) for analyses of $SF_6$ purity and major impurities concentration from several hundred ppm up to percent range, GC-MSD (Mass Selective Detector) for analyses of impurities not included in standard gas, FT-IR (Fourier Transform-Infrared) Spectrometer for analysis of HF and $SO_2$, and moisture analyzer for analysis of moisture below 100 ppm. With this analysis system, complete analysis method of $SF_6$ has been established. This analysis system is being used in the maintenance of power equipment and the development of $SF_6$ recovery and refinement technologies. In this paper, the analysis results of four samples - gas and liquid phase $SF_6$ samples from a $SF_6$ refinement system before and after refinement are presented.

인제군 산사태 지역의 토석류 거동 예측기법 적용 (The Estimation of Debris Flow Behaviors in Injae Landslide Area)

  • 김기홍;황제선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35-541
    • /
    • 2011
  • 토석류는 집중호우시 산악지형에서 발생한 사면파괴 쇄설물 또는 계곡 내에 쌓여 있던 퇴적토가 많은 양의 물과 섞여 흐르는 현상으로서 이동경로나 퇴적지점에 있는 시설물, 가옥, 인명에 큰 피해를 유발한다. 본 연구에서는 해외에서 연구되었던 토석류 거동에 관련된 모형식을 국내 사례에 적용해 보았으며, 이를 위해 우리나라 강원도 인제군에서 발생한 산사태 및 토석류에 대해 항공사진과 GPS 현장 측량성과를 이용하여 발생부와 퇴적부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한 결과 토석류 이동거리를 예측할 수 있는 L/H는 평균 4.93, 표준편차 0.97을 나타내었다. 토석류의 규모와 면적을 예측하는 경우 과대 산정되는 문제가 있으며 이는 우리나라의 토석류가 상부의 대규모 산사태로 유발되는 것이 아니고 다발적으로 발생한 소규모 산사태로 인한 것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국내 산지 환경에 적합한 경험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소수력 자원량 산정과 지리정보시스템 구축 (Estimation of Small Hydropower Resources and Development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허준호;박완순;윤정환;정상만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103-110
    • /
    • 2010
  • 소수력은 신재생에너지 중 하나로 우리나라에는 부존량이 매우 풍부하여 최근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소수력 자원의 적극적인 활용을 위해 소수력 자원량 산정의 정확성을 제고하고, 소수력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에너지원 발굴의 기반환경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연평균강우량, 유역면적, 유출계수를 세분화시켜 840개의 표준유역에 대한 소수력 발전소 시설용량과 연간전기생산량을 산정하였으며, 산정된 소수력 자원량과 분석기능, 그리고 국내 소수력 자원지도시스템에서 제공되지 않았던 소수력 발전소 현황, 하천, 유역, 강우관측소, 수위관측소 등에 대한 기초정보를 제공하여 소수력 지리정보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소수력 지리정보시스템은 전국에 산재되어 있는 소수력 자원의 적극적인 활용을 위한 기초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수치지형도와 영상자료의 연계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grated Use of Digital Topographic Maps and Image Data)

  • 김계현;이경숙;진희채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1-28
    • /
    • 1999
  • 국내에서도 NGIS 사업이나 공공기관의 GIS 구축사업의 영향으로 수치지도의 활용이 보편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수치지도는 항공사진이나 위성영상자료와 연계 활용함으로써 정확도의 향상 및 경제적인 갱신이 가능하다. 이러한 취지에서 본 연구에서는 영상자료의 용이한 보급을 위한 표준화 방안과 영상자료와 수치지형도의 연계 활용 방안을 모색하였다. 우선적으로 미국 USGS의 DOQ, DEM, DRG와 같은 해외 명상자료의 유형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며 영상자료의 교환에 있어서 기존에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GeoTIFF의 특성을 분석하고 아울러 ISO에서 지원하고 있는 BIIF와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다양한 축척의 수치지형도와 영상의 중첩 활용에 따를 장점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보완책을 논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으로써 해외 영상자료의 활용을 참조로 국내에서도 영상자료의 활용을 위한 정책적 지원의 필요성과 정확도와 호환성 및 세계적인 흐름에 따라 BIIF를 지향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 PDF

Visualizing Geographical Contexts in Social Networks

  • Lee, Yang-Won;Kim, Hyung-Joo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4권4호
    • /
    • pp.391-401
    • /
    • 2006
  • 이 논문에서는 지리적 표현이 보강된 사회네트워크 모형을 제시하고, 이 모형을 통해 사회네트워크의 지리적 맥락을 시각화하는 3D 웹서비스를 구현한다. 이 연구에서 제안하는 사회네트워크 그래프 개선의 핵심요소는 (i) 네트워크 노드들의 상호작용 강도 및 공간적 인접성이 반영된 '지리적 가중치가 부여된 중심화 지수' 그리고 (ii) 이러한 중심화 지수를 3차원 심볼을 이용하여 표현함과 동시에 네트워크 노드들을 단계 구분도와 중첩하여 시각화하는 '지도와 결합된 사회네트워크 그래프'이다 개선된 사회네트워크 그래프는 X3D (Extensible 3D)를 이용하여 구현하였으며, 시도간 R&D 협력의 사례분석을 통해 그 적용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이 논문에서 제시하는 방법론은 사회네트워크에 내재하는 공간적 집중화의 경향 등 기존의 네트워크 분석에서 간과되었던 사회네트워크의 지리적 맥락에 대한 시각적 단서를 제공한다.

  • PDF

"대" 지목에 의거한 온실가스 분포의 공간성 평가 (Evaluating Spatiality of Green-House Gas Emission in Building Site)

  • 김준현;엄정섭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94-102
    • /
    • 2010
  • 오늘날 지목은 토지의 이용용도나 이용형태를 결정짓는 가장 구체적인 법률적 기준이 되고 있다. 지목은 토지의 주된 사용용도에 따라 분류되기 때문에 주 사용용도가 동일하다면 모두 같은 지목으로 결정하고 있다. 동일한 "대" 지목이라 하더라도 구체적으로는 단독주택, 연립주택, 다세대주택, 빌라, 아파트, 주상복합, 상업 업무용, 나대지 등으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어 그 명확한 구분이나 분류기준 등에 있어 한계성을 가지고 있으며 녹색성장을 위한 온실가스 배출실태나 감축 또는 통계산정에 있어서 용도별 배출특성을 다양하게 분석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기관별 다른 분류체계를 가진 5개의 도면을 중심으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실제로 측정하여 분석한 결과 계절별은 겨울, 봄, 가을, 여름순으로 측정 되었으며, 겨울과 여름의 가장 큰 분포특성은 1.78배, 평균 1.35배가 높게 나타났으며, 오전 9시와 15시의 기온이 약 $11^{\circ}C$ 변화할 때 22ppm으로 오후가 높게 측정되었다 용도별로 분석한 결과 단독주택에 비해 상업 업무용은 4.04배, 주상복합은 1.47배나 높게 배출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