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S Location-Allocation Model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4초

생활인구를 고려한 대피시설 접근성 분석: 서울 중구지역 지진 옥외 대피장소를 사례로 (Analyzing Accessibility of Emergency Shelters Based on Service Population: The Case of Outdoor Evacuation Places for Earthquake in Jung-gu, Seoul)

  • 김상균;신상영;남현정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51-62
    • /
    • 2022
  • 연구목적: 이 연구는 지진 옥외 대피장소를 대상으로 생활인구(유동인구)를 측면에서 공간적 접근성을 분석한 후, 접근성 취약지역에 추가 신규 대피장소를 확충할 경우의 모의분석을 하여 개선효과를 비교함으로써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GIS 네트워크분석 기반의 최적화 모형인 입지배분모형을 적용하여 접근성을 분석하고 취약지역을 식별하였다. 입지배분방법은 일정한 시간 내에 신속한 이동이 중요한 대피시설의 성격에 비추어 'Maximize Coverage(수요영역 최대화)' 방법을 적용하였고, 대피를 위한 한계 거리 및 시간기준은 보행속도를 고려하여 500m(7.5분), 1,000m(15분), 1,500m(22.5분)의 세 가지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사례분석 대상지역은 지진 발생 시 신속한 대피와 일시적인 체류를 위한 옥외 대피장소의 기능을 고려하여 거주인구에 비해 생활인구가 월등히 많고 대피장소로 활용할 수 있는 가용공간이 크게 부족한 고밀 도심지역으로서 서울 중구지역을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거주 인구에 비해 생활인구 기준으로 볼 때 접근성이 취약한 집계구 수와 인구 수가 훨씬 많고 비율도 높았으며, 접근성 취약지역에 가용한 신규 대피장소를 확충할 경우의 모의분석에서 접근성이 크게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고밀 도심지역으로서 가용지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대상지역의 특성상 잠재적인 대피인구 전체의 접근성을 완전히 해소하지는 못하였다. 결론: 유동인구로 인해 주·야간 인구 차이가 심한 서울 도심의 지역 특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생활인구 첨두시간대를 적용하여 실제 대피수요를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입지배분모형을 이용하여 접근성이 불리한 취약지역을 식별하고 신규 대피장소 설치의 우선순위를 부여함으로써 과학적 근거 기반의 의사결정이 필요하다.

GIS를 이용한 학군 설정의 시론적 연구 -종로구 국민학교 학군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location and school district of elementary schools at Chongro-gu, Seoul)

  • 최운식;윤성희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11-323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종로구 국민학교의 입지와 대안적 학구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 구 방법은 GIS Network의 입지-배분 모델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는 학교 입지에 각 변인의 가중치를 고려하지 못하고 분석 단위를 동단위로 했다는 점과 학구 조정에 있어서 학생들의 분포를 도로상에 균등하게 분포시킴으로써 현실과의 차이점이 다소 생길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음을 밝혀 둔다. 기존의 학군에서 평균 통학거리 8,568m, 최대 통학거리 16,804m 인데 반하여 수정된 최소 통학거리 학군에서는 평균 통학거리가 8,328m, 최대 통학거리가 16,182m로 나타났다. 그리고 통학안정성 중심의 조정 학군에서는 평균 통학거리가 8,517m, 최대 통학거리가 16,768m이었다.

  • PDF

GIS와 입지모형을 이용한 지방중소도시의 주거지 적지분석 (A Locational Analysis by Using GIS and Allocation Model for Residential Area of Local Cities)

  • 안기원;유환희;김영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69-80
    • /
    • 1996
  • 본 연구는 지방중소도시 근교지역의 주거입지선정을 위한 최적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가용 주거지의 파악은 물론, 주거지개발 우선순위 도출을 위하여 진주시를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3단계 과정을 거쳤다. 첫번째 단계에서는 지형 관련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하여 인공위성 화상데이타를 이용한 수치화상처리기법을 통하여 토지이용현황을 파악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GIS기법 에 의한 진주시의 지형의 표고, 경사, 경사향, 법적 제한성, 인구밀도 및 지가의 평가를 통하여 가용주거지를 파악하였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수학적 모형을 설정하고 통계적 분석과 정수계획법의 적용을 통하여 최적 주거지 개발 후보지를 선정하고 개발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방중소도시의 주거지 입지선정을 위한 가용토지의 파악, 개발우선순위의 결정 및 효율적 토지이용정책을 수립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보행속도에 따른 대피소 서비스 영역 분석 (Analysis of Shelter Service Areas According to Walking Speed Using Network Analysis)

  • 박재국;김동문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7-44
    • /
    • 2012
  • 위급상황 발생시 국민의 안전을 위해 신속히 대피할 수 있는 대피소가 전국에 약 2만 5,724개소가 지정되어 있으며, 서울시의 경우 약 3,870개소가 지정되어 있다. 전국에 설치된 대피소는 신속한 대피를 위해 주변 반경 5분 이내에 도착할 수 있는 위치에 지정되어 있으며, 서울시의 대피소 수용능력은 서울인구의 285%를 수용할 수 있다. 하지만 문제는 보행자의 나이, 신장, 건강상태, 신체조건 등과 같은 개인차에 의한 보행속도를 고려하였을 경우 5분 이내에 도착할 수 있는 대피소가 얼마나 되는지는 알 수 없다. 또한 대피소의 공간적 배분 및 분포에 따라 수용 가능한 서비스 영역이 달라지며, 이에 따른 취약지가 발생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사례를 통해서 보행자의 유형별 보행속도를 1m/s, 1.3m/s, 2m/s 정의하였고, 서울시에 지정된 대피소와 도로망을 이용하여 입지할당모형의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서울시 행정구역별로 보행속도에 따른 대피소의 서비스 지역과 취약 지역을 알 수 있었으며, 노약자의 경우 대피소에 도달할 수 없는 취약 지역이 빠른 걸음의 성인남녀에 비해 2배 이상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농촌지역 노년인구를 위한 방문 의료서비스 구역 설정 모델 및 알고리즘 (A Location Model and Algorithm for Visiting Health-care Districting for the Rural Elderly)

  • 김감영;신정엽;이건학;조대헌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813-832
    • /
    • 2009
  • 농촌지역의 과소화에 따라 의료서비스에 대한 공간적 접근성이 제한되고, 노령화에 따른 의료서비스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최근 방문보건서비스와 같은 서비스 제공자가 수요자에게 직접 이동하는 새로운 형태의 의료서비스가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의료환경의 변화는 공공 의료기관의 한정된 의료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고 운영하기 위한 혁신적이고 과학적인 접근법개발에 대한 요구를 증대시키고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방문 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한 구역 설정 모델을 수립하고, GIS 환경에서 구역 설정 모델을 구현하는 자동구획절차(AZP)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것이다. 구역 설정 모델은 구역 내 이동성, 구역간 업무량 균형, 연속성 등의 조건을 고려한다. 이동성에 대한 세 개의 서로 다른 목적함수를 평가한다; 1) 구역 내 단위 지역간 네트워크 거리의 합 최소화, 2) 구역 내 단위 지역간 공간상호작용 최대화, 3) 구역 내 단위 지역을 순회하는 경로의 길이 최소화. 모델을 위한 AZP는 GIS 환경에서 개발되었고, 농촌의 방문보건 사례에 적용되었다. 결과는 개발된 AZP를 업무량 균형과 연속성 제약조건하에서 각 목적함수에 대하여 상이한 구획체계를 산출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GIS를 이용한 최적 도심 유통 네트워크 설계 : 몽골 울란바타르 내 우유 산업 사례 (Designing the Optimal Urban Distribution Network using GIS : Case of Milk Industry in Ulaanbaatar Mongolia)

  • ;신광섭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59-173
    • /
    • 2019
  • 말단배송최적화는 도심내 공급사슬의 운영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전체 배송 프로세스에서 가장 복잡하고 많은 비용을 지불해야만 한다. 도심복합물류센터 (Urban Consolidation Center: UCC)는 최근 말단배송 서비스를 운영하고 고객의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한 핵심적인 자산으로 인식되고 있다. UCC를 활용할 경우 도심 내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최적의 배송 과정을 설계함으로써 배송에 소요되는 시간과 이동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리정보시스템 (GIS)를 활용하여 다양한 수리모형이 통합된 시나리오 분석을 활용하기 위한 기법을 제안한다. 특히, 본 연구는 몽골의 수도 울란바타르를 사례로 실제 도심 내 최적 배송네트워크를 설계하는 것을 목표로하고 있다. 이를 위해 위치배분문제와 차량경로문제를 결합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UCC의 위치와 개수를 기반으로 다양한 시나리오를 설계하였으며, 기본적인 총배송거리, 배송시간, UCC의 수 및 필요 차량의 수를 기준으로 시나리오를 평가하였다. 또한, UCC의 건설과 운영에 필요한 전체 비용 관점에서 최적의 시나리오를 비교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도심 내 말단 배송을 위한 유통 네트워크를 설계해야 하는 관리자 혹은 정부 기관의 담당자들이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내리기 위한 객관적인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서울시의 활동여가시설의 입지유형에 관한 연구 - 강남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Locational and Regional Pattern of Leisure Facilities at Kangnam-gu, Seoul)

  • 최운식;김민
    • 지역연구
    • /
    • 제10권2호
    • /
    • pp.17-29
    • /
    • 1994
  •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regional distribution and the locational pattern of leisure facilities at Kangnam-gu in Seoul. For the convenience of the analysis the facilities are classified into public and private sector and then the facilities are classified into 11 types: mineral spring resort, play ground, neighborhood park, swimming pool, gymnasium, bowling, pingpong, aerobic, golf practice, health, and billiard facilities. For the purpose data was collected from statistical yearbook in 1993 and lists of registered facility at department of living physics of Kangnam-gu office. The data of the density of facilities and the opportunity of facilities per facilities type and per region are analysed with the technology of GIS. Result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correlation between the results of Location-Allocation model and the results of Interaction model is very high. Secondly, on comparing the density of facilities with the opportunity of the facility use per eleven facility types, three discrete spatial pattems are found. The mineral spring resort facility type with the highest unbalanced density and opportunity of facility use is to be found. Play ground, neighborhood park, swimming pool, gymnasium, bowling, pingpong, and aerobic facility types have the high unbalanced density and opportunity of facility use. The golf practice, health, and billiard facility types have spatially balanced density and opportunity of facility use. Thirdly, as comparing the density and the opportunity of the facility use per 'dong' administration unit, the spatial patterns of the public and the private facilities are different in density of the facility use and otherwise two are similar in the opportunity of the facility use. Fourthly, patterns of facilities users have different charateristics based on facility use time, expense, residence, and access time and four regional patterns are to be found ; user favorable, facility profitable, user balanced, and unfavorab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