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S 공간분석

검색결과 1,868건 처리시간 0.024초

GIS 공간분석과 소셜 네트워크 분석의 통합을 위한 WebGIS 구현 (Implementation of WebGIS for Integration of GIS Spatial Analysis and Social Network Analysis)

  • 최효석;염재홍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95-107
    • /
    • 2014
  • 일반적으로, 공간 도메인의 공간자료는 지형적인 현상을 도형적으로 표현하고 비공간 도메인의 속성자료는 공간 자료의 특징을 서술적으로 설명한다. GIS에서 속성자료를 이용한 분석은 조건을 이용한 검색이나 통계분석에 제한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최근 소셜 네트워크 분석의 그래프 모델링 및 네트워크 분석기법은 인문 사회적 현상을 분석하는데 사용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네트워크 분석기법을 GIS의 비공간적인 속성자료 처리에 적용하여 분석기능을 다양하게 하였다. 또한, 공간 데이터베이스와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GIS 공간분석과 비공간적 네트워크 분석의 통합분석 방법을 설계하였고, 이를 WebGIS를 구현하여 보다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가능하도록 하였다. 구현된 WebGIS를 상수도 보급 대상 가구 선정 업무와 구제역 질병의 2차 전파 분석 업무에 적용하여 실험 및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구현된 시스템의 통합 분석을 통해 공간적인 요인 및 사회적 친밀도와 같은 비공간적인 요인을 고려한 방역을 제시하였으며, 이는 질병 전파의 효과적인 차단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한다.

4D GIS 기술동향 및 개발전략 연구 (A Study on 4D GIS Technology Trends and Development Strategies)

  • 최환석;김은형;조대수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04년도 GIS/RS 공동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3-187
    • /
    • 2004
  • 기존 GIS는 고정적인 공간데이터를 저장 편집 삭제하기 위한 시스템으로만 활용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는 기존에 구축되었거나 현재 진행중인 지리정보 시스템의 대부분이 시간의 변화에 따른 공간적 변화를 처리할 수 없는 정적인 데이터만을 처리하고 있고 효율적 관점에서도 경제성이 없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 기존의 기존 GIS에서는 공간데이터를 저장할 때, 시간의 개념을 제외한 정적인 시점에서의 공간정보만을 저장하고 있고 그에 따라 시간의 변화에 따른 공간정보의 이력정보가 저장될 수 없기 때문에 과거에서부터 현재까지의 공간변화정보를 분석하기가 어려우며 미래의 공간변화정보를 예측하기도 쉽지 않다. GIS를 위한 미래의 이상적인 목표는 시간 정보와 연계하여 공간정보를 획득하고 시간을 통한 공간적 정보에서의 변화들을 파악하고 분석하는 것이나 이와 같이 어떤 현상에 대해 시간적 변화를 반영할 수 없는 것은 모델화된 세계에 대한 역동적인 분석이나 이해를 하는데 어려움을 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 GIS에서 처리하지 못하였던 공간현상들은 ‘어떠한 현상들인지’를 규명하고 이러한 ‘공간현상들이 어떠한 기술들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지’ 기술 적용 모델을 제안하는 것으로 두 가지 사항을 핵심 연구사항으로 보고 있다. 첫 번째 ‘어떠한 공간현상을 4D GIS에서 처리하려고 하는가’에 대한 핵심 연구사항에서는 기존 GIS에서 간과하였던 ‘시간’과 ‘다차원’의 요소로 인해 변화하는 공간현상은 무엇인가를 규명하려고 하였다. 두 번째 ‘4D GIS를 통해 동적인 공간현상을 어떠한 기술로 처리하고 분석하여 시각화하였는가’에 대한 핵심 연구사항에서는 실세계의 동적인 공간현상을 어떠한 기술로써 처리ㆍ분석ㆍ시각화할 수 있는지 다양한 공간현상을 적용하여 보았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4D GIS 기술적용 모델은 기술적 관점에서의 한계로 처리하지 못하였던 동적인 공간현상들을 처리ㆍ분석ㆍ시각화하려는 차세대 GIS의 기술개발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개방형 GIS 컴포넌트에서의 공간분석 컴포넌트 연동 (Interoperability of OpenGIS Component and Spatial Analysis Component)

  • 민경욱;장인성;이종훈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49-62
    • /
    • 2001
  • 공간정보 및 속성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여 서비스하는 지리정보시스템은 최근 네트워크 및 분산환경의 기술개발과 더불어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지리정보시스템은 컴포넌트 기반 기술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OGC(OpenGIS Consortium)에서는 지리정보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에 대한 다양한 사양과 토픽을 제시하고 있다. OGC의 사양을 충족하는 개방형 지리정보시스템은 다양한 컴포넌트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컴포넌트 기반의 시스템에 추가적인 요소로써 공간분석 컴포넌트를 구현하였다. 지리정보시스템에서 공간분석기능은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전체 시스템의 성능적, 기능적 평가 기준이 되기도 한다. OGC에서 제시하는 기본 공간데이터 모델인 Geometry 모델은 기본 기하공간객체를 관리하는 모델이며, 다양한 분석 컴포넌트들의 연동을 위하여 확장이 필요하다. 즉 기본 기하공간데이터 모델뿐 아니라, 기본 위상공간데이터 모델을 제공해야 하며 또한 이러한 기본 위상공간모델을 다양한 분석기능에 맞게끔 확장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개방형 GIS컴포넌트의 전체 아키텍쳐와 이와 연동되는 분석 컴포넌트로써 네트?p 분석, TIN 분석 컴포넌트에 대하여 살펴보고 또한 기본 기하 데이터 모델인 OGC Simple Feature Geometry의 확장과 연등방법에 대하여 논의해 볼 것이다.

  • PDF

GIS기반 최적공간선정을 위한 시스템론적 접근 (System Theory Approach for Decision Making of GIS-based Optimum Allocation)

  • 오상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12호
    • /
    • pp.121-127
    • /
    • 2006
  • 정보기술 발전과 함께 GIS(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GIS를 이용한 공간분석(spatial analysis)에 관한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특히 GIS의 일반기술에 관한 연구보다 GIS를 이용한 공간분석연구가 많아지면서 이를 다양하게 응용하여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GIS연구는 밀도기반 군집화 방식인 DBSCAN 또는 개개의 데이터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군집화한 DBSCAN-W 등 공간적 현상을 다루고 있으며 시간차원의 합리적 의사결정의 중요성은 간과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이 GIS를 기반으로 한 최적 공간선정을 위해 시간차원의 도입을 위해 시스템 다이내믹스(system dynamics) 이론을 접목하여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 PDF

GIS 공간분석에 있어 Fuzzy 함수의 적용에 관한 연구 -쓰레기 매립장 적지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Fuzzy membership function in GIS Spatial Analysis - In the case of Evaluation of Waste Landfill -)

  • 임승현;황주태;박영기;이장춘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5권2호통권40호
    • /
    • pp.43-49
    • /
    • 2007
  • 본 연구는 퍼지개념을 적용한 GIS 공간분석법을 도입하고 이를 통해 쓰레기 매립장 입지 평가를 수행하였다. 기존 연구는 GIS의 공간 중첩 분석법을 적용하여 입지분석이나 적지선정 등을 수행하였으나 공간 중첩분석은 보통집합의 불린 논리를 바탕으로 공간자료를 처리하였기 때문에 공간자료의 불확실성과 자료분류 기준의 부적합성을 고려하여 분석할 수 없었다. 그러므로 신뢰할 수 있는 분석결과를 제시할 수 없어 실제 문제에서 적극 활용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쓰레기 매립장을 대상 시설로 선정하고 객관적인 접근법으로 퍼지 공간분석 법을 적용하였으며, 구체적인 적용과정으로서 연속형 공간자료에 대한 소속함수의 정의방법과 퍼지분석을 위한 퍼지입력값의 생성, 그리고 쓰레기 매립장 입지평가를 위한 분석인자의 선정기준 및 자료분류기준을 검토하여 이것으로부터 소속함수를 결정하는 매개변수를 추출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

연구는 래스터 데이터의 지도대수 분석을 위한 GRASS 기반의 웹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Web-based System for Raster Data Analysis Using Map Algebra)

  • 이인지;이양원;서용철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31-139
    • /
    • 2010
  • 최근 GIS의 보급이 증가하고 공간 데이터 사용자의 요구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웹기반 GIS에서는 단순히 공간 데이터를 지도화하는 것뿐만 아니라 다양한 공간분석과 프로세싱을 통해 공간 정보 및 지식을 효율적으로 제공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공개 GIS 소프트웨어의 발전은 이러한 웹 GIS의 요구를 실현하기 위한 기술적 토대가 되어가고 있다. 본 연구는 공개 GIS 소프트웨어인 GRASS를 이용하여 래스터 데이터의 지도대수 연산을 수행하는 웹 분석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웹에서의 데이터 분석 방법은 래스터 데이터 처리 시 널리 사용되는 지도대수로 하였으며, 중첩분석에 필요한 가중치는 AHP로 계산하였다. GRASS 기반의 웹 분석 시스템을 구축한 후, 강수량, 표고, 경사각, 경사방향, 토양의 래스터 레이어를 이용하여 산사태 위험도 분석을 시범적으로 구현하였다. 웹과 GRASS의 연동을 통해 지도대수뿐만 아니라 다른 공간분석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GIS 흐름도 기법에 의한 소프트웨어 기업 이동의 동태적 분석 (An Analysis of Relocation of SW Industries using GIS Flow Map)

  • 최준영;오규식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8권3호
    • /
    • pp.41-5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웨어(SW) 기업의 시공간적 변화를 GIS 흐름도 기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1999년부터 2008년까지 수도권 SW 기업의 본사 이전을 Flow Mapper와 ArcGIS Flow Data Model을 이용하여 사업체 수 및 사업체 고용자 수에 따라 기종점(OD) 행렬로 흐름도를 작성하고 공간적 이동을 지도화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강남구, 서초구에서 구로구, 금천구, 성남시 분당구로 SW 기업의 이동 흐름이 확인되었다. 둘째, 고용규모가 큰 기업일수록 도심에서 교외로 이전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GIS 흐름도 분석 기법은 사업체 이동에 따른 기업 집적지의 성장, 쇠퇴, 공간적 이동 연구에 유용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기법은 도시계획분야의 공간적 변화 이해와 분석 결과의 시각화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내부공간에서의 경로탐색을 위한 3D-GIS 모델링 (3D-GIS Modeling for Path Finding in Indoor Spaces)

  • 류근원;전철민;박인혜;김혜영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06년도 GIS/RS 공동춘계학술대회
    • /
    • pp.187-192
    • /
    • 2006
  • 도시의 과밀화로 인해 건물들은 고층화, 대형화되고 복잡한 형태를 이루고 있어 건물 이용자들에게 2차원의 정보뿐만 아니라 3차원 공간정보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3차원 GIS 모델의 활용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연구되거나 응용되어 온 3차원 모델은 주로 건물 외부형태의 시각화를 위한 것으로 3차원 공간분석에 응용되기에는 한계가 존재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3차원 모델을 공간분석에 적용하는 하나의 방안으로서 건물의 내부공간에서 경로탐색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건물 내부의 각 실들과 연결통로 및 기타 시설들을 각각 오브젝트로 분리하여 3차원으로 모델링하였다. 2차원 GIS데이터와 3차원 모델에 각각 벡터기반의 네트워크 모델을 생성하고 DB를 이용하여 두 모델을 연동함으로써 3차원 모델에서 네트워크기반의 경로분석과 탐지기능을 가능하게 하였다.

  • PDF

공간현상 분석을 위한 GIS 기반의 공간통계적 접근방법에 관한 고찰: 공간 군집지역 탐색을 위한 공간검색통계량의 실증적 사례분석 (A Study on Spatial Statistical Perspective for Analyzing Spatial Phenomena in the Framework of GIS: an Empirical Example using Spatial Scan Statistic for Detecting Spatial Clusters of Breast Cancer Incidents)

  • 이경주;권일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0권1호
    • /
    • pp.81-90
    • /
    • 2012
  • 지리적 공간상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현상은 서로 인접한 곳에서 유사한 값을 가지는 특성이 있다. 이는 공간자기상관성과 관련이 있으며 공간분석의 존재 이유를 나타내는 개념이다. 또한 지리적 공간상에서 위치에 따라 값의 분포가 다양한 패턴을 보이게 된다. 이러한 패턴은 공간적 변이를 내포하고 있다. 즉, 특정 위치에서 항상 같은 값을 관찰할 수 있다고 단정하기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러한 변이는 본질적으로 확률론적 특성을 지닌다. 이러한 공간자료의 특성들을 무시하고 일반적 통계분석 등을 수행할 경우 공간자기상관성으로 인하여 통계분석에서 가정하는 자료 값들 간 독립성이 위배되고 분석결과는 왜곡될 가능성이 크다. 그러므로 공간자료 분석을 위해서는 공간자기상관성과 확률론적 변이를 적절하게 반영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GIS는 공간적 위치정보를 처리하는데 적합하고 공간통계학은 공간적 변이를 다루는데 유용하다. 따라서 GIS를 기반으로 공간통계학을 통합하는 분석방식은 공간자료의 특성들을 고려하여 유의미한 분석을 하기에 적합한 장점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간자료 분석에 있어서 공간통계학과 GIS를 결합하는 접근방식의 유용성을 논의하고 실증적 사례분석을 통하여 구체적 활용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공간통계학을 주요 방법론으로 활용하는 공간역학(spatial epidemiology) 분야를 예시적으로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는 공간검색통계량을 이용하여 미국 Erie 및 Niagara 카운티(New York 주) 내의 유방암 발생의 공간적 군집패턴 분석 논의하였다.

GIS를 이용한 지질자료 기반 통합 주제정보의 다중 버퍼 영역분석 (Multi-Buffer Zone Analysis of Geo-Based Integrated Thematic Mappable Information by Using GIS)

  • 이기원;박노욱;권병두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7권2호
    • /
    • pp.159-173
    • /
    • 1999
  • GIS는 다양한 지구과학분야의 응용에 중요한 방법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으며 최근 지구과학정보의 공간통합을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공간분석 통합 결과에 대한 정량화 분석에 대해서는 그다지 많이 연구되고 있지 않으며, 이러한 측면에 일부 기인하여 GIS에서 제공하는 분석기법들을 자연과학분야에의 그대로 적용하는데는 부족한 면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GIS 공간분석 측면에서 "다중버퍼 영역분석" 이라는 간단한 방법을 소개하고, 실제 자료를 이용하여 광물부존 지역예측 문제에 본 제안 방법을 적용하였다. GIS 측면에서 볼 때, 본 방법은 격자기반 버퍼링 혹은 근접성분석 기법을 지구과학 자료의 해석을 위해 확장하여 응용한 것이다. 본 방법은 GIS의 가장 기본적인 도형 모델인, 점, 선, 면으로 표현할 수 있는 중요한 지질학적 지표 특징에 대하여 지구과학적 현상이나 양상이 주로 원형 상으로 나타나는 경우에 대하여 적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방법을 적용하여 하나의 지질학적 현상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항공물리탐사, 지표탐사, 지질조사, 위성 영상 자료 등과같은 복합적인 지구과학자료들이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가를 정량적으로 밝혀내는 데 이용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GIS에서 제공하는 분석기법의 적용은 공간 통합에 의한 주제도 작성문제와 연계되어 제한적인 공간 영역내에서 복합적인 입력 자료들에 대한 상호 영향을 추론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