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Relocation of SW Industries using GIS Flow Map

GIS 흐름도 기법에 의한 소프트웨어 기업 이동의 동태적 분석

  • Received : 2010.03.29
  • Accepted : 2010.07.12
  • Published : 2010.08.30

Abstract

This paper analyzed the interregional flow changes of software (SW) industries using a GIS Flow Map. Employment data for SW enterprise headquarters from 1999 until 2008 were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Origin-Destination Matrix, and were mapped and analyzed using the Flow Mapper and ArcGIS Flow Data Model. From the result we can identify the decentralization of interregional flow in SW industries and recognize the possibilities of the larger SW enterprises' employment, the higher locational footlooseness. The GIS Flow Map was identified as useful tool for researching growth, decline and spatial movement of industrial clusters that experience business relocation. This method can be applied to understand and visualize urban spatial changes.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웨어(SW) 기업의 시공간적 변화를 GIS 흐름도 기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1999년부터 2008년까지 수도권 SW 기업의 본사 이전을 Flow Mapper와 ArcGIS Flow Data Model을 이용하여 사업체 수 및 사업체 고용자 수에 따라 기종점(OD) 행렬로 흐름도를 작성하고 공간적 이동을 지도화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강남구, 서초구에서 구로구, 금천구, 성남시 분당구로 SW 기업의 이동 흐름이 확인되었다. 둘째, 고용규모가 큰 기업일수록 도심에서 교외로 이전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GIS 흐름도 분석 기법은 사업체 이동에 따른 기업 집적지의 성장, 쇠퇴, 공간적 이동 연구에 유용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기법은 도시계획분야의 공간적 변화 이해와 분석 결과의 시각화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Hackler, D., 2000, Industrial Location in the Information Age: An Analysis of Information Technology Intensive Industry, Cities in the Telecommunications Age: The Fracturing of Geographies, Wheeler et al., eds, Routledge, New York.
  2. WIkepedia. 2010, Flow Map, [Online] Available: http://en.wikipedia.org/wiki/Flow_map
  3. Rae, A. 2009, "From spatial interaction data to spatial information? Geovisualisation and spatial structures of migration from the 2001 UK census", Computers, Environment and Urban Systems, vol. 33, pp. 161-178, [Online] Available: http://www.scienceclirect.com https://doi.org/10.1016/j.compenvurbsys.2009.01.007
  4. J. Yan and JC. Thill, 2001, "Visual data mining in spatial interaction analysis with self-organizing maps", Environment and Planning B: Planning and Design, 36(3), pp. 466-486, [Online] Available: http://www.envplan.com/B.html.
  5. Tobler, W. 2003. Movement Mapping, Center for spatially integrated social science, [Online] A vailable: http://www.csiss.org/clearinghouse/FlowMapper/.
  6. Glennon, J. A, 2004, A GIS Flow Data Model, [Online) Available: http://dynamicgeography.ou.edu/flow/index.html.
  7. 삼성경제연구소 2007, "'구로공단' 부활의 의미", CEO Information, 제 608호, pp.1-20.
  8. 홍일영, 2008, "소프트웨어 산업의 집적지 변화와 기업이동의 특성", 한국경제지리학회지, 제11권, 제2호. pp.175-191.
  9. 권오혁, 1996, "소프트웨어산업의 단지화전략, 국토연구, 국토연구원", 제25권, pp.129-142.
  10. 이희연, 윤선목, 1999, "소프트웨어 개발업의 입지적 특성과 공간적 연계성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제34권, 제2호, pp.29-43, 1999.
  11. 황주성, 2000, "소프트웨어 산업의 입지와 산업지구에 관한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제35권, 제1호, pp.121-139.
  12. 이희연, 2005, "인터넷 산업의 입지적특성과 공간적 집적화", 국토계획, 제40권, 제2호, pp.33-51.
  13. 강병기, 권일, 김태현, 1997, "GIS를 이용한 도시 토지이용의 입지특성 및 변화파악 방법-강남 신시가지를 대상으로", 한국GIS학회지, 제5권, 제1호, pp.27-41.
  14. 이창수, 정규섭, 1998, "상업시설 입지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GIS학회지, 제6권, 제2호, pp.217-232.
  15. 산업연구원, 2003, 지식기반산업의 지역별 발전 동향과 정책시사점, 산업연구원.
  16. 김의준, 김성수, 2006, "서울 IT산업의 공간적 집적 경제 효과 추정", 재정논집, 제21집, 제1호, pp.149-165.
  17. 홍일영, 김광수, 2009, "서울시 소프트웨어 기업 간 파트너쉽 네트워크의 구조와 공간적 특성, 서울도시연구", 서울도시연구, 제10권, 제2호, pp.49-64.
  18. 이한일, 이번송, 2002, "수도권내 이전제조업체의 입지결정요인분석", 국토계획, 제37권, 제7호, pp.103-116.
  19. 정수연, 2008, "한국 상장, 코스닥 기업의 입지이전결정요인과 입지특성에 관한 연구", 부동산학연구, 제14집, 제1호, pp,65-80.
  20. 김창석, 남진, 1996, "수도권지역 기업본사의 입지이전 경로와 특성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제31권, 제1호, pp.43-72.
  21. 매일경제신문사, 2000, 2003, 2006, 매경 기업연감, 매일경제신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