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H test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7초

동해 울릉분지 가스하이드레이트 퇴적층의 해리 유동 전산 분석 연구 (Numerical Analysis on Flow Behavior of Gas Hydrate Bearing Sediments in the Ulleung Basin, East Sea of Korea)

  • 김지수;이록상;임종세;김세준
    • 에너지공학
    • /
    • 제23권3호
    • /
    • pp.102-115
    • /
    • 2014
  • 국내 동해 울릉분지에는 막대한 부존량과 청정 에너지원으로 높은 잠재력을 지닌 가스하이드레이트가 부존되어 있으며, 2010년 울릉분지 2차 시추지역(UBGH2)에서 현장 생산 시험 후보지 선정을 위한 목적으로 시추작업이 수행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동해 울릉분지 현장 생산 시험 후보지역의 지질학적 모델을 바탕으로 전산 수치 해석을 이용하여 가스하이드레이트 퇴적층 내 해리 유동 및 산출성을 분석하였으며, 주요 생산 조건별 감압 생산 거동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가스하이드레이트 현장 생산 시험 계획 수립 시 요구되는 예비 분석 자료를 도출하였다.

걷기운동 프로그램이 남성 노인들의 노화관련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 경산지역 노인들을 대상으로 - (The Effects of Walking Exercise Program on Aging-related Hormones in Elderly Men)

  • 고기준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73-81
    • /
    • 2010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12 weeks walking exercise program participation on changes in aging-related hormones concentration in elderly men. Methods: 16 elderly men(above 65 years old) were participated in 12 weeks walking exercise program by group types(exercise group ; n=8 & control group ; n=8), and their aging-related hormones(GH, testosterone and melatonin) levels were assessed before program(0 week) and after program(12 weeks). Regularly walking exercise program(field walking exercise) performed for 12 weeks(3days/week, 60~70min/day, HRR 55~65%). All data were expressed a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by using SPSS/$PC^+$(ver. 13.0) program, and to evaluate the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treatment by groups, data were analyzed by paired t-test(a${\leq}$.05) and 2-way ANOVA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and within groups by variables. Results and Conclusion: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 In growth hormone. testosterone and melatonin response after 12 weeks exercise w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walking exercise group(p<.01; p<.001; p<.001). And in result of 2-way ANOVA analysis for group, exercise, group${\times}$exercise, as compared with the exercise,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items. Interaction effect of between group and exercise is difference significantly on GH(F=5.915, p<.05), testosterone(F=15.117, p<.01) and melatonin(F=8.131. p<.01) in all groups. We observed a direct relationship(positive improvement) between the regular physical activity and aging-related hormones(growth hormone, testosterone and melatonin concentrations) in elderly men.

산모의 비만정도에 따른 고위험 질환 발생요인 분석 (Analysis on the Occurrence Factors of High-Risk Diseases of Pregnant Women by the Degree of Obesity)

  • 김수민;예수영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118-124
    • /
    • 2018
  • 임신 중 비만은 다양한 합병증을 증가시키고, 출산 시 여러 가지 문제를 유발한다. 그러나 이러한 비만인 산모가 임신중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요인들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모의 신체질량지수를 이용하여 비만 정도에 따른 고위험 질환의 일곱 가지 발생요인들의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임신 중 정기검진을 받은 산모 279명을 대상으로 산모의 비만정도를 신체질량지수로 분류하고 산모의 신체질량지수와 임신성 고혈압, 임신성 당뇨, 갑상선자극호르몬과의 유의성을 판단하기 위해 차이분석을 실행하였다. 또한 산모의 나이, 신장기능, 총콜레스테롤, 신생아몸무게와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행하였다. 그 결과, 산모의 비만정도가 높을수록 고혈압 산모, 당뇨산모, 이상갑상선수치를 가진 산모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산모의 신체질량지수와 나이, 총콜레스테롤, 신생아몸무게와는 양의 상관관계, 신장기능수치와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위험물질 분류 및 표지에 관한 세계조화시스템 고찰 (The Review of Globally Harmonized System of Classification and Labelling of Chemicals)

  • 권경옥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84-90
    • /
    • 2007
  • UN에서는 위험물의 분류, 표지, 제조, 수송, 저장, 사용과 폐기에 관한 통합된 시스템(GHS, Globally Harmonized System of Classification and Labelling of Chemicals, 화학물질의 분류와 표지에 관한 세계조화시스템)을 구축하고 이 사항을 OECD에 가입한 모든 나라들에게 자국에 도입하여 실시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GHS는 위험물분류와 운송부분에 관하여 물리 화학적 위험성과 급성독성의 분류와 표지사항을 기본으로 출발하였으므로 기존의 UN 시행방법과 큰 차이는 없다. 본 연구에서는 UN에서 권고하고 있는 GHS와 위험물안전관리법의 위험물분류와 위험물표지사항 및 위험물판정시험방법을 비교 검토하였다.

위험물의 분류를 위한 MSDS 이용의 적정성 연구 (The Study of the Compatibility of MSDS for the Classification of Flammable Materials)

  • 권경옥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56-60
    • /
    • 2007
  • 세계적으로 GHS와 REACH의 도입으로 위험물의 위험성평가를 위한 기존의 MSDS 이용이 증가하여 MSDS의 정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n-Decanol의 인화점을 Tag closed tester, Seta-flash closed tester, Pensky-Martens closed tester, Cleveland open tester 기기를 이용하여 국내와 일본에서 각각 측정하였다. 실험은 국내와 일본에서 각각 다른 제조사에서 구입한 시약으로 인화점을 측정하였으며 인화점 값은 국내와 일본에서 유사한 값을 얻었으나 기존의 MSDS와 문헌의 인화점 값과 비교하여 차이가 크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와 일본에서 측정된 시험값의 타당성을 제시하고 제조업체가 MSDS를 작성할 시는 신중을 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GHS와 REACH를 위한 위험물분류시는 신뢰성 있는 기관에서 발행한 레포트를 참고로 할 것을 제시하였다.

Arthroscopic Treatment of Septic Arthritis of the Shoulder: Technical Pearls to Reduce the Rate of Reoperation

  • Kwon, Ji Eun;Park, Ji Soon;Park, Hae Bong;Nam, Kyung Pyo;Seo, Hyuk Jun;Kim, Woo;Lee, Ye Hyun;Jeon, Young Dae;Oh, Joo Han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3권1호
    • /
    • pp.3-10
    • /
    • 2020
  •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clinical experience with arthroscopic debridement for septic arthritis of the shoulder joint and to report on our patient outcomes. Methods: The retrospective analysis included 36 shoulders (male:female, 15:21), contributed by 35 patients (mean age, 63.8 years) treated by arthroscopy for septic arthritis of the shoulder between November 2003 and February 2016.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14.3 months (range, 12-33 months). An additional posterolateral portal and a 70° arthroscope was used to access the posteroinferior glenohumeral (GH) joint and posteroinferior subacromial (SA) space, respectively. Irrigation was performed with a large volume of fluid (25.1±8.1 L). Multiple suction drains (average, 3.3 drains) were inserted into the GH joint and SA space and removed 8.9±4.3 days after surgery. Intravenous antibiotics were administered for 3.9±1.8 weeks after surgery, followed by oral antibiotic treatment for another 3.6±1.9 weeks. Results: Among the 36 shoulders, reoperation was required in two cases (5.6%). The average range of motion achieved was 150.0° for forward flexion and T9 for internal rotation. The mean simple shoulder test score was 7.9±3.6 points. Nineteen shoulders (52.8%) had acupuncture or injection history prior to the infection. Pathogens were identified in 15 shoulders, with Staphylococcus aureus being the most commonly identified pathogen (10/15). Both the GH joint and the SA space were involved in 21 shoulders, while 14 cases involved only the GH joint and one case involved only the SA space. Conclusions: Complete debridement using an additional posterolateral portal and 70° arthroscope, a large volume of irrigation with >20 L of saline, and multiple suction drains may reduce the reoperation rate.

토끼에 대한 천연형인성장호르몬 DA-3002의 국소자극성 (Local Irritation of DA-3002, an Authentic Recombinant Human Growth Hormone, in Rabbits)

  • 김옥진;안병옥;인순복;김원배;양중익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3권1호
    • /
    • pp.63-71
    • /
    • 1995
  • The local irritation studies of DA-3002, an authentic recombinant human growth hormone (rhGH), were carried out in rabbits after the following treatment ; application into the conjunctival sac of the eye (single), single subcutaneous and intramuscular injection, 7-day repeated subcutaneous and intramuscular injection.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In the result of ocular irritation test, 0.16% solution of DA-3002 could be considered as a non-irritating material. In single subcutaneous and intramuscular irritation test, the irritancy of 0.16% DA-3002 solution was not so much different from that of saline. The local irritation of DA-3002 by 7-day repeated injection was negligible and similar to that of saline by both subcutaneous and intramuscular rout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DA-3002 has no irritating activity when injected through subcutaneous or intramuscular route for clinical practice as 0.16% solution.

  • PDF

Bacillus subtilis NC1 유래 cellulase와 xylanase의 특성 규명 및 효소 유전자의 규명 (Characterization of Cellulase and Xylanase from Bacillus subtilis NC1 Isolated from Environmental Soil and Determination of Its Genes)

  • 박창수;강대욱;최낙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912-919
    • /
    • 2012
  • Carboxymethylcellulose (CM-cellulose)와 Beechwood xylan을 각각 기질로 사용하여 trypan blue를 첨가하여 제작한 Agar-LB 배지 상에서 명확한 활성환을 형성하는 균주를 cellulase와 xylanase 생산 균주로 단리하였다. 단리한 균주 유래의 16S rRNA 유전자 및 API 50 kit를 분석한 결과 Bacillus subtilis와 약 99.5%의 높은 상동성을 보였기에 본 균주를 Bacillus subtilis로 동정하여 B. subtilis NC1로 명명하였다. B. subtilis NC1 유래 cellulase와 xylanase는 CM-cellulose와 Beechwood xylan에 대하여 각각 높은 효소 활성을 보였으며, 두 효소 모두 pH 5.0과 $50^{\circ}C$의 조건하에서 가장 높은 효소 활성을 보였다. B. subtilis NC1 균주 유래 cellulase와 xylanase 유전자를 cloning하기 위하여 shot-gun cloning 방법을 이용하여 B. subtilis NC1 염색체 DNA로부터 효소 유전자를 cloning하여 유전자 배열을 규명한 결과 cellulase 유전자는 아미노산 499개를 암호화하는 1,500 bp의 open reading frame (ORF)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아미노산 배열로부터 추정되는 분자량은 55,251 Da 이었다. 그리고, xylanase에 대한 유전자는 아미노산 422개를 암호화하는 1,269 bp의 ORF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유전자 유래 아미노산 배열로부터 추정되는 단백질 분자량은 47,423 Da 이었다. 두 효소의 아미노산 배열을 이용하여 상동성을 검토한 결과 cellulase는 glycoside hydrolase family (GH) 5에 속하는 cellulase와 xylanase는 GH30에 속하는 xylanase와 높은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염분과 저온에 대한 내성증진을 위한 GST 유전자의 과발현 (Increase of Salt and Low Temperature Tolerance by Overexpressing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Gene)

  • Jun Chol Kim;Il Seop Kim;Won Hee Kang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39-143
    • /
    • 2002
  • 목화의 Glutathione S-Transferase(GST) cDNA를 cloning한 뒤 담배식물체에서 과발현시킨 뒤 유전자의 기능을 분석하였다. Northern blot 분석으로 목화의 GST 유전자가 성공적으로 담배식물체의 염색체에 도입된 것을 확인하였다 Type I Type II의 전사체들이 인지되었고 이 보고에서는 Type II 전사체들의 역할을 기술하였다. Type II 전사체들을 발현하는 형질전환 식물체들은 야생형 또는 비형질전환체와 비교하였을 때 약 1.5배 이상의 GST 효소활성을 나타내었다. GST 효소의 활성은 1-chloro-2,4-dinitrobenzene (CDNB)와 글루타치온을 기질로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담배식물체에서 목화 GST CDNA의 과발현은 이 유전자가 기능을 갖는 단백질로 번역이 될 수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형질전환된 담배 유묘를 저온($15^{\circ}C$)과 광이 있는 상태에서 키워 GST유전자의 역할에 대한 기능을 시험하였다. GST 유전자의 형질 전환체들은 대조구의 유묘들과 비교하여 보았을 때 성장이 좋았다. 소금에 대한 내성 시험에서도 효과를 보였다. 0, 50, 100, 150, and 200 mM NaCl농도에서 생장시험을 하였다. 50, 100 mM NaCl농도에서 GST 형질전환 유묘들은 성장이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성을 보였으나 0, 150, 그리고 200mM의 소금농도에서는 성장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성장호르몬 활성화 신발에 대한 운동역학적(지면반력, 최대압력) 평가 및 성장호르몬 분비 효과 검증 (Verification for the Effect of Growth Hormone Promotion and Kinetic Factor Evaluation on Growth Hormone Activated Shoes)

  • 문영진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35-243
    • /
    • 2008
  • 본 연구는 성장호르몬 활성화와 뼈 형성에 효과가 있도록 고안된 성장호르몬 활성화 신발과 일반 런닝화에서의 운동역학적 변인과 성장호르몬 분비에서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 지에 대한 평가 및 검증을 수행하였다. 연구 수행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성장호르몬 활성화 신발이 일반 런닝화에 비해 달리기 시 2km 이내 달리기시 통계적으로 성장호르몬 분비가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둘째, 4km 이내의 걷기 운동에서 청소년기에서는 일반 런닝화보다는 성장호르몬 활성화 신발에서 평균적으로 성장호르몬이 많이 분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장호르몬 활성화 신발은 걷기동작에서는 일반 런닝화보다 더 큰 부하를 신체에 전이시키고, 달리기에서는 일반 런닝화 보다 더 큰 충격량을 신체에 전달하고, 동시에 신체 일부분에 집중되는 부하를 분산시키고 작은 부하율을 통한 부상 발생원인을 제거함으로써 부상 없이 몸에 자극을 크게 전달, 성장호르몬 분비를 활성화 시킬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