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C 함량

검색결과 677건 처리시간 0.021초

옻칠의 건조속도 향상을 위한 효소첨가제 적용 연구 (A Study on Application of Enzyme Additives to Improve Drying Speed of Urushi Lacquer)

  • PARK, Ji Hyeon;PARK, Jung Hae;KIM, Soo Chul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3호
    • /
    • pp.326-344
    • /
    • 2020
  • 옻칠의 건조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Laccase를 적용하여 효소첨가제로써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옻칠의 Laccase와 부후균의 Laccase를 적용한 경우 국내산과 중국산 모두 건조시간이 단축되었다. Laccase를 적용한 시험편 모두 건조시작 60분 안에 지촉건조가 이루어졌으며, Laccase의 함량비율이 높아질수록 건조속도가 향상되었다. 또한 국내산 옻칠과 중국산 옻칠의 경화건조시간의 차이는 있지만 온도 20 ± 2 ℃, 습도 55-60 %의 상온에서도 경화건조가 이루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건조된 시험편의 도막분석 결과, 우루시올 대비 Laccase 함량비율이 5:1일 때 건조속도가 향상되었으며, 색차와 밀착력의 차이가 없고 도막이 안정적임을 확인하였다. Laccase를 적용한 경우 국내산과 중국산 옻칠의 광택도가 모두 감소되는 양상이 관찰되었으나 이외 FT-IR과 Py-GC/MS의 분석결과 물성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의 성분변화는 나타나지 않아 첨가제로써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국내 산지별 마늘의 향기성분 및 항균활성 (Aroma Compounds and Antimicrobial Effect of Garlic from Different Areas in Korea)

  • 신정혜;김라정;이수정;강민정;서종권;성낙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99-207
    • /
    • 2011
  • 마늘의 산지별 품질특성 비교에 대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국내의 한지형 및 난지형 마늘 주산지로부터 수집된 마늘 및 중국산 마늘의 물리적 특성, 향기성분과 항균활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마늘 구의 폭은 난지형 마늘이 50mm 이상으로 한지형 마늘에 비하여 넓었으며 평균 인편수도 난지형 마늘에서 6.38~9.31개로 더 많았다. 마늘의 표면색 중 L값은 80.73~87.40의 범위였으며, a값은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b값은 남해산과 무안산에서 가장 낮아 각각 $20.97{\pm}1.20$$20.91{\pm}1.62$였으며, 제주산이 $26.38{\pm}2.08$로 가장 높았다. 마늘의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총 25~30개의 피크를 얻었으며, 이 중 GC-MS로 17종의 화합물을 동정할 수 있었고, 동정된 화합물 중 황화합물이 15종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마늘의 향기성분을 총 피크면적비로 계산한 결과 diallyl disulfide는 검출된 총 화합물 중 34.90~60.54%로써 타성분에 비해 월등히 높은 함량이었는데 중국산에서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무안산에서 그 함량이 가장 낮았다. 다음으로 diallyl trisulfide가 17.55~38.72%였다. Strep. mutans, B. subtilis, E. coti, V. parahaemolyticus, Asp. flavus, C. albicans에 대해 항균활성을 실험한 결과 모든 마늘 시료에서 E. coli와 C. albicans에 대해 비교적 활성이 높았으며, 전체적으로 활성이 높았던 태안, 제주 및 남해마늘을 농도별로 가하여 항균활성을 실험한 결과 시료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항균활성도 증가하였으며, 남해산 마늘에서 가장 항균활성이 높았다.

장기저장에 따른 착즙 유자 과즙의 품질 평가 (Quality Evaluation of Extracted Citron Juice by Long Term Storage)

  • 이경미;이미순;황진봉;정진웅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45-150
    • /
    • 1997
  • 본 연구는 유자과즙과 유자를 이용한 제품개발시 기초자료로서의 활용을 목적으로, 생유자를 벨트식 착즙법9)으로 착즙한 유자 과즙(Sample I)과 이를 5$^{\circ}C$에서 1년간 저장한 유자 과즙(Sample II)의 품질특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 Sample II는 Sample I에 비하여 수분은 3% 정도의 증가를 보였고, soluble solid가 1$^{\circ}$brix 이상 감소되었다. pH는 2.68에서 2.84로 증가하면서 산도가 5.83에서 5.23으로 감소되었다. 비타민 C는 50% 이상 감소하였고, 총아민산 및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약 20~30% 정도의 감소를 보였으나, 그 밖의 일반성분들과 유리당, 지방산 및 총아미노산 함량의 감소는 0.1~1.0% 정도로 변화 정도가 미미하였다. 그리고, Sample I과 II의 향기성분을 gas chromatograpy로 비교 분석한 결과, 분리된 peak의 수는 70여 개인데, mass spectrometer로 확인할 수 있는 성분은 13개에 불과하였고, 주된 향기성분은 탄화수소류로 limonene, terpinene, terpineol, terpinolene 등이다. 1년간 저장함에 따라서 향기성분은 약 30~50% 정도 감소되고, 미량 함유되어 있던 성분들은 거의 소실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Sample I 및 II로 10% 희석음료로 제조하여 관능검사한 결과 당배합비 및 저장기간에 따른 유의차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 PDF

모과의 비휘발성 Flavor 성분에 관한 연구 (Non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Chinese Quince Fruits, Chaenomeles sinensis koehne)

  • 정태영;조대선;송재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93-302
    • /
    • 1988
  • 본 연구는 모과의 비휘발성 성분에 과한 조성을 규명하기 위한 기초 연구 과제로써 행하여졌다. 주요 비휘발성 성분은 유리 아미노산의 경우 valine, asparagin ${\gamma}-aminobutyric\;acid$, aspartic acid 와 serine 이 전체의 72%를 차지하고 arginine, tyrosine, methionine과 tryptophan은 거의 검출되지 않아다. Peptide 구성 아미노산으로는 주로 glutamic acid와 glutamine이었으며 cysteic acid, methione sulfone과 tryptophan은 검출되지 않았다. 핵산관련 물질의 분석 결과 cytosine, UMP, CMP는 소량 존재하셨으며 GMP, IMP, AMP는 검출되지 않았다. 당 분석결과 주성분은 glucose, sorbose, sucrose, fructose였으며 fructose 함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GC 및 GC-MS방법에 의해 총 11성분의 유기산이 동정 되었으며 이들중 tartaric acid및 ${\alpha}-ketoglutaric\;acid$가 주성분이었다. 정량된 총 비타민 C 함량은 386.6 mg%였으며 ascorbic-acid dehydroascorbic acid와 2,3-diketo-L-gulonic acid는 각각 28.8mg%, 154.5mg%, 197.3mg%였다. 무기성분으로는 칼슘과 인이 주요 성분으로 나타났으며 카드뮴, 구리, 납은 소량 존재하였다. 모과의 천연 및 합성 extract에 대한 관능검사의 결과 유리형, 아미노산, 당, 유기산, 비타민 C및 무기질의 맛의 주성분으로 판명되었다. 따라서 모과의 향미 성분 중 비휘발성 성분은 주로 상기 다섯 그룹에 의해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 PDF

고기구이 스모크에서 채취한 PM10입자에서 콜레스테롤, 지방산과 PAH의 분포 (Determination of Cholesterol, Fatty Acids and Polyaromatic Hydrocarbons in PM10 Particles Collected from Meat Charbroiling)

  • 서영화;고광윤;장영기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55-164
    • /
    • 2010
  • 고기구이 스모크와 같은 바이오매스 소각에서 발생하는 스모크는 도시의 미세먼지중 유기성 탄소물질을 구성하는 주요 오염원이다. 미세먼지의 오염원 기여도를 산출하기 위한 화학수지모델(Chemical Mass Balance:CMB)에서는 배출원 오염물분포자료(Source Profile)가 필수이다. 바이오매스를 비롯한 고기구이 스모크의 오염물분포자료를 작성하기 위하여 유기성 지표물질들을 분석하였다. 고기구이에서 발생한 스모크를 PM10 채취기로 채취하여 용매추출, 유도체화반응, 중수소가 함유된 표준물질을 투입하여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GC/MS)로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인산과 같은 지방산과 콜레스테롤,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를 측정하였으며, 동시에 PM10 필터시료의 유기성(OC) 및 원소성 탄소(EC)를 OCEC 분석기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쇠고기구이 스모크로부터 채취한 PM10시료의 OC에서 콜레스테롤, 총포화지방산,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은 0.056 wt%, 2.727 wt%, 0.278 wt%이며, 돼지고기 구이 스모크로부터 채취한 PM10시료의 OC에서는 0.062 wt%, 2.022 wt%, 0.438 wt%를 차지하고 있었다. 쇠고기와 돼지고기 구이 스모크 OC에서 총 PAH화합물의 함량은 0.116 wt%와 0.044 wt% 이었는데, 그중에 단일 화합물로서 benzo(a)pyrene은 0.0071 wt%와 0.0023 wt%이었다. 콜레스테롤을 기준으로 각 지표물질의 무게 비율은 외국에서 발표된 고기구이 배출원 오염물분포자료와 거의 일치하여 유기성 에어로솔의 오염원 기여도를 산출하는 배출원 오염물분포자료로서 사용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진두발, 김 및 굴의 지질에 있어서 광증감 산화에 관한 연구 (Studies on Photosensitized Oxidation in the Lipids of Irish moss, Laver and Oyster)

  • 김귀식;소천천추;배태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55-360
    • /
    • 1997
  • 김, 미역, 다시마, 톳 등의 해조류는 chlorophyll을 다량 함유하고 있고 굴은 소화관 내에는 미분해의 chlorophyll이 축적되어 있다. chlorophyll은 일중항 산소에 의한 광증감 산화를 촉매 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홍조류인 김과 진두발의 천일건조 및 굴의 자외선 조사시 광증감 산화가 지질산화에 어느정도 기여하는가를 밝히기 위해 광증감 산화 시킨시료의 총 지질의 과산화물가를 비교, 검토 하였고 과산화물의 위치이성체의 조성을 측정하였다. 굴의 총 지질 함량은 $2.7\%$였고, 또한 진두 발과 김의 총 지질 함량은 각각 $0.1\%$였다. 굴의 과산화물가는 생시료의 경우 56.7 meq/kg 이던 것이 4시간동안 자외선 조사 후에는 100.9 meq/kg으로 증가하였다. 진두발의 경우 원조의 140.2 meq/kg에서 3일간 천일건조후에는 213.4 meq/kg으로 증가 하였고, 김은 원조의 63.3 meq/kg에서 3일간 천일건조후에는 118.8 meq/kg으로 증가하여 산화가 진행되었음을 예측할수 있었다. 각 시료의 광증감 산화에 의해 생성한 과산화물의 위치 이성체의 조성을 GC-MS로 측정 한 결과 18:1 (n-9)와 18:2 (n-6)로부터 생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위치 이성체를 분리하였다. 또한 9-OOH와 13-OOH의 비율이 비교적 높았으나 18:1(n-9)와 18:2(n-6)이외의 지방산으로부터 생성될 것으로 추정되는 위치이성체는 분리 확인할수 없었다.

  • PDF

동결건조에 의한 양파의 휘발성 향기성분의 변화 (Changes of Volatile Odor Components in Onion by Freeze-drying)

  • 김준형;서혜영;노기미;한병재;이성진;서유석;김경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30-235
    • /
    • 2005
  • SDE추출방법과 GC/MS 분석에 의하여 동결건조한 양파의 휘발성 유기정분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생양파와 동결건조양파에서 각각40와31종의 화합물이 확인되었으며, 이들은 ester류, aldehyde류, ketone류, alcohol류, 함황화합물류이었다. 함황화함물류들이 생양파와 동결건조 양파에서 주요 화합물로 가장 많은 함량을 차지하였고, 이 중 1-propanethiol과 dipropyl trisulfide, methyl propyl tirsulfide, dimethyl trisulfide는 생양파와 동결건조 양파에서 모두 다량 확인되었다. 생 양파에서 주요 성분으로 확인되었던 1-propanethiol, dipropyl trisulfide는 동결건조 양파에서 매우 감소되었고, methyl propyl trisulfide, methyl propyl disulfide 역시 같은 경향을 보였다. Methyl allyl sulfide, propyl ally sulfide, dially disulfide그리고 3,5-diethyl-1,2,4-trithiolane등의 함황화합물과 propanol, pentanol, hexanol 등의 alcohol류 등은 생양파에서 확인되었으나 동결건조 양파에서 확인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양파의 건조과정 중 특징적인 휘발성 유기성분의 구성변화와 특성의 손실 그리고 효소 불활정화로 인한 휘발성 성분의 불완전한 생성 등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동결건조 양파에서 ethyl acetate, dimethyl disulfide와 2-methyl-2-pentenal은 생 양파에서보다 그 함량이 증가되었고, (Z)-propenyl methyl disulfide와 (E)-propenyl methyl disulfide 또한 동결건조 양파에서 증가되어 짐을 확인하였다.

해조류 및 흡착제의 첨가가 양파즙의 냄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aweeds and Adsorbents on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Onion Juice)

  • 기해진;박양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477-1483
    • /
    • 1999
  • 양파의 향기성분을 보존 또는 제거할 목적으로 양파냄새를 masking하거나 제거하는 물질을 양파즙에 처리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하였고, pyruvate와 thiosulfinate를 측정하였으며 Solid Phase Micro Extraction(SPME)/GC법을 이용하여 휘발성 향기성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생양파즙의 주요 향기성분은 dipropyl tetrasulfide, 1-propenyl propyl trisulfide, methyl propyl trisulfide, dipropyl trisulfide 등이었다. 다시마, 미역, 김, 규조토를 첨가한 양파즙의 휘발성 향기성분은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모든 향기성분이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활성탄과 ${\beta}-cyclodextrin$ 첨가군은 거의 모든 향기성분이 제거되었다. 여러 가지 첨가물의 농도를 달리하여 양파즙에 첨가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양파 냄새는 감소하였으며 p<0.05 수준에서 유의적으로 차이가 나타났다. 해조류를 첨가한 군의 pyruvate와 thiosulfinate 함량은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으나 활성탄을 첨가한 양파즙의 경우, 그 함량이 크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 다시마, 미역, 김 등의 해조류 처리군은 양파의 향기성분과 매운맛 성분을 보존하면서 관능적으로 양파냄새를 masking하는 효과를 나타내었고, ${\beta}-cyclodextrin$과 활성탄은 양파에 존재하는 많은 휘발성 향기성분과 복합물을 형성하거나 홉착하여 양파냄새를 제거한 것으로 사료되어 진다.

  • PDF

초피 과피의 성숙정도에 따른 향기성분의 변화 (Changes of Volatile Compounds in the Pericarp of Chopi (Zanthoxylum piperitum DC.) During Maturation)

  • 최영환;이영근;김근기;신동수;안철진;주우홍;강점순;손길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06-213
    • /
    • 2003
  • 초피의 성숙과정중 향기성분을 조사하고자, 경상남도 밀양시 제약산 일대에서 2001년 6월 2일, 7월 14일 및 9월 11일에 채취한 초피 과피의 향기성분을 CC-MS로 분석한 결과, 6월 2일에는 52종, 7월 14일에는 47종 및 9월 11일에는 44종이 확인되었다. 각각의 채취시기에 대한 구성성분의 종류를 비교하면 terpene류는 6월 2일과 7월 14일에는 myrcene, ${\gamma}$-terpinene, $\alpha$-terpinolene, $\alpha$-phellandrene, $\beta$-caryophyllene 등 8종이 검출되었으나, 9월 11일에는 $\alpha$-phellandrene과 $\beta$-raryophyllene이 검출되지 않았다. Alcohol류는 6월 2일 채취시에는 linalool L, citronellol 등 13종이, 7월 14일과 9월 11일에는 cis-linalool oxide와 piperitol isomer가 추가되어 15종이 검출되었다. Aldyhyde류는 채취시기에 관계없이 citronellal 등 3종이 검출되었으나, 9월 11일에는 citronellal의 함량이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ketone류도 cryptone, piperitone 등 5종이 검출되었는데 구성성분의 종류는 채취시기에 관계없이 동일하였으나, 함량의 차이는 있었다. Ester류는 6월 2일에 채취하였을 경우에는 lavandulyl acetate, $\alpha$-terpinenyl acetate 등 6종이 검출되었으나, 7월 14일과 9월 11일에 채취한 과피에서는 [(E)-6,7-ephoxy-3,7-dimethyl-2-octenyl]ester of acetic acid 가 새로이 검출되어 7종이었다. Hyrocarbon류는 $\delta$-cadinene, neopentylideneclohexane 등 7종이었는데, 7월 14일과 9월 11일에는 $\alpha$-muurolene이 추가되어 8종이 검출되었다 초피 과피의 향기성분은 채취시기에 따라서 구성성분의 종류는 물론 농도의 변화가 현저하였다.

경립종 옥수수의 성장과정에 따른 지질변화 I. 비극성 지질에 대한 연구 (Changes of Lipids in Flint Corn by a Growth Process I. A Study on the Non-Polar Lipid)

  • 김덕진;전영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67-472
    • /
    • 1991
  • 본 논문은 외측이 단단한 초자질 성분으로 둘러 싸여 충해를 받지 않고 저장이 용이하며, 대부분 식용하고 있는 경립종 옥수수(flint corn)를 파종하여 성장과정에 따른 지질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Pollen의 접합후 줄기와 잎 사이로 어린 순이 돌출한 후 부터 A(15), B(20), C(25), D(30) 일의 4단계로 구분, 채취하여 각각의 일반 성분을 조사했으며, chloroform : methanol(2 : 1, v/v)로 지질 성분을 추출한 후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로 비극성 지질과 극성 지질을 분획한 다음, TLC, GC로 비극성 지질의 조성함량 및 지방산 조성을 분석, 정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일반성분 중 조지방은 2.74%에서 4.43%로 증가를 보였으며 분획된 지질 중 중성지질은 48.5%에서 86.02%로, 인지질은 1.01%에서 2.73%로 증가를 나타냈으나, 당지질은 1.01%에서 2.73%로 증가를 나타났으나, 당지질은 50.4%에서 11.25%로 큰 감소를 나타냈다. 지질 성분은 중성 지질에서는 monoglyceride, 1, 3-diglyceride, free fatty acid, triglyceride, cholesteryl ester가 분리.동정되었으며, 그 함량순은 cholesteryl ester(58.5~63.6%), triglyceride(16.7~21.5%), 1, 3-diglyceride monoglyceride(1.1~3.7%) 그리고 free fatty acid(2.3~4.2%)로 나타났으며 각 지방질 분획 중 중성 지질의 주요 지방산 조성은 linoleic(48.9~61.0%), oleic(22.3~34.2%), palmitic(10.3~11.7%) acids였으며, 그의 stearic, linolenic acids 등이 미량 검출되었고, 불포화 지방산과 포화 지방산의 비는 5.87~6.34%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경립종 옥수수의 물리.화학적 특성 중 비중은 0.920, 굴절률은 1.468, 비누화값은 191.2, 비비누화물은 0.97%, 산값은 0.58, 요오드값은 124.6을 나타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