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두발, 김 및 굴의 지질에 있어서 광증감 산화에 관한 연구

Studies on Photosensitized Oxidation in the Lipids of Irish moss, Laver and Oyster

  • 김귀식 (여수수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 소천천추 (동경수산대학 식품생산학과) ;
  • 배태진 (여수수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KIM Kui-Shik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Yosu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
  • KOIZUMI Chiaki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The Tokyo University of Fisheries) ;
  • BAE Tae-Jin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Yosu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 발행 : 1997.05.01

초록

김, 미역, 다시마, 톳 등의 해조류는 chlorophyll을 다량 함유하고 있고 굴은 소화관 내에는 미분해의 chlorophyll이 축적되어 있다. chlorophyll은 일중항 산소에 의한 광증감 산화를 촉매 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홍조류인 김과 진두발의 천일건조 및 굴의 자외선 조사시 광증감 산화가 지질산화에 어느정도 기여하는가를 밝히기 위해 광증감 산화 시킨시료의 총 지질의 과산화물가를 비교, 검토 하였고 과산화물의 위치이성체의 조성을 측정하였다. 굴의 총 지질 함량은 $2.7\%$였고, 또한 진두 발과 김의 총 지질 함량은 각각 $0.1\%$였다. 굴의 과산화물가는 생시료의 경우 56.7 meq/kg 이던 것이 4시간동안 자외선 조사 후에는 100.9 meq/kg으로 증가하였다. 진두발의 경우 원조의 140.2 meq/kg에서 3일간 천일건조후에는 213.4 meq/kg으로 증가 하였고, 김은 원조의 63.3 meq/kg에서 3일간 천일건조후에는 118.8 meq/kg으로 증가하여 산화가 진행되었음을 예측할수 있었다. 각 시료의 광증감 산화에 의해 생성한 과산화물의 위치 이성체의 조성을 GC-MS로 측정 한 결과 18:1 (n-9)와 18:2 (n-6)로부터 생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위치 이성체를 분리하였다. 또한 9-OOH와 13-OOH의 비율이 비교적 높았으나 18:1(n-9)와 18:2(n-6)이외의 지방산으로부터 생성될 것으로 추정되는 위치이성체는 분리 확인할수 없었다.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hotosensitized oxidation in the sun-dried irish moss (Chondrus Ocellatus), laver (Porphyra Yezoensis) and ultra violet irradiated oyster (Crassostrea gigas) the oxidation of lipid and isomers of hydroperoxides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The lipid contents of oyster, irish moss and layer were $2.7\%,\;0.1\%,\;0.1\%$ of respectively. Peroxide value, 56,7 meq/kg in the raw oyster was increased of 100.9 meq/kg by the U.V, irradiation for 4 hours. Also the peroxide values of the irish moss and laver were increased by the sun-drying. In the identification of hydroperoxides isomers by trimethylsily (TMS) derivative of photo-oxidized lipid from oyster, irish moss and laver, the proportions of positional isomer, 9-OOH and 13-OOH were dominant than those 10-OOH and 12-OOH.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