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C 함량

검색결과 677건 처리시간 0.024초

한국인 상용 가공식품의 trans 지방산 이성체 (Trans Fatty Acid Isomers of Processed Foods Commonly Consumed in Korea)

  • 노경희;원미숙;송영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25-337
    • /
    • 2003
  • 한국인의 상용 가공식품 중 tram 지방산 함량이 많고 섭취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41종을 선정하여, trans 지방산 이성체의 종류 및 함량을 GC/M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HP-23 cis/trans FAME capillary column을 사용하였으며, 검출된 peak의 동정은 GC/MS spectrum을 검색하여 동일분자량 여부로 확인하였다. 마가린류는 trans 지방산 함량이 지방 100g당 4.75~25.21g으로 다양한 수준을 보였다. 마가린의 주요 trans 지방산 이성 체는 C18:1 $\Delta$9t로 모든 마가린에서 검출되었으며 1.10~14.53%의 범위였다. C18:2t의 총 함량은 2.02~7.91%의 범위로 다양하였으며, C18:3t는 0.33~l.39%의 수준이었다. 유지류의 trans 지방산 함량은 지방 100g당 5.40~16.558의 범위였으며, 대두유에서는 Cl8:1$\Delta$9t가 0.95%로 가장 높았으나, 옥수수유에서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쇼트닝은 3.1~5.1%로 1.6~4.3%인 라드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우유 및 유제품에서는 C16:1 $\Delta$9t, C18:1 $\Delta$9t, C18:2t 및 C18:3t가 골고루 분포되어 있었다. 양념류인 마요네즈에서는 C16:1$\Delta$9t가 확인되지 않았으나 4.93%의 trans 지방산이 검출되었다. 과자류 중 trans 지방산 함량이 현저하게 높은 팝콘(48%)에서 C16:l$\Delta$9t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C18:1$\Delta$9t는 36%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빵류에서는 C18:1 $\Delta$9t가 trans 지방산 이성 체중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냉동피자의 C18:1 $\Delta$9t 함량은 30%를 초과하는 높은 함량을 보였다. 슈크림 빵은 높은 C18:2t 함량을 보였으며(8.26%), 불고기버거와 피쉬버거의 C18:2t trans 지방산 함량은 3.26%와 3.34%로 비슷한 수준이었다. 육가공품 및 튀김류 중 냉동 닭튀김과 냉동 감자튀김의 trans 지방산 함량이 15%~l9%의 수준으로 높았으며, C18:1$\Delta$9t과 C18:2t가 그 주된 성분이었다. 돼지고기구이 (목살)에서는 C18:1$\Delta$9t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냉동감자튀김에서는 C16:1 $\Delta$9t이 검출되지 않았다. 1회 분량 당 trans지방산 함량이 높은 식품은 팝콘, 냉동피자, 감자튀김과 닭튀김, 빵류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건조 온도에 따른 마늘의 휘발성 함황성분의 변화 (Changes in Volatile Sulfur Compounds of Garlic (Allium sativum L.) under Various Drying Temperatures)

  • 정신교;석호문;최종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679-682
    • /
    • 1994
  • 마늘외 휘발성 함황성분을 용매추출 및 수증기 증류법에 의하여 추출하여 GC와 GC/MS에 의하여 분리 통정하고 건조온도에 따른 이들의 함량 변화틀 조사하였다. 핵산 추출물에서 8종, 수중기증류물에서 11종의 향기성분을 동정하였으며 이들 중 diallyl disulfide와 diallyl trisulfide, allyl methyl trisulfide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건조온도가 중가함에 따라 마늘외 휘발성 함황성분은 핵산 추출물에서 $40{\sim}75%$까지 감소하였고 수중기 증류물에서는 $10{\sim}20%$ 정도 감소하였다. 휘발성 함황화합물중 diallyl disulfide, allyl methyl trisulfide의 함량은 크게감소한 반면 diallyl trisulfide의 함량은 비교적 적게 감소하였다.

  • PDF

신고 배 저온 저장 중 발생하는 과피 흑변에 관여하는 주요 대사체 (Major Metabolites Involved in Skin Blackening of 'Niitaka' Pear Stored under Cold Temperature)

  • 이은진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3호
    • /
    • pp.359-365
    • /
    • 2014
  • 본 연구는 신고 배 저온 저장 중 발생하는 과피 흑변에 관여하는 주요 대사체를 untargeted GC-MS 그리고 targeted HPLC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GC-MS 분석 결과 아미노산, 유기산, 당 관련 총 40개의 대사체를 정성할 수 있었고 건전과는 과피흑변과에 비해서 전반적으로 높은 대사체 함량을 보였다. 특히 serine, malic acid, succinic acid가 건전과에서 높게 나타난 반면 과피 흑변과에서는 threonine, fumaric acid, gluconic acid 함량이 높았다. 개개의 phenolic compounds 분석 결과 건전과에서 높은 phenolic compounds 함량을 보였다. 또한 항산화 능력과 깊은 관련이 있는 ascorbic acid가 과피 흑변과에서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세포 내 비정상적인 호흡 및 에너지 대사과정, 항산화 능력 결여가 신고 배 과피 흑변에 관여하는 주요 대사 과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청갓 김치의 휘발성 성분과 발효 숙성시의 변화 (Volatile Compounds of Mustard Leaf (Brassica juncea) Kimchi and Their Changes during Fermentation)

  • 표영희;김정수;한영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56-61
    • /
    • 2000
  • 청갓으로 만든 갓김치의 휘발성 화합물의 종류를 GC/FID와 GC/MSD를 사용하여 분리 동정하고, 발효 숙성 중 isothiocyanates와 그 유도체함량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청갓 김치의 수증기 증류물로부터 14종의 휘발성화합물을 분리, 동정하였으며 그 중 hexadecanoic acid를 비롯한 acid와 nitromethane등의 hydrocarbons류가 전체의 63%이상을 차지하였다. 갓의 특징적인 자극성 성분으로 알려진 isothiocyanates와 유도체들의 함량은 전체화합물의 30%로, 2-phenylethyl isothiocyanate가 주요성분이었고, 그밖에 benzothiazole 2-methylbenzothiazole, 2-(3H)-benzothiazolone 등이 동정되었다. 청갓 김치의 발효숙성 중 isothiocyanates와 그 유도체들의 상대적 함량 변화는 저장4일 이후부터 뚜렷하게 감소되었으며, 그 중 2-phenylethyl isothiocyanate경우 저장 7일째에 50%이상, 저장 14일째에는 80%이상 소실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Vitis vinifera 적포도주 휘발성분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Volatile Compounds from Red Wine Manufactured with Vitis vinifera grapes)

  • 이용수;최진상;심기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96-201
    • /
    • 1993
  • Vitis vinifera 적포도주의 화학성분, 고급 알콜, esters 및 휘발성분 등을 측정하기 위하여 HPLC, GC및 GC-MS등의 기기를 이용하였다. 포도주의 저장 숙성중에는 산류의 변화가 많았는데, 특히 tartaric acid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Total phenolics와 phenol flavonoid의 함량은 Malbec 품종으로 제조한 포도주가 각각 470mg/L과 245mg/L로서 Cabernet sauvignon (310mg/L, 135mg/L)과 Cabernet franc (425mg/L, 125mg/L) 포도주보다 많았고, nonfalvonoid의 함량은 Cabernet franc 포도주가 300mg/L로서 Malbec (225mg/L)과 Cabernet sauvignon (175mg/L) 포도주보다 많았다. Acetaldehyde 함량은 Cabernet sauvignon (26mg/L)과 Cabernet franc (28mg/L에 비하여 Malter(33mg/L) 포도주에서 많았다. Methyl alcohol, propanol 및 isoamyl alcohol은 다른 두 포도주에 비하여 Cabernet sauvignon 포도주에서 많았고, isobutanol은 Malbec 포도주가 64mg/L이었으며, ethylacetate는 Cabernet franc 포도주가 35mg/L로서 Malbec (28mg/L)과 Cabernet sauvignon (23mg/L) 보다 많았다. 세품종(Cabernet sauvignon, Cabernet franc, 및 Malbec)의 포도주 농축물로부터 GC를 이용하여 87~91여종의 휘발성분을 분리하였고, 그 중 terpine-4-ol을 비롯한 35종을 GC-MS를 사용하여 동정하였다.

  • PDF

한국산 적포도주의 색도 변화에 관한 연구 (II) (Study on the Color Characteristics of Korean Red)

  • 이장은;신용섭;심준기;김성수;고경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64-169
    • /
    • 2002
  • 국내산 포도품종을 이용하여 5가지 포도주 G(거봉100%), M(머루100%), C(캠벨100%), GM(거봉70%+캠벨30%), GC(거봉70%+캠벨30%)를 제조하여, 발효 과정 및 저장 중 포도주의 색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각 포도주의 총 페놀함량은 G는 712.6 mg/L, M은 3,472.9 mg/L, C는 2,209.4 mg/L, GM은 2,019.4 mg/L, GC는 1,184.5 mg/L이었으며, 각품종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01). 총 페놀함량과 L, a, b value간에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은 반면, hue와 intensity는 총 페놀함량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총 페놀함량, hue, intensity는 각 포도 품종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1, p<0.001). Hue는 총 페놀함량과 음의 상관관계$(r^2=0.8660,\;p<0.0001)$를, intensity는 양의 상관관계$(r^2=0.8304,\;p<0.0001)$를 가졌다. 이상의 결과로, 적포도주의 총 페놀함량은 다음과 같은 간단한 방정식에 의해 구할 수 있을 것이다. $$Y_{Total\;phenolic\;content(mg/L)}=3319.3-X_{Hue}/2208.36,$$ $$Y_{Total\;phenolic\;content(mg/L)}=1230.97-X_{intensity}/98.93$$

국내산 마늘의 향미성분 (Flavor Composition of Garlic from Different Area)

  • 신동빈;석호문;김지현;이영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93-300
    • /
    • 1999
  • 산지별 마늘의 향미성분으로서 향기, 유리당, 유리아미노산 및 유기산 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마늘의 향기성분을 GC로 분리한 결과 28개의 피크를 얻었고 이중 GC/MS를 이용하여 25종의 화합물을 동정할 수 있었다. 향기성분을 총피크면적을 기준으로 할 때 서산산이 가장 높았으며 함평산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늘의 주요 향기성분으로 알려진 황화합물에 있어서는 남해산, 서산산 및 의성산 사이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온 크로마토그래피로 유리당을 분석한 결과 glucose, fructose, sucrose 이외에 fructooligosaccharide인 1-kestose, 1-nystose, 1-f-fructosyl nystose가 비교적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서산마늘은 1-nystose, 1-F-fructosyl nystose함량이 높았다.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2036.1{\sim}2704.0mg%$ (건조물기준)정도 함유되어 있었으며, 한지계마늘인 의성마늘과 서산마늘이 남해 및 함평산 마늘 보다 유리아미노산 함량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기산 분석 결과 마늘중에는 citric acid, pyruvic acid, malic acid, lactic acid, pyroglutamic acid, succinic acid, oxalic acid, malonic acid, levulinic acid 및 fumaric acid가 존재하였고 이들 유기산의 총함량은 건조마늘 100g당 $1905.7{\sim}2359.2mg$이 함유되어 있었다. 함평산 마늘은 다른 지역의 마늘 보다 유기산 함량이 비교적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쇠고기와 닭고기로부터 방사선 조사에 의해 유도된 2-Alkylcyclobutanone류의 정량적 비교 분석 (Quantitative Comparison of Radiation-induced 2-Alkylcyclobutanones from Irradiated Beef and Chicken)

  • 김경수;김은아;이해정;박은령;양재승;변명우;김선민;이명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495-1502
    • /
    • 1999
  • 쇠고기와 닭고기를 방사선 조사시켜 생성된 2-alkylcyclobutanone류의 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지방은 n-pentane과 isopropanol 혼합용매(3 : 2, v/v)를 사용하여 추출한 뒤 florisil로 충진한 column을 이용하여 2-alkylcyclobutanone류를 분리하였으며, GC-FID 및 GC/MS 분석으로 성분을 확인하였다. $0.5{\sim}10\;kGy$ 선량범위로 조사된 쇠고기와 닭고기에서 생성된 각각의 2-alkylcyclobutanone류 함량은 조사선량에 따라 비례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동일선량으로 조사된 각 시료의 2-alkylecyclobutanone류 함량은 각각 다르게 정량되었다. Palmitic acid로부터 유도된 2-dodecylcyclobutanone은 쇠고기와 닭고기에서 비슷한 함량을 보였다. Stearic acid로부터 유도된 2-tetradecylcyclobutanone은 쇠고기가 닭고기보다 높은 함량이 나타났으며, 방사선 조사에 의해 유도된 2-alkylcyclobutanone류 중 가장 많이 생성된 2-(5'-tetradecenyl)cyclobutanone 또한 쇠고기가 닭고기보다 높게 나타났다. 각 시료별 조사선량에 따라 생성된 2-alkylcyclobutanone류는 1 kGy 이상 조사된 모든 시료에서 명확하게 검출할 수 있었으며, 6개월 동안의 저장기간 중에 함량 변화를 거의 보이지 않았다.

  • PDF

GC-MS 분석에 의한 고추 품종별 및 시판고춧가루의 capsaicin 및 dihydrocapsaicin 함량조사 (Determination of Capsaicin and Dihydrocapsaicin in Various Species of Red Peppers and Their Powdered Products in Market by GC-MS Analysis)

  • 유종옥;최원석;이웅수
    • 산업식품공학
    • /
    • 제13권1호
    • /
    • pp.38-4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GC-MS를 이용하여 괴산군 지역에서 생산되고 있는 각종 고추에 대해 품종별로 capsaicin 및 dihydrocapsaicin의 함량을 조사하였고, 괴산청결고추조합에서 생산하여 시판되고 있는 고춧가루에 대해서도 매운맛 등급별 capsaicin과 dihydrocapsaicin의 함량을 조사하여, 고춧가루의 매운 정도를 capsaicin의 함량으로 표시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고추의 품종별 capsaicin의 함량은 청양이 123.62 mg%, 한반도는 95.97 mg%, 건초왕은 84.00 mg%, 우리건은 70.62 mg%, 금빛은 55.36 mg%, 무한질주은 45.19 mg%, 독야청청은 43.98 mg%, PR대촌은 38.92 mg%, 대박나는 31.63 mg%, 신세계는 29.82 mg%, 장수왕은 28.23 mg%, 오광은 34.42 mg%, 대통은 25.18 mg%였으며, 시판 고춧가루제품의 경우 아주매운맛 등급이 101.98 mg%, 매운맛이 67.63 mg%, 보통맛이 37.74 mg%, 순한맛이 14.73 mg%이었다. 본 실험결과 및 아주매운맛, 매운맛, 보통맛, 순한맛의 4등급으로 분류되어 현재 시판되고 있는 매운맛 등급을 참고하여, capsaicin 함량에 따른 매운맛의 등급별 분류를 7등급으로 제시하였다. 즉 매운맛 1등급은 120 mg%이상, 2등급은 100~120 mg%, 3등급은 80-100 mg%, 4등급은 60-80 mg%, 5등급은 40-60 mg%, 6등급은 20-40 mg%, 7등급은 20 mg%이하로 분류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고춧가루를 이용해서 만드는 김치, 고추장, 양념소스류 등의 가공식품제조 시 문제되는 매운맛의 비객관적, 불균일성을 개선하며 재현성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서양 허브식물의 화학성분 (Chemical Composition of Several Herb Plants)

  • 오문헌;황혜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6
    • /
    • 2003
  • 한국에서 재배된 허브식물(로즈마리, 라벤더, 민트, 세이지, 타임)의 일반 성분, 무기질, 총페놀, 유리당, 지방산 및 향기성분을 분석하였다. 허브 잎의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수분함량이 $69.92{\sim}82.10%$으로 가장 높았으며, 조섬유와 회분함량이 지방과 단백질함량보다 높았다. 총페놀 함량은 분광광도법(Follin-Dennis법)으로 측정하여 gallic acid 상당량으로 산출하였으며, 로즈마리와 라벤더가 높았으며 세이지, 타임, 민트 순이었다. 무기성분은 ICP-AES방법으로 나트륨, 칼슘, 망간, 인, 마그네슘, 아연 및 철을 분석하였다. 대체적으로 칼슘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인, 나트륨, 마그네슘, 철, 아연, 망간의 함량순으로 높았다. 지방산은 GC로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arachidonic acid함량을 측정하였다. 대체적으로 포화 지방산인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 함량보다 불포화지방산인 linoleic acid와 linolenic acid의 함량이 더 높았다. 유리당은 sucrose, glucoes 및 rhamnose를 HPLC로 분리하였으며, 그 함량은 소량이었다. 향기성분은 27종을 확인하였으며, 주요 성분은 ${\beta}-terpinene,\;{\alpha}-thujone,\;{\beta}-phellandrene$, cis-ocimene, ${\beta}-thujone,\;{\beta}-pinene,\;{\alpha}-terpinene$, 1,8-cineole, ${\gamma}-terpinene$, verbenone 및 ${\beta}-ocimene$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