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C/MSD analysis

검색결과 150건 처리시간 0.022초

대기 중 저비점 알데히드류의 저온농축/열탈착/GC/MSD에 의한 분석 (A Study for Analysis of Lower Aldehydes in Ambient Air)

  • 유미선;양성봉;서은희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75-276
    • /
    • 2002
  • 아세트알데히드 등 저비점 지방족 알데히드류는 대기 중에 배출된 탄화수소류 등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산화생성물로서 광화학스모그의 원인이며, 또한 악취물질로서도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특히 아세트알데히트의 경우 우리나라의 악취배출허용기준에 명시된 대표적인 악취물질로서 규제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이외에도 프로피온알데히드, 부틸알데히드, 발레르알데히드 등은 일본의 악취방지법에서 규제되고 있어서 장차 우리나라에서도 규제 대상의 가능성이 높은 물질이다. (중략)

  • PDF

유류 오염지역의 수산물 중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 (PAHs) 분석 및 위해평가 (Analysis and risk assessment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in seafood from oil contaminated bay)

  • 정지윤;최찬웅;염태경;조경희;박세령;신호상;이광호;이효민
    • 분석과학
    • /
    • 제23권2호
    • /
    • pp.187-195
    • /
    • 2010
  • 허베이 스피리트호 유류유출 사고 후 지역주민들의 수산물 섭취로 인한 건강 위해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가스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GC-MSD)를 이용하여 유류유출 지역 주민들이 직접 채취 및 구입한 수산물 중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PAHs) 16종을 분석하였다. 시료는 KOH로 가수분해하여 Methylene chloride로 추출하였다. 추출액 중의 16개의 PAHs는 실리카/플로리실 정제컬럼을 이용하여 Methylene chloride : n-헥산(1:9) 혼합용액으로 용출하였고 GC-MSD의 SI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16 개의 PAHs의 평균 회수율은 79~85%이었으며, 126개의 시료에서 $0.17\sim6.04\;{\mu}g/kg$ 수준으로 검출되었고, Benzo(a)pyrene의 독성등가계수(TEF)를 적용한 Benzo(a)pyrene 독성등가량($TEQ_{BaP}$)은 $0\sim0.91\;{\mu}gTEQ$/kg 수준이었다. 또한 유류유출 지역 주민들의 벤조피렌의 일일 평균 노출량은 $5.5{\times}10^{-8}\;mg/kg$ bw/day 이었고, PAHs 일일 평균 만성노출량은 $1.3{\times}10^{-5}\;mgTEQ$/kg bw/day이었다. 그리고 안전마진(MOE)과 초과발암위해도는 각각 $1.8{\times}10^6$, $9.8{\times}10^{-8}$으로 사람에게 위해영향발생 우려가 낮은 수준이었다.

천연 복분자 추출물의 약리, 화학적 특성 및 분석 (A Study on the Pharmaceutical &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alysis of Natural Bokbunja Extract)

  • 성기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402-411
    • /
    • 2012
  • 천연 복분자는 나무딸기 또는 산딸기로부터 얻어진 한방재료로 사용되어 지고 있다. 천연 복분자 나무딸기 또는 산딸기는 천연의 향기와 맛, 천연의 색상, 그리고 약리, 화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천연 복분자 추출물을 사용하여, 특성실험으로 미생물에 대한 항균실험과 섬유에 대한 염색실험을 하였다. 본 특성실험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들이 얻어졌다. 항균실험 결과 ATCC-001(staphylococcus aureus)의 경우는 배양시험 후 72hrs 부터 미생물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나 ATCC-002(aspergillus niger)의 경우 배양시험 후 시간경과에 따라 계속 증식이 나타났다. 역시, 염색실험 결과 복분자 추출물이 천연염료로 매염제($Al_2(SO_4)_3{\cdot}13-14H_2O$)를 사용하여 섬유인 면과 견에서 연한 베이지 색의 방향으로 염색이 나타났다. 기기분석 결과 1CP/OES로 측정한 복분자 성분에서는 K(221.100ppm), Mg(17.920ppm), Ca(5.129ppm), Na(2.940ppm), Si(0.638ppm)등의 무기성분들이 확인되었고, GC/MSD로 측정한 복분자 성분에서는 Boric acic(1.711), Silane(2.142), Propyl isothiocyanate(2.565), Pyrazole(3.481), Furfurole(11.521)등의 유기성분들이 확인되었다.

VOCs 측정 및 VOCs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우리나라 6개 대도시 수도수 중 THMs 분석 - (Studies on the Quantitative analysis and the Health Effect of VOCs in Environment - Analysis for THMs of tap water in six cities of Korea -)

  • 김미경;박연신;정용
    • 분석과학
    • /
    • 제13권1호
    • /
    • pp.55-65
    • /
    • 2000
  • GC/MSD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정수장, 즉 서울 시내의 4개의 정수장과 인천, 대전, 광주, 대구 및 부산의 정수장에서 염소처리하여 각 가정으로 보급되는 수도수를 대상으로 1997년 6월부터 9월까지 가정수에 함유되어 있는 총트리할로메탄(trihalomethanes, THMs)을 US EPA Method 524.2(Purge & Trap/GC/MSD)법을 응용하여 검출 분석하였다. 그 결과 6대 도시에서, chloroform이 THMs의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47.43%~93.11%), bromodichloromethane > chlorodibromomethane > bromoform의 순으로나타났다. 인천, 대전, 광주, 대구 및 부산은 chloroform을 제외한 나머지 물질 즉, bromodichloromethane, chlorodibromomethane 및 bromoform의 함유량이 서울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6월과 9월 모두 전 지역에서 THMs의 농도는 우리 나라의 먹는 물 수질기준 $100{\mu}g/L$을 초과하는 곳은 한곳도 없었다. 또한 각 물질에 대하여 산출한 인체 노출량은 chloroform $6.14{\times}10^{-4}mg/kg/day$, bromodichloromethane $1.01{\times}10^{-4}mg/kg/day$, chlorodibromomethane $0.29{\times}10^{-4}mg/kg/day$, bromoform $0.01{\times}10^{-4}mg/kg/day$, THMs $7.98{\times}10^{-4}mg/kg/day$이었다.

  • PDF

A Study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Instrumental Analysis of Natural Omija Extract

  • Sung, Ki-Chun;Kim, Ki-Jun;Kim, Yong-Ryul;Nam, Sang-Sung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25-232
    • /
    • 2013
  • Omija component was known to possess natural odor, taste, color, and various general characteristics. Omija extraction was extracted using ethanol as a solvent. Omija extract showed a red-purple color of some viscous liquid state. Some conclusions from natural Omija extract were obtained as follow. The result of antimicrobial experiment to add Omija extract, the number of microbial population showed negative reaction from 3 days after it cultivated. This phenomenon could confirm that Omija component affected to antimicrobial effect. The result of dyeing experiment to add Omija extract, fiber dyeing effect showed with some ivory color after dyed to cotton and silk. Also, this phenomenon could confirm that Omija component affected to natural dyeing effect from observated dye state with biological microscope(BM). The result of instrumental analysis, inorganic components of K(109.60ppm), Na(3.500ppm), Ca(1.205ppm), Mg(0.900ppm), Li(0.350ppm), Si(0.380ppm), Cu(0.250ppm), Fe(0.125ppm), Zn(0.090ppm), etcs from Omija were ascertained with ICP/OES, and organic components of benzene(10.808), borny lacetate(11.289), phenol(14.183), ${\beta}$-terpinene(15.840), ${\alpha}$-terpinolene(17.616) etcs from Omija were ascertained with GC/MSD.

서울지역 학교급식 식재료의 잔류농약 위해성 평가 (Monitoring and risk assessment of pesticide in school foodservice products in seoul, Korea)

  • 서영호;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69-74
    • /
    • 2014
  • 학교 급식 식재료로 사용되는 농산물 중 잔류농약의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서울시내 초, 중, 고등학교 110곳에서 316건의 시료를 수거하여 잔류농약을 분석하였다. 185종의 농약에 대해 GC-ECD, GC-NPD, GC-MSD 및 HPLC-UVD를 이용한 다종농약 다성분 분석법으로 잔류농약을 분석하였고, 분석결과 26건의 시료에서 농약이 검출되었고, 취나물과 들깻잎에서 각각 57.1, 55.6%의 높은 검출율을 나타내었다. 농약 성분별 검출빈도는 프로시미돈, 엔도설판, 아족시스트로빈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2종 이상의 농약이 동시에 검출된 것은 3건이었다. 그리고 검출된 시료 중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한 시료는 6건이었으며 시금치, 취나물, 양배추에서 엔도설판, 깻잎에서는 디니코나졸과 카보후란, 고추에서는 에토프로포스가 잔류허용기준치를 초과하여 검출되었다. 위해성 평가결과 들깻잎에서 검출된 카보후란의 hazard index가 3.8%로 가장 높았으며, 다른 농산물들은 모두 2% 미만을 나타내어 위해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서울지역 학교급식 식재료로 사용되는 농산물은 비교적 안전한 수준으로 농약관리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되며, 지속적으로 농약의 안전한 사용을 위한 홍보와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Accumu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in Seafood from the Coastal Areas of Korea

  • Moon Hyo-Bang;Choi Hee-Gu;Kim Sang-Soo;Lee Pil-Yong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5권2호
    • /
    • pp.127-135
    • /
    • 2002
  • Twenty seafood samples, which are common edible species and commercially important items in Korea, were purchased at the local fisheries markets and were analyzed for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using gas chromatography coupled to mass spectrometer detector (GC/MSD). The levels of sixteen PAHs in seafood from Korean coasts were 161 to 2,243 pg/g wet weight. The highest concentration was found at saury (Coloabis saira) and the lowest level was found at jacopever (Sebastes schlegeli). The concentrations of potentially carcinogenic PAHs of six species were in the range of 9 to 123 pg/g wet weight. The residues of PAHs in fishes from Korean coasts were slightly low or relatively moderate to other countries.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PAH residues and lipid contents in seafood samples. The predominant contributors in fish samples were lower-molecular-weight two and three ring aromatic PAHs such as naphthalene, acenaphthene, fluorene and phenanthrene. Filter-feeding organisms like shrimp, crab and topshell were dominated by three- and four-ring aromatic PAHs. The PAH profiles in marine sediments, bivalves, fishes, shrimp, crab and topshell according to exposure pathway were compared through factor analysis. The PAH profiles were clearly classified by the difference of species or environmental matrices. This result suggests that most of PAHs within the same samples behave identically in marine environment.

유류 오염토양 중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PAHs) 분석방법 고찰 (Analytical method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in oil contaminated soils)

  • 윤정기;박진수;신선경;김태승
    • 분석과학
    • /
    • 제21권4호
    • /
    • pp.296-303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유류 오염 토양 중에 함유 되어 있는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PAHs)의 시험방법을 확립하고자 수행되었다. 토양 중 PAHs 시험방법으로 미국 EPA 및 ISO 시험방법 등을 비교검토하고 국내 오염 토양에 대한 적용성을 검토한 결과, 유류 오염토양의 분석을 위해서는 알루미나 전처리 방법이 보다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휘발성이 큰 naphthalene, acenaphthene, acenaphthylene, fluorene 등 4종을 제외한 PAHs 12종에 대한 회수율이 67~107%범위로 나타나 이들 물질에 대한 시험방법을 마련하였다. 또한, 유류로 오염된 토양 5점을 선정하여 시험방법에 대한 적용성 시험 결과, 분석대상 12종 PAHs는 모든 시료에서 $78.68{\sim}275.57{\mu}g/kg$로 검출되었으며, 이중 phenanthrene, pyrene, chrysene 등은 전체 농도의 약 70%로 대부분의 비율을 차지하였다. 특히 BaP의 경우 농도범위는 $1.76{\sim}24.65{\mu}g/kg$으로 나타났다.

국내산 식물 3종과 조합 오일의 화장품 소재로서의 생리활성 효과 연구 (A study on the physiological activity effect as a cosmetic material using 3 kinds of domestic plants and combination oil)

  • 정숙희;정희숙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303-313
    • /
    • 2022
  • 본 연구는 장흥지역에서 자생 및 재배한 총 3가지 식물을 수증기 증류 추출(편백, 석창포, 라벤더)을 통해 얻은 각 천연 에센셜 오일에 대한 GC-MSD 향기 성분 분석 후 추출된 오일들과 시판 오일(클라리세이지, 시나몬, 프랑킨센스)을 조합하여 세포독성, 항산화, 항염, 미백 효과를 확인하여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향기 성분 분석 결과 편백 오일의 주요 성분으로는 Sabinene, 석창포 오일은 Asarone, 라벤더 오일은 L-Linalool이 동정되었다. 6종 에센셜 조합 오일의 세포독성이 확인되지 않은 100 𝜇L/mL의 농도에서 NO 생성은 27.76% 억제, DPPH 라디칼 소거능은 99.69%, ABTS 라디칼 소거능은 94.66%, 티로시나아제 저해활성은 55.9%를 보여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두류와 콩나물에서의 BENOMYL의 검색과 그 분리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AND COMPARISION OF RESIDUE ANALYSIS FOR BENOMYL IN BEAN AND BEAN SPROUTS)

  • 한일근;채정영;이자영;여익현
    • 분석과학
    • /
    • 제7권3호
    • /
    • pp.395-402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두 종류의 기존 HPLC 베노밀 분석법 및 한 종류의 새로이 설정한 GC PFB 유도체화 베노밀 분석법을 도입하여 시중에 유통되는 국산 및 수입작물을 수거한 후 그 잔류도를 검색함과 동시에 각 분석법의 정확성, 정밀도, 회수율, 그리고 감도 등을 비교 평가하였다. 그 결과 GC PFB 유도체화분석법의 경우 회수율 및 검출 한계가 각각 95% 이상, $0.001{\mu}g/g$이었다. 그리고 각종 작물의 분석시 기존의 HPLC법의 경우 베노밀의 peak가 나타나는 retention time 시간대에 시료의 성분에 의한 peak도 동시에 나타날 수 있는 확률이 높아 오검출되는 사례가 많았으나 GC PFB 유도체화분석법은 베노밀을 유도체화한 후 GC에서 분석함으로써 오검출 판정결과를 보이는 시료는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