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2C Environment

검색결과 1,073건 처리시간 0.029초

산마늘의 부위별 성분분석 및 생리활성 평가 (Analysis of the Various Constituents and Comparison of Biological Activities of Different Parts of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 김진영;조정용;나환식;최경철;박종수;이지헌;정선호;문제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00-105
    • /
    • 2012
  • 산마늘의 부위별(뿌리, 줄기 및 잎) 무기성분 함량과 다양한 생리활성을 평가한 결과, 부위에 관계없이 K과 Ca이 다른 무기성분에 비해 그 함량이 월등히 높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mg tannic acid eq./100 g dry wt.)은 잎($792.7{\pm}16.6$ mg) > 줄기($160.3{\pm}6.8$ mg) > 뿌리($101.5{\pm}2.7$ mg) 순이었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mg quercetin eq./100 g dry wt.)은 잎($497.9{\pm}11.1$ mg) > 뿌리($35.7{\pm}0.4$ mg) > 줄기($18.5{\pm}1.4$ mg) 순이었다. DPPH 라디칼(최종농도 250 ${\mu}M$)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을 검토한 결과, 뿌리 30 mg, 줄기 25 mg, 그리고 잎 4 mg에서 $SC_{50}$값을 보였고, CE-OOH 생성 억제 효과는 잎 > 줄기 > 뿌리 순이었다. 그리고 부위별 항균활성 검토 결과, 뿌리, 줄기, 잎 모두 C. perfringens, S. aureus, L. monocytogenes, V. vulnificus, V. parahaemolyticus에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그 중 특히 C. perfringens 균에 강한 항균활성을 보였다.

남서해역에서 양식되는 방사무늬김(Porphyra yezoensis Ueda)의 색소조성과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해양환경 특성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Pigment Composition and Concentrations of Porphyra yezoensis Ueda in the Southwe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 김정배;이원찬;홍석진;심정희;박정임;박지혜;이유진
    • 환경생물
    • /
    • 제30권3호
    • /
    • pp.200-209
    • /
    • 2012
  • 서식 환경에 따른 양식 김의 종류 및 광합성 색소 조성과 농도에 대하여 2011년 1월부터 3월까지 김 양식이 이루어지고 있는 남서해역에서 조사를 하였다. 수온의 범위는 $3.0{\sim}11.3^{\circ}C$이었고, 염분의 범위는 32.7~34.7으로 연안과 가까운 정점 1과 6에서 낮게 나타났다. 해수 중 DIN의 농도 범위는 $1.73{\sim}12.84{\mu}M$, DIP의 농도 범위는 $0.07{\sim}0.67{\mu}M$이었고, 규산염의 농도 범위는 $4.93{\sim}18.29{\mu}M$이었다. 해수 중 Chl a 농도 범위는 $0.41{\sim}9.14{\mu}g\;L^{-1}$로서 1월의 정점 1에서 가장 높았다. 해수 중 조류색소 조성은 규조류 (diatoms)의 marker 색소인 fucoxanthin이 $0.06{\sim}3.41{\mu}g\;L^{-1}$로 우점하였고, 정점 1에서 $3.41{\mu}g\;L^{-1}$로 1월에 가장 높았다. 용존 무기질소 농도는 모든 정점에서 낮은 염분을 보이는 1월에 높았으나, 정점 1은 용존 무기질소 농도는 낮았다. 김 엽체 색소 중 Chl a, PE 및 PC의 농도는 각각 $1,173{\sim}8,124{\mu}g\;DW\;g^{-1}$, $3,281{\sim}10,076{\mu}g\;DW\;g^{-1}$, $388{\sim}1,346{\mu}g\;DW\;g^{-1}$로서 조사 정점 2, 3에서 높은 농도를 보였다. 김 엽체의 색소농도는 지주식인 모무늬돌김과 방사무늬김이 혼재되어 양식되는 정점 1과 6보다 부류식인 방사무늬김만 생산되는 정점에서 높았고, 방사무늬김만 생산되는 정점에서는 정점 2와 3에서 높았다. 따라서, 김 엽체의 색소 농도는 양식 방법과 해양 환경적 요인에 의하여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Desalinization Effect of Pennisetum Alopecuroides and Characteristics of Leachate Depending on Calcium Chloride (CaCl2) Concentration

  • Yang, Ji;Yoon, Yong-Han;Ju, Jin-Hee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45-453
    • /
    • 2020
  • Background and objective: Calcium chloride (CaCl2) and sodium chloride (NaCl) are commonly used as a deicing agent in South Korea and penetrate the soil on the roadside, causing damage to plan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alinity reduction effect of Pennisetum alopecuroides and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il leachate. Methods: The plants were treated with five different concentrations of CaCl2 (0, 1, 2, 5, and 10g·L-1) and were grouped into the Cont., C1, C2, C5, and C10 groups. CaCl2 of 200 m·L-1 was sprayed to each plant once every two weeks. The growth of P. alopecuroides (plant height, leaf length, leaf width and the number of leaves) was measured. The level of EC and pH, and exchangeable cations (K+, Ca2+, Na+, and Mg2+) in the leachate of soil was monitored. Results: The pH of soil leachate decreased as the CaCl2 concentration increased, and the EC increased significantly. The content of K+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until the concentration of CaCl2 reached 5 g·L-1, but the content of Ca2+, Na+, and Mg2+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lant height, leaf length, and leaf width of P. alopecuroides showed the highest value in CaCl2 1 g·L-1 followed by CaCl2 2 g·L-1 and the control group. Root fresh weight was the highest in CaCl2 2 g·L-1.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change in the shoot fresh weight, dry weight and root dry weight, and P. alopecuroides growth inhibition at the concentration of 5 g·L-1 or higher in the plant height and leaf length. Conclusion: P. alopecuroides is relatively highly salt-tolerant and can improve the salt damaged soil by lowering the content of the salt-based exchangeable K+ ions.

병재배 느타리버섯 '수한'의 정밀재배관리를 위한 생육환경 분석 (Analysis of growth environment for precision cultivation management of the oyster mushroom 'Suhan')

  • 이찬중;이성현;이은지;박혜성;공원식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55-161
    • /
    • 2018
  • 본 연구는 병 재배 느타리버섯 정밀재배를 위한 최적 생육모델 개발을 위하여 느타리 '수한1호' 농가를 대상으로 스마트팜 기술을 적용하여 생육환경을 분석한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실험 농가의 균상면적은 $88m^2$, 균상형태는 2열 5단, 냉동기는 5마력, 단열은 샌드위치 판넬 100T, 가습기는 초음파 가습기 2대, 난방은 12KW를 사용하였고, 5,000병을 입병하여 재배하고 있었다. 느타리버섯재배농가에서 생육환경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하여 설치한 환경센서부로부터 버섯의 생육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농도, 조도 등을 수집 분석하였다. 수집한 온도자료를 분석한 결과, 균 긁기한 후 입상시 온도는 $22^{\circ}C$에서 시작하여 버섯이 발생되어 병을 뒤집기를 할때까지 거의 $25^{\circ}C$를 유지하고 자실체가 자라서 수확기에 가까워지면 $13^{\circ}C$에서 $15^{\circ}C$를 유지하면서 버섯을 수확하였다. 습도자료를 분석한 결과, 습도는 입상에서 생육전 과정동안 거의 100%를 유지하였다. 이산화탄소농도 자료를 분석한 결과, 입상후 3일까지는 서서히 증가하였으나, 그 이후 급격히 증가하여 거의 2,600 ppm 까지 증가하였고, 6일차부터는 환기를 통해 단계적으로 농도를 낮추어 수확기에는 1,000 ppm을 유지하였다. 조도 자료를 분석한 결과, 느타리버섯 입상후 초기에는 거의 빛을 주지 않았고 3~4일차에 17 lux의 빛을 조사하였으며, 그 이후 주기적으로 115~120 lux의 빛을 조사하면서 생육을 진행하였다. 농가에 재배하고 있는 '수한1호'의 자실체 특성은 갓 직경은 30.9 mm, 갓 두께는 4.5 mm이며, 대 두께는 11.0 mm, 대 길이는 76.0 mm였다. 대 경도는 0.8 g/mm, 갓 경도는 2.8 g/mm였고, 대와 갓의 L값은 79.9와 52.3이였다. 자실체 수량은 160.2 g/850 ml였고, 개체중은 12.8 g/10 unit였다.

메밀(Fagopyrum species)의 생장에 따른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품종별 차이 (A time-course study of flavonoids in buckwheats (Fagopyrum species))

  • 이민기;박석훈;김선주
    • 농업과학연구
    • /
    • 제38권1호
    • /
    • pp.87-94
    • /
    • 2011
  • Flavonoid contents of common buckwheat (cv. Kitawase) and tartary buckwheat (cv. Hokkai T 8, Hokkai T 9 and Hokkai T 10) were determined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Moreover, they were measured at different plant developments such as 10, 18, 20, 22 and 30 days after sowing (DAS) and with plant parts including leaf, stem and flower harvested at 30 DAS. Total flavonoids including chlorogenic acid, four kinds of C-glycosylflavones (orientin, isoorientin, vitexin, isovitexin) and rutin of tartary buckwheats (range of 44.2-54.7, mean 44.2) were found 35% higher than those of common buckwheat (28.9 mg/g dry wt.). Among them, rutin was measured above 80% of total flavonoid contents. The other flavonoids (chlorogenic acid and four kinds of C-glycosylflavones) presented the highest level at 10 DAS and decreased according to plant developments. On the other hand, rutin content of Kitawase presented the highest level (33.6 mg/g dry wt.) at 22 DAS and decreased up to 30 DAS. Rutin content in tartary buckwheat temporarily decreased from 10 to 18 DAS and then reversely increased up to 30 DAS presented the highest level as 'U' curve. In Hokkai T 10, rutin content was found the highest level (53.8 mg/g dry wt.) at 30 DAS. In different plant parts harvested at 30 DAS, rutin content of leaf (range of 42.8-68.0, mean 57.0) was 5.3-fold higher than that of stem (range of 8.0-15.9, 10.8 mg/g dry wt.), regardless of cultivar. Significantly, rutin content (78.7) in the flower of Kitawase was 1.8 times higher than in the leaf and 9.8 times in the stem. Especially, chlorogenic acid content (14.6 mg/g dry wt.) in the flower of Kitawase was 63-fold higher than in the leaf, and 20-fold in the stem.

Pseudomonas 속의 균주를 이용한 Azo계와 Reactive계의 Dye의 생분해 (Biodegradation of Azo and Reactive Dyes with Pseudomonas strains)

  • 이제혁;황규대조동욱전억한
    • KSBB Journal
    • /
    • 제8권2호
    • /
    • pp.150-155
    • /
    • 1993
  • 난분해성인 색소를 대사분해할 수 있는 미생물을 분리하여, 색소분해의 최적조건을 조사하였다. 미생물은 폐수처리공장의 폭기조에서 채취한 폐수로부터 agar media에서 순수분리하였다. 이 균주들을 glu­c cose, peptone, $Na_2HPO_45, KCI, MgSO_4, KH_2PO_4, NaCI, CaCI_2$와 dye(azo계, reactive red계 ) lOppm 을 함유한 액체 배지에서 dye의 분해력이 강하였으 며, 이때의 최적 pH는 중성 또는 약알칼리성이고, 최적 온도는 $30^{\circ}C$ 전후이다. 이 조건에서 10ppm의 m mono-azo(Lot No. 180), di-azo(Lot No. 138), re­a active red(Lot No.2)는 약 2일에 거의 분해되었고, di-azo(Lot No. 151), reactive red(Lot No. 34, L Lot No. 00166)는 약 5일에 거의 분해되었고, 최적 배지조건하에서 산소의 영향은 D.O를 50%로 유지 시켰을 경우보다 혐기성 배양의 경우가 reactive d dye(Lot No.2)의 분해도가 훨씬 높았다.

  • PDF

Chemical and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Water-soluble Organic Carbon and Humic-like Substances in Size-segregated Particles from Biomass Burning Emissions

  • Yu, Jaemyeong;Yu, Geun-Hye;Park, Seungshik;Bae, Min-Suk
    •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11권2호
    • /
    • pp.96-106
    • /
    • 2017
  • In this study, measurements of size-segregated particulate matter (PM) emitted from the combustion of rice straw, pine needles, and sesame stem were conducted in a laboratory chamber. The collected samples were used to analyze amounts of organic and elemental carbon (OC and EC), water-soluble organic carbon (WSOC), humic-like substances (HULIS), and ionic species. The light absorption properties of size-resolved water extracts were measured using ultraviolet-visible spectroscopy. A solid-phase extraction method was first used to separate the size-resolved HULIS fraction, which was then quantified by a total organic carbon analyzer. The results show that regardless of particle cut sizes, the contributions of size-resolved HULIS ($=1.94{\times}HULIS-C$) to PM size fractions ($PM_{0.32}$, $PM_{0.55}$, $PM_{1.0}$, and $PM_{1.8}$) were similar, accounting for 25.2-27.6, 15.2-22.4 and 28.2-28.7% for rice straw, pine needle, and sesame stem smoke samples, respectively. The $PM_{1.8}$ fraction revealed WSOC/OC and HULIS-C/WSOC ratios of 0.51 and 0.60, 0.44 and 0.40, and 0.50 and 0.60 for the rice straw, pine needle, and sesame stem burning emissions, respectively. Strong absorption with decreasing wavelength was found by the water extracts from size-resolved biomass burning aerosols. The absorption ${\AA}ngstr{\ddot{o}}m $ exponent values of the size-resolved water extracts fitted between 300 and 400 nm wavelengths for particle sizes of $0.32-1.0{\mu}m$ were 6.6-7.7 for the rice straw burning samples, and 7.5-8.0 for the sesame stem burning samples. The average mass absorption efficiencies of size-resolved WSOC and HULIS-C at 365 nm were 1.09 (range: 0.89-1.61) and 1.82 (range: 1.33-2.06) $m^2/g{\cdot}C$ for rice straw smoke aerosols, and 1.13 (range: 0.85-1.52) and 1.83 (range: 1.44-2.05) $m^2/g{\cdot}C$ for sesame stem smoke aerosols, respectively. The light absorption of size-resolved water extracts measured at 365 nm showed strong correlations with WSOC and HULIS-C concentrations ($R^2=0.89-0.93$), indicating significant contribution of HULIS component from biomass burning emissions to the light absorption of ambient aerosols.

채소 수경재배체계 도입에 의한 양어시설의 효율적 이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icient Utilization of Aquaculture Greenhouse by Paralleling Vegetable Nutrient Culture Systems)

  • 이병일;이지원;김기덕;이순길;정선부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23-134
    • /
    • 1992
  • 양어 및 수경재배 시설의 효율적 이용가능성을 검사하고 이의 효율적인 결합기술을 확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양어ㆍ수경병용온실에서의 미기상 환경 특성과 그 환경에서의 작물의 생육 반응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평균체중 428.6g의 틸라피아 성어는 147일간에 1.83배로 성장하였고, 평균 체중 12.9g의 치어는 61일 동안 1.37배의 성장율을 보여 정상적으로 성장하였다. 2. 미나리, 상추, 배추 및 실파 공히 수경재배구에서 보다 양어ㆍ수경병용구에서 초장, 생체중 등의 생육이 양호하였다. 3. 두 처리구에서 양액의 pH및 EC의 차이는 크지 않았으나 양액 온도는 양어ㆍ수경병용구에서 약 2$^{\circ}C$가 높았다. 4. 일중의 온도 및 습도변화양상은 평균온도가 각각 23.8$^{\circ}C$ 및 20.9$^{\circ}C$로서 양어ㆍ수경병용구에서 약 2.9$^{\circ}C$ 더 높았고 상대습도는 약 6%높았다. 3. $CO_2$ 농도는 양어ㆍ수경병용구에서 약 200ppm 정도 높았다. 6. 수경재배구보다 양어ㆍ수경병용구에서 잎의 순동화율이 다소 높았다. 그러므로 동일한 시설공간내에 수경재배와 양어를 병행한다면 난방비의 절감효과 뿐만 아니라 양어와 엽채류의 성장에도 상호보완적인 가중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PDF

에스트로겐 수용체 및 Luciferase 리포터 유전자 도입 사람 간 종양세포(HepG2 Cell)에서 Toxaphene과 Chlordane의 내분비 독성 (Endocrinic Effects of Toxaphene and Chlordane in Human Hepatoma Cell (HepG2 Cell) Transfected with Estrogen Receptor and Luciferase Reporter Gene)

  • 김경배;정지원;양세란;강경선;이영순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0권3호
    • /
    • pp.205-211
    • /
    • 2004
  • Concern that some chemicals in our environment may affect human health by disrupt-ing normal endocrine function has prompted a research on interactions of environmental contaminants with steroid hormone receptor. Toxaphene and chlordane are among the 12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identified by the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as requiring urgent attention. We compared the estrogenic activity of two organochlorine pesticides, toxaphene and chlordane, at estrogen receptor a (ER$\alpha$) and estrogen receptor $\beta$ (ER$\beta$). Human hepatoma cells (HepG2) were transiently transfected with rat ER$\alpha$ or ER$\beta$ plus an estrogen-responsive complement C3-luciferase (C3-Luc) reporter gene. After transfection, cells were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toxaphene and chlordane to investigate agonism or antagonism of these chemicals. Both toxaphene and chlordane were potent agonists in HepG2 cells for ER$\alpha$. In contrast, these chemicals had a minimal agonist activity with ER$\beta$ and almost abolished 17$\beta$-estradiol-induced ER$\beta$-mediated activity. Therefore, toxaphene and chlordane behaved as an ER$\alpha$ agonist and an ER$\beta$ antagonist with estrogen-responsive reporter plasmid C3-Luc, and exposure to these organochlorine pesticides could have a crictical effect on normal endocrine function.

모내기전 벼이삭선충(Aphelenchoides besseyi Christie)의 약제방제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hemical Control of White-tip Nematode, Aphelenchoides besseyi Christie, before Transplanting)

  • 이영배;박중수;한상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7-40
    • /
    • 1972
  • 벼 이삭선충의 효율적이고 능율적인 방제를 위한 약제의 종류 및 방법을 구명하기 위하여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1. 종자에 대한 약제처리 : 선충피해 종자를 Malathion $80\%$ EC 등 6종의 약제 500, 1,000 배액에 각각 12, 24, 36시간 침종한 후 선충을 Baermmann씨법으로 분리, 조사한 결과 Malathion $80\%$ EC, Sumithion $50\%$ EC, Lebaycid $50\%$ EC, 등의 약제에 12-24시간 처리하는 것이 효과적이었으며 실용성이 있었다. 2. 못자리시기의 입제처리 : $30\times40cm$의 밧드에 피해종자를 파종하고 모내기 15일전에 PSP-204 $5\%$ G등 6종의 약제를 $15g/3.3m^2$의 비율로 시용하여 $20\times18cm$ 폿트에서 재배하여 효과를 조사한 결과 PSP-204 $5\%$ G, Diazinon $3\%$ G, Nemagon $20\%$ G, Terracurr-P $5\%$ G 등의 약제가 이삭선충의 방제효과가 높았다. 3. 모내기전의 침근처리 : 밧드에서 육묘한 피해묘를 모내기직전에 뽑아서 Sumithion $50\%$ EC 등 6종의 약제 1,000배액에 침근처리한 후 $20\times18cm$ 폿트에서 재배하여 효과를 조사한 견과, Sumithion $50\%$ EC, Lebaycid $50\%$ EC Nemagon $80\%$ EC 등의 약제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