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1 arrest

검색결과 545건 처리시간 0.047초

Naphthoquinone Analog-induced G1 Arrest is Mediated by cdc25A Inhibition and p53-independent p21 Induction in Human Hepatocarcinoma Cells

  • Kim, Won-Ho;Kim, Jung-Woong;Jang, Sang-Min;Song, Ki-Hyun;Ham, Seung-Wook;Choi, Kyung-Hee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1권1호
    • /
    • pp.9-15
    • /
    • 2007
  • The naphthoquinone analog (2,3-dichloro-6,9-dihydroxy-1,4-naphtoquinone, NA) has an inhibitory effect on cdc25A protein phosphatase in vitro, which is responsible for G1/S transition during cell cycle. However, the exact mechanism inducing the growth inhibition is not understoo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regulatory mechanisms of growth arrest induced by NA, as a new potent inhibitor of cdc25A phosphatase, in human hepatocarcinoma SK-hep-1 cells. We found that NA induced the G1 arrest by perturbation of protein tyrosine dephosphorylation of Cdk2, which may be resulting from inhibition of cdc25A phosphatase. In addition, p21 was expressed in a p53-independent manner and participated in the NA-induced G1 arrest by inhibiting Cdk2 activity. Although the exact mechanism is not known, the p21 expression might be related to MAPK activation. From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NA induces G1 arrest via inhibition of cdc25A and induction of p53-independent p21 expression in SK-Hep-1 cells.

Piceatannol에 의한 AGS 인체 위암세포의 G1 Arrest 및 Prostaglandin E2 생성의 억제 (Piceatannol-Induced G1 Arrest of the Cell Cycle is Associated with Inhibition of Prostaglandin E2 Production in Human Gastric Cancer AGS Cells)

  • 최영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7호
    • /
    • pp.907-913
    • /
    • 2012
  • 포도, 대황, 사탕수수 등을 포함한 다양한 식물에서 발견되는 hydroxystilbene의 일종인 piceatannol은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apoptosis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AGS 인체위암세포를 대상으로 piceatannol에 의한 암세포 증식억제 과정에서 나타나는 또 다른 현상들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Piceatannol이 처리된 AGS 위암세포는 piceatannol의 처리 농도의 증가에 따라 생존율이 감소되었으며, 이는 세포주기 G1 arrest 유발과 연관이 있음을 MTT assay와 flow cytometry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Piceatannol에 의한 AGS 세포의 G1 arrest는 Cdks 및 cyclins의 발현 변화 및 Cdk 저해제인 p21의 발현을 전사 및 번역 수준에서 증가시켰으며, pRB 단백질의 인산화 감소 및 E2F1의 발현 억제와 연관성이 있었다. 아울러 piceatannol은 COX-2의 mRNA 및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하였으나 COX-1의 발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piceatannol에 의한 COX-2의 발현억제는 PGE2의 생성 저하와 관련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piceatannol에 의한 세포주기 G1 arrest 유발이 COX-2의 선택적 발현 차단과 연관이 있음을 보여 주는 것이다.

Association of Dexamethasone-induced Apoptosis and $G_l-Arrest$ of Human Leukemic CEM Cells with Polyamine Deficit

  • Choi, Sang-Hyun;Lee, Jung-Ae;Chae, Yang-Seok;Min, Bon-Hong;Chun, Yeon-Sook;Chun, Boe-Gwu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권4호
    • /
    • pp.457-466
    • /
    • 1997
  • The effects of DFMO or/and putrescine on the dexamethasone-induced apoptosis of CEM cells were studied to investigate the role of polyamines in anti-leukemic glucocorticoid action. Dexamethasone- induced apoptosis was preceded by significant decreases of cellular polyamine contents and putrescine uptake activity. But DFMO produced decreases of putrescine and spermidine contents and marked increase of putrescine uptake activity, but did not induce apoptosis. However, dexamethasone and DFMO, respectively, induced $G_1-arrest$ in cell cycle and hypophosphorylation of pRb, resulting in the increase of $G_1$ to S ratio and decrease of CEM cell count. DFMO enhanced the dexamethasone-induced apoptosis and $G_1-arrest$. On the other hand, putrescine little affected the apoptotic and $G_1-arresting$ activities of dexamethasone, but almost suppress the effects of DFMO and also the DFMO-dependent enhancement of dexamethasone effect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dexamethasone-induced apoptosis to be associated with pRb hypophosphorylation and $G_1-arrest$ in CEM cells might be ascribed to the concomitant decreases of cellular polyamine contents and putrescine uptake activity.

  • PDF

G1 CELL CYCLE ARREST OF KG-1, A HUMAN ACUTE LEUKEMIA CELLS, BY 8-HYDROXYDEOXYGUANOSINE OCCURS THROUGH BLOCKADE OF THE EXTRACELLULAR SIGNAL REGULATED KINASE PATHWAY

  • Hyun, Jin-Won;Yoon, Sun-Hee;Yoon, Byung-Hak;Chung, Myung-Hee
    • 한국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독성학회 2002년도 Molecular and Cellular Response to Toxic Substances
    • /
    • pp.138-138
    • /
    • 2002
  • 8-hydroxydeoxyguanosine (oh8dG) potently inhibits proliferation of KG-1, a human leukemia cell line in vitro, but little is known regarding to molecular mechanisms mediating this effect. Here we demonstrate that treatment of KG-1, deficient in 8-oxoguanine glycosylase (OGG1) activity, with oh8dG lead to G1 arrest associated with a dramatic decrease in the levels of cyclin D3 and cyclin-dependent kinase 4 (cdk4) and accompanied by an increase in the expression of p21.(omitted)

  • PDF

인체 방광암 및 백혈병세포에서 genistein에 의한 세포주기 G2/M arrest 유발에 관한 연구 (Induction of G2/M Arrest of the Cell Cycle by Genistein in Human Bladder Carcinoma and Leukemic Cells)

  • 김의겸;명유호;송관성;이기홍;류충호;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589-597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T24 인체방광암 및 U937 백혈병 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genistein의 영향을 조사 하였다. Genistein이 처리된 T24 및 U937 세포는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의 증식이 현저히 감소되었으며 심한 형태적 변형이 동반되었으나, U937 세포에서 보다 높은 감수성을 보였다. 이러한 T24 및 U937 세포의 증식억제 및 형태 변형은 G2/M기의 세포주기 억제 및 apoptosis 유발과 연관성이 있음을 flow cytometry를 이용한 세포주기의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T24 세포에서 genistein에 의한 G2/M arrest는 cyclin A, cyclin B1 및 Cdc25C 등의 단백질 발현 감소와 연관성이 있었으나, 종양억제 유전자 p53 및 Cdk inhibitor p21의 발현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U937 세포에서 genistein에 의한 G2/M arrest는 cyclin B1 및 p53 비의존적인 p21의 발현 증가와 연관성이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현재까지 거의 연구가 진행된 바 없는 인체방광암 및 백혈병 세포에서 genistein의 항암작용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고 나아가 genistein을 포함한 그와 유사한 항암제 후보물질들의 연구에 있어서 기초 자료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택란 메탄올 추출물에 의한 인체 폐암 세포주 A549의 G1 arrest 유발 (Induction of G1 Arrest by Methanol Extract of Lycopus lucidus in Human Lung Adenocarcinoma A549 Cells)

  • 박현진;진수정;오유나;윤승근;이지영;권현주;김병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9호
    • /
    • pp.1109-111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인체 폐암 세포인 A549를 사용하여 택란 메탄올 추출물의 항암활성과 그 분자적 기전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먼저 택란 추출물이 A549의 세포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처리 농도 및 시간 의존적으로 A549의 성장이 저해되었으며, 세포 주기 변화를 분석한 결과 강력한 G1 arrest가 유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택란 추출물에 의한 G1 arrest는 세포주기 조절 단백질인 Cyclin D1, Cyclin E 및 Cyclin-dependent kinase인 CDK2, CDK4, CDK6의 발현 감소와 연관되어 있었다. 또한 택란 추출물에 의한 CDK/Cyclin complex의 발현 저해는 DNA 손상에 의해 활성화되는 CHK2의 활성화 형태인 p-CHK2의 발현 증가에 따른 CDK 활성화 효소인 Cdc25A phosphatase의 발현 억제에 의해 나타나는 결과로 사료된다. 반면 종양억제유전자인 p53 및 CDK 억제제인 p21과 p27의 발현량은 증가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택란 추출물은 DNA damage에 의한 ATM/CHK2/Cdc25A/CDK2 pathway를 통해 A549의 G1 arrest를 유도하여 세포의 증식을 억제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때 택란 추출물에 의해 유도되는 G1 arrest는 p53 비의존적인 경로일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는 택란이 Cdc25A를 target으로 하는 새로운 항암활성 소재로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택란 추출물의 세포주기 조절에 의한 항암기전을 이해하고 향후 지속적 연구를 하는 데 있어서 귀중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Cdk inhibitors의 발현 증가 및 pRB 인산화 저해에 의한 HDAC inhibitor인 sodium butyrate에 의한 인체백혈병세포의 G1 arrest유발 (G1 Arrest of U937 Human Monocytic Leukemia Cells by Sodium Butyrate, an HDAC Inhibitor, Via Induction of Cdk Inhibitors and Down-regulation of pRB Phosphorylation)

  • 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7호
    • /
    • pp.871-877
    • /
    • 2009
  • 대표적인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 저해제의 일종일 sodium butyrate에 의한 인체백혈병 U937세포의 증식 억제에 관한 기전 연구를 세포주기 조절 측면에서 조사하였다. MTT assay 및 flow cytometry 분석을 통하여 sodium butyrate의 처리 농도 증가에 따른 U937 세포의 증식억제는 세포주기 G1 arrest 및 apoptosis 유발에 의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RT-PCR및 Western blotting 결과에서 sodium butrate에 의한 G1 arrest는 세포주기 G1기에서 S기로의 진입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cyclin D1, E, A, cyclin-dependent kinase (Cdk) 4 및 Cdk6발현의 저해와 p21 및 p27과 같은 Cdk inhibitor의 발현 증가와 연관성이 있었다. Sodium butyrate는 또한 retinoblastoma protein (pRB)및 p130 단백질의 인산화를 저해시켰으나, S기 진행에 중요한 전사조절인자인 E2F-1 및 E2F-4의 의 발현에는 큰 영향이 없었다. 그러나 sodium butyrate에 의한 pRB 및 p130단백질의 인산화 저해는 pRB와 E2F-1및 p130과 E2F-4와의 결합력을 증사시켰다. 본 연구의 결과는 U937세포의 증식억제에 pRB/p130 인산화 억제 및 Cdk inhibitors의 발현 증가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sodium butyrate의 항암기전 이해에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MCF-7 인체 유방암 세포에서 옻나무 추출물이 p53-Dependent G1 Cell Cycle에 미치는 영향 (Induction of p53-Dependent G1 Cell Cycle Arrest by Rhus verniciflua. Stokes Extract in Human Breast Carcinoma MCF-7 Cells)

  • 홍상훈;한민호;최영현;박상은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3-21
    • /
    • 2015
  • Objectives : In Korea, Rhus verniciflua Stokes (RVS) has been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for various diseases such as back pain, syndromes of the blood system in women, gastrointestinal disease, and cancer. However, the molecular mechanisms of its anti-cancer activity have not been clearly elucidated yet. Methods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ssible mechanisms by which RVS extract (RVE) exerts its anti-proliferative action in cultured human breast carcinoma MCF-7 cells. Results : Treatment with RVE in MCF-7 cells resulted in inhibition of cell viability through G1 arrest of the cell cycle and induction of apoptosis in a time- and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as determined by MTT assay and flow cytometry analysis. The induction of G1 arrest by RVE treatment was associated with the inhibition of cyclin D1, cyclin-dependent kinase (Cdk) 2, retinoblastoma protein (pRB), and mouse double minute 2 (MDM2) expression. Moreover, RVE treatment concentration dependently increased the levels of tumor suppressor p53, which was associated with the marked induction of Cdk inhibitors such as p21 (Waf1/Cip1) and p27 (Kip1). However, the inhibition of p53 function by the wild-type p53-specific inhibitor, pifithrin-α, abolished the above-mentioned effects of RVE, showing that p53 was responsible for the cytotoxicity of RVE Conclusions : These data indicate that a molecular pathway involving p53-dependent G1 cell cycle arrest plays a pivotal role in the cellular response to RVE, and demonstrate the potential applications of RVE as an anti-cancer drug for breast cancer treatment.

U937 인체혈구암세포에서 diallyl trisulfide에 의한 mitotic arrest와 apoptosis 유발 (Induction of Mitotic Arrest and Apoptosis by Diallyl Trisulfide in U937 Human Leukemia Cells)

  • 박현수;이준혁;손병일;최병태;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622-62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마늘에서 유래된 생리활성 물질인 diallyl trisulfide (DATS) 처리에 따른 U937 인체혈구암세포의 증식억제가 apoptosis 및 cell cycle arrest 유발과 관련이 있는지 조사하였다. U937 세포증식은 DATS에 의해 농도 및 시간 의존적으로 감소함을 확인 하였고, 이는 apoptosis에 의한 직접적인 세포죽음과 CDK1 및 cyclin B1의 발현 증가 및 histone H3의 인산화와 연관된 mitotic arrest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DATS 처리 초기에 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생성이 매우 증가되었으나, ROS scavenger (N-acetyl-l-cysteine)에 의한 인위적 ROS 생성의 억제는 DATS에 의한 apoptosis 및 mitotic arrest를 완벽하게 차단시켰다. 이는 U937 세포에서 DATS에 의해 유도된 apoptosis 및 mitotic arrest가 ROS에 의해 매개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본 연구의 결과는 DATS가 인체혈구암세포에서 세포증식억제와 관련된 항암기전을 이해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라 생각된다.

청국장에서 얻은 Isoflavone의 MDA-MB-453세포에서 항암효과 및 관련 기전 (Anticancer Effects of the Isoflavone Extract from Chungkukjang via Cell Cycle Arrest and Apoptosis in MDA-MB-453 Cells)

  • 신진영;김태희;김안근
    • 약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33-39
    • /
    • 201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nticancer effects of the isoflavone extract from Chungkukjang in human breast cancer, MDA-MB-453 cells. For this study, MDA-MB-453 cells were treated with 12.5, 25, and $50{\mu}g$ isoflavone extract for 24, 48, and 72 hr. Cell proliferations were decreased in a time- and dose-dependent manner. Reduced cell proliferation was suspected by apoptosis or cell cycle arrest. Therefore, after treatment of $50{\mu}g$ isoflavone extract, apoptotic cells were investigated by annexin V staining. The results indicated that isoflavone extract increased the number of early apoptotic cells compared with control. Cleaved PARP was also increased. Next, we investigated the cell cycle and related proteins. The isoflavone extract leads to cell cycle arrest at the G2/M phase. Moreover isoflavone extract had influenced cell cycle relate proteins such as cyclin B1, cyclin A, and p21. These results suggest that isoflavone extract from Chungkukjang induce apoptosis and cell cycle arrest at G2/M phase via regulation of cell cycle-related proteins in MDA-MB-453 ce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