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722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27초

Biosurfactant 생산균주 Pseudomonas aeruginosa F722의 배양특성

  • 오경택;고명진;박혜영;안길원;김환범;이지헌;강창민;정선용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3년도 생물공학의 동향(XII)
    • /
    • pp.393-397
    • /
    • 2003
  • P. aeruginosa F722는 탄화수소를 분해하는 과정에 biosurfactant (BS)를 생산한다. 탄화수소 분해에 사용되는 C-배지에서 BS 생산량은 0.78 $g/{\ell}$ 이였나, 질소원과 탄소원을 각각 0.05% (w/v) $NH_4Cl\;+\;0.1%$ (w/v) yeast extract과 3.0% (w/v) glucose로 조정한 경우는 BS 생산량이 1.66 $g/{\ell}$로 증가하였다. 최적의 BS 생산조건으로 배양하는 동안 air 1.0 LPM를 공급해 주었을 때는 공기를 공급하지 않을 때의 1.66 $g/{\ell}$보다 약 20% 증가한 1.94 $g/{\ell}$이였다. 뿐만 아니라, glucose 분해속도는 대수증식기와 정지기에서 air를 공급하지 않은 경우0.25, 0.18 $h^{-1}$였으나, 1.0 LPM를 공급한 경우 0.33, 0.29 $h^{-1}$로 조사되었다. 또한, air를 공급하면서 BS 생산 실험을 수행하였을 때, BS 활성이 더 안정적이었다.

  • PDF

원유 분해 미생물의 분리, 동정 및 특성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teria Degrading Crude Oil)

  • 오경택;이용운;쿠보 모토키;김성준;정선용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10호
    • /
    • pp.1851-1859
    • /
    • 2000
  • 원유를 분해하는 미생물을 석유화합물로 오염된 토양으로부터 분리하였고, 이들은 Acinetobacter sp. A132, Pseudomonas putida A422, Pseudomonas aeruginosa F721, F722, 그리고 Xanthomonas maltophilia B823으로 동정되었다. 이들 미생물의 유류 분해율을 조사한 결과, strain A132가 $6.04g/L{\cdot}day$로 가장 놓은 분해율을 나타내었다. 탄소수가 10개에서 32개 사이의 n-alkane 화합물을 기질로 사용하여 각각의 화합물에 대한 분해능력을 조사한 결과, strain A132와 F722는 대부분의 기질에 대하여 분해능력을 보였다. Strain A422는 n-alkane 화합물에 대한 분해능력은 높지 않았으나, benzene과 xylene을 분해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었다. Strain B823은 원유에서는 조금 생장하였으나, 본 연구에서 사용한 다른 기질들에 대해서는 전혀 분해능력을 보이지 않았다. 한편, n-alkane 혼합화합물에 대한 분해율을 GC/FID로 분석한 결과, strain F722는 $nC_7{\sim}nC_{10}$에서 100%, $nC_{11}{\sim}nC_{24}$에서는 80% 이상 의 높은 분해율을 나타내었다.

  • PDF

예측 VQ-Pyramid VQ를 이용한 광대역 음성용 LSF 양자학기 설계 (A LSF Quantizer for the Wideband Speech Using the Predictive VQ-Pyramid VQ)

  • 이강은;이인성;강상원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33-339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벡터 양자화기와 피라미드 벡터 양자화기를 직렬로 결합하여 16차 벡터 소스에 대한 vector quantizer-pyramid vector quantizer (VQ-PVQ)를 개발하였으며, 예측 구조와 세이프티-넷 (safety-net) 개념을 결합시켜 광대역 음성 부호화기용 LPC 계수 양자화 기를 설계하였다. 본 양자화기의 성능은 AMR-WB(ITRT-T G.722.2)의 LPC양자화기 성능과 비교하였는데, 스펙트럼 왜곡 및 메모리 요구량에서 상당한 이득을 얻었다.

대역폭 계층 구조의 광대역 음성 부호차기 개발 (Bandwidth Scalable Wideband Speech Codec)

  • 이우석;손창용;이영범;박호종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481-487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대역폭 계층 구조의 광대역 음성 부호화기 구조와 이를 위한 상위 대역 부호화기를 제안한다. 상위 대역 부호화기는 상위 대역 신호를 다수의 주파수 밴드로 분할하고, 각 밴드 신호를 DCT 변환하여 양자화한다. DCT 계수는 크기와 부호로 분리하여 독립적으로 처리하며, 각각의 특성에 적합한 양자화 방법을 개발하여 성능을 향상시킨다. 또한, 하위 대역의 부호화된 이득 파라미터를 상위 대역의 양자화에 이용함으로써 부호화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G.729E로 하위 대역을 부호화하고 제안한 부호화기로 상위 대역을 처리하는 대역폭 계층 구조의 광대역 음성 부호화기를 개발하였고, 주관적 음질을 측정하여 24kbps G.722.1보다 우수한 음질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개인 수준을 고려한 G-러닝 콘텐츠 설계 및 구현 (G-Learning Content Design and Implementation based on Individual Level)

  • 오정훈;유인호;정혜진;김형진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논문집 2부
    • /
    • pp.722-725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G-러닝 콘텐츠를 사용자 수준에 맞는 난이도 조절을 위해 학습자의 수준을 평가하여 반영하고자 한다. 이때, 학습자의 수준은 게임의 적응도까지 고려하여 설계함으로써 사용자의 적응 훈련도까지 고려한 난이도 조절을 설계한다. 그럼으로써 학습자의 난이도에 맞는 G-러닝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 PDF

CS-ACELP와 호환성을 갖는 광대역 음성 부호화기 설계 (Design of Wideband Speech Coder Compatible with CS-ACELP)

  • 김동주;이인성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2-57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CS-ACELP와 호환성을 갖는 광대역 음성 부호화기를 설계하였다. 16㎑로 샘플링된 광대역 음성신호는 QMF 필터와 Decimation에 의하여 두 개의 협대역 음성신호로 나누어진다. 나누어진 두 개의 협대역 음성신호는 CS-ACELP와 ATC(Adaptive Transform Coding) 방법으로 각각 부호화되어 전송된다. 두 대역으로부터 부호화된 정보는 16 Kbps의 전송률을 갖고, 수신단에서는 각 대역을 CS-ACELP와 ATC 방법으로 역 부호화하여 음성신호를 합성한다. 설계된 광대역 음성부호화기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ITU-T의 표준안인 G.722를 포함하여 MOS 시험을 하였다.

  • PDF

Post-outburst observation of HBC722 in Pelican nebula

  • 양윤아;박원기;성현일;이상각;윤태석;이정은;강원석;박근홍;조동환
    • 천문학회보
    • /
    • 제38권1호
    • /
    • pp.59.1-59.1
    • /
    • 2013
  • HBC722 (also known as LkHa 188-G4 and PTF 10qpf; A. Miller et al., 2011) is one of the FU Orionis-like young stellar objects which outbursted in August 2010 (Semkov et al., 2010). We have been monitoring the post-outburst phase of this object since November 2010 with Korean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 Near Infrared Camera System (KASINICS), at Bohyunsan Optical Astronomy Observatory (BOAO). Four filters, J, H, Ks, and H2 band, were used for this observation. We did aperture photometry to find photometric variation. The light curve shows a long period brightness change. After decrease of the brightness, which was reported at the KAS 2011 fall meeting, HBC722 brightens up slowly now. However we cannot confirm any short period variations, previously reported by Green et al (2013), due to large scatters in the obtained light curv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