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ture Directions

검색결과 2,824건 처리시간 0.029초

학교전기설비의 안전과 미래지향(未來指向) 모색(模索) (Grope for Safety and Future Directions of School Electricity Facility)

  • 전준만;이은웅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5년도 제36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B
    • /
    • pp.999-1001
    • /
    • 2005
  • School electricity facility is different to general electricity facility because use of immature students. But it was design, construct, manage of general electricity facility law realistically In this study, investigate the recent electrical accident data of school and the present status of electricity facility in Chonan. And grope for future directions of school electricity facility.

  • PDF

문헌분석을 통한 인터넷전문은행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및 향후 연구방향 고찰 (Analyses of the Domestic Research Trend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of the Pure Play Internet Banks through Literature Review)

  • 김재덕;옥성환;황경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7호
    • /
    • pp.49-58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전문은행의 국내 연구 현황을 분석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인터넷전문은행의 기본 개념과 현황을 간략히 정리하고, 문헌 분석 기준을 수립하고, 수립한 기준을 바탕으로 인터넷전문은행에 관련된 56편의 문헌을 분석하였다. 인터넷전문은행 분야의 학술적인 연구와 실무에서 참고할 수 있는 주요한 연구 결과와 향후 연구방향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방법적으로 비실증 연구는 의견/주장보다는 수학적/개념적 모델 수립의 연구를, 실증 연구의 경우에는 2차 데이터 분석 방법을 활용하고, 둘째, 개인수준의 연구의 경우, 은행 인력에 대해 연구와 고객 대상의 연구에서 활용과 성과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고, 셋째, 조직 단위의 연구 활성화가 필요하고, 넷째, 사회 수준 연구에서는 인터넷전문은행의 파급효과를 보다 체계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COVID-19과 한국의 사회적경제: 성과와 미래 과제 (COVID-19 and Social Enterprise in Korea: Achievements and Future Directions)

  • 조영복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3호
    • /
    • pp.265-273
    • /
    • 2022
  • 본 연구는 COVID-19 팬데믹 하에서 사회적경제기업의 상황을 살펴보고 미래과제를 제시하는데 있다. 2019년말 시작된 COVID-19 팬데믹이 현재까지 건강, 경제, 사회, 네트워킹 등 우리 사회의 다양한 영역에 영향을 미치고 삶을 황폐하게 하고 있다. 바이러스가 호흡기를 통해 전염되는 것으로, 사람 중심의 사회적경제에 장애요인으로서 작용될 것이며, 주요하게는 재정적인 부분에서 기업가들의 활동을 규제하는 모양새로 나타나고 있다. 다만, 팬데믹이 지속되는 과정 속에서도 사회적경제의 규모는 확대되었으며, 청소위생 및 보건업을 중심으로 경제적인 성과와 함께 지역사회 속에서 사회적 성과를 달성하고 있다는 것에서 호혜와 협력에 기반한 사회적경제기업의 협업을 통해 COVID-19 이라는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사회적경제의 건강한 생태계 조성을 위해서는 COVID-19에 일차원적으로 대응하기 보다는 경제사회적 안전망 구축차원에서 사회적경제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수 있는 보편적이고 구체적인 미래 과제를 선정, 추진해야 할 것이다.

예방의학의 발전방향 (Directions for Future Development of Preventive Medicine in Korea)

  • 김준연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9권3호
    • /
    • pp.185-189
    • /
    • 2006
  • It is the actual state of the medical society in our country that many graduates of medical schools want to be clinicians, and accordingly Korea's medical situation is relatively too focused on curative medicine. However, this situation is changing due to several factors including a growing number of doctors, inappropriate regulations for medical fees, changes in social status of doctors themselves, and excessive competition between doctors. Furthermore, we expect more advances in medical field of Korea since Korean government started to attach great importance to sciences and produced policies to support sciences, and as a result, more and more interest and effort in the fields of basic research including preventive medicine is being attached especially by young doctors as compared against the past. However, decline of clinical medicine fields doesn't always mean bright future for the field of preventive medicine. True future is possible and meaningful only when we prepare for it by ourselves. In other words, as the promising future is closed to one who spares no effort, we shouldn't fear to oppose unknown challenges and simultaneously need to support colleagues who bear such a positive mind. It is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our preventive medicine doctors to evaluate the past and the pres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to foster a prospective mind to prepare for the future of preventive medicine. I set forth my several views according to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preventive medicine which we already discussed and publicized in the academic circle of preventive medicine. Those directions are recommendation of clinical preventive medicine, promotion of preventive medicine specialty, fostering the next generations, improving the quality of genetic epidemiologic study, participation in control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food safety, contribution to chronic disease control, and preparation to role in medical services for unified Korea.

중국 애니메이션 산업 현황 및 발전 추세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trend of Chinese animation industry)

  • 양덕성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149-154
    • /
    • 2022
  • 최근 몇 년 동안 중국의 애니메이션 산업 발전은 국민 총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중국의 애니메이션 산업의 현황을 보면 한국의 애니메이션 업계와 비교해 볼 때 여전히 부족한 점이 많다. 이 논문은 중국 애니메이션 산업의 현황과 향후 발전 추세를 주제로, 본문은 먼저 현재 중국 애니메이션 산업의 현재 발전 상황을 논술하고, 둘째, 현재 중국 애니메이션 산업이 직면한 문제점을 검증한다. 마지막으로 애니메이션 산업의 향후 발전방향으로 애니메이션 산업 체인의 올바른 구축과 관련 방향의 인재를 대대적으로 양성하여, 창의성인 애니메이션 산업이 육성될 수 있도록 정책방향을 설계하는데 핵심 의의로 삼는다. 이 세 가지 방향은 향후 중국 애니메이션 산업발전을 촉진할 것이라 사료된다.

주민참여를 통한 도시복개하천의 환경친화적 복원방향설정에 관한 연구 - 과천 양재천 복개하천 복원사업을 사례로 - (A Study on Establishment of the Directions for Environmentally-friendly Restoration of Underground Stream by Citizen Participation - In the Case of the Yangjae Underground Stream Restoration Project -)

  • 송병화;양병이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33-44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future directions of environmentally-friendly restoration of Yangjae underground stream and reflect various opinions of inhabitant in the plan and design process. The opinions from the citizens include the economic and environmental suitability of the restoration projects and preference for the future directions of restoration. The citizens are favorable to removing the existing parking lot and want to have jogging course, walking path and bike road in the stream. Different opinions and resulted in preferred facilities and diminishing existing park along the stream depending on the restoration influencing zone. As a result, citizens agree in restoration but they have different opinions about the feasibility of new facilities, streams restoration and central park reduction locally. It is desirable to reflect the opinions of citizens in the process of plan and design of restoration project.

문헌 연구를 통한 버스정보시스템 분야의 연구 동향 및 향후 방향 고찰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and Directions of Bus Information System based on Literature Review)

  • 김원기;황경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0호
    • /
    • pp.63-81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민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버스정보시스템(Bus Information System: BIS) 분야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것은 학술적으로나 실무적으로 매우 의미있고 중요한 작업이라고 판단된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1) BIS의 기본 개념을 정리하고, (2) 이 분야의 문헌을 분석하여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연구 프레임워크를 수립하고, (3) 이를 바탕으로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한다. '구글 학술검색'을 통해서 식별된 22개의 해외 문헌과 46개의 국내 문헌을 분석한 주요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지금까지 많이 수행된 비실증 연구를 기반으로 보다 심도있는 실증 연구의 수행이 필요하다. (2) BIS의 품질 등 BIS 관련 구성개념들을 측정하는 공통적인 지표를 수립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3) 지금까지의 연구에서 간과하고 있는 BIS의 이해관계자(예: 버스 운전자, 행정기관 등)에 미치는 효과 및 영향을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도서관의 특성화 정책과 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olicies and Future Directions in Library Specialization)

  • 노영희;신영지;곽우정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41-27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특성화 도서관 사례를 조사하고 특성화 정책, 특성화 분야, 특성화 효과 등을 조사하고, 이를 기반으로 향후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도서관의 특성화 정책은 국내외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정책이며, 특히 국내의 경우 1998년에도 단기적으로 추진했던 정책이었고, 13개가 특성화도서관으로 지정되어 그 중 9개가 지금까지도 운영되어 오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특성화 유형이나 방향을 보았을 때, 장서 특성화 관련 사례들이 많을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지역대표도서관들도 전체 주제분야를 서비스하되 나름대로 특성화 주제를 지정하여 집중적으로 자료 수집 및 서비스를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향후 특성화 도서관에 배치될 전문인력의 자격, 자질, 역량 등에 대한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고 보며, 특히 이미 특성화된 도서관 이용자들의 만족도 조사, 요구사항 등을 파악하여 이후 특성화를 추진하는 도서관들에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Emotional Intelligence Research Trend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in Korean Journals

  • LEE, Seoyeon;MOON, Jaeseung
    • 산경연구논집
    • /
    • 제12권1호
    • /
    • pp.31-46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variables related to emotional intelligence in a comprehensive manner. In addition, the study intends to present research trend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a Korean context by analyzing the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its mechanism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77 KCI listed studies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and the research perspective of emotional intelligence, measurement instruments, empirical research and research methods were analyzed. In addition, research directions were suggest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Resul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previous researchers used the ability model of emotional intelligence the most. Second, Previous studies tended to focus on behavioral factors as dependent variables affected by emotional intelligence, in addition to attitudes, affection. Third, there were few studies on the antecedents of emotional intelligence, however, most studies dealt with the consequences of emotional intelligence. Fourth, few studies dealt with moderators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dependent variables. Fifth, on the research type, most studies were quantitative studies, however, a few of them were qualitative studies (Literature review, in-depth interview). Sixth, with regard to the analysis level, almost all studies were conducted on the individual level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most studies featured a cross-sectional research design (longitudinal research design was rare). Conclusion: First, from the perspective of emotional intelligence, additional research should be focused on not only the ability model of emotional intelligence but also on the trait model or the mixed model in the future. Second, since emotional intelligence is a multidimensional construct,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profile of emotional intelligence by employing people-centered as well as variable-centered methods. Third, with regard to empirical studies,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with respect to not only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subordinate, but also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supervisor (leader) and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group. Fourth, it is necessary to actively utilize not only cross-sectional design but also longitudinal design, and qualitative research and meta-analysis methods should also be adop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