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sarium moniliforme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31초

비병원성(非病原性) Fusarium균(菌)을 이용(利用)한 아스파라거스의 병원성(病原性) Fusarium균(菌)의 생물적(生物的) 방제(防除) (Biological Management of Virulent Fusarium Species on Asparagus with Avirulent Fusarium Species In Vitro)

  • 이윤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88-300
    • /
    • 1994
  • 재배지에서 경작된 아스파라거스의 이병조직으로 부터 Fusarium oxysporum이 가장 많이 분리되었고 F. moniliforme와 F. solani가 그다음 순으로 분리되었다. 유묘와 조직배양을 통해 얻은 개체를 이용한 병원성 검정 결과, F. oxysporum과 F. moniliforme는 병원성이 강한 것으로 밝혀졌고, F. solani와 잠두의 배축으로 부터 분리한 비 병원성 F. oxysporum (AVFO)은 병원성이 약하거나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F. moniliforme가 F. oxysporum 보다 병원성이 더 강한 것으로 밝혀졌고, F. moniliforme가 F. oxysporum보다 더욱 일관된 병원성을 지니고 있음이 밝혀졌다. 비병원성 Fusarium균을 이용한 생물적 방제 실험 결과, 병원성 균주를 접종하기 5-7일전에 비병원성 균주들을 접종하여 방제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 비병원성 F. oxysporum (AVFO)은 F. oxysporum에 대해서 보다 F. moniliforme에 대해 더욱 효과적인 방제효과를 나타냈고, F. solani는 F. moniliforme에 대해서 보다 F. oxysporum의 방제에 더욱 효과적이었다.

  • PDF

Fusarium moniliforme 감염벼종자의 소독과 주사전자현미경적 조직관찰 (Effect of Seed Treatment and Observation of Seeds Infested with Fusarium moniforme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 성재모;이형순;유승헌;신관철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51-55
    • /
    • 1985
  • Fusarium moniliforme에 감염된 벼줄기의 도관부에서도 균사가 관찰되었다. Benlate T와 Busan 30을 처리한 종자에서도 소독시간에 관계없이 F. moniliforme가 분리되지 않아 소독효과가 인정되었으나 현미에서 소독시간에 관계없이 F. moniliforme가 검출되어 방제효과가 떨어졌다.

  • PDF

한국에서의 Fusarium균에 의한 보리의 토양전염성병 (Soil-borne Diseases of Barley in Barley in Korea Caused by Fusarium spp.)

  • 성재모;;정봉구;정봉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15-119
    • /
    • 1977
  • Fusarium spp가 1976년 포장에서 채집한 벼밀 보리에서 분리되었다. 병원성이 있는 것은 Fuarium(Calonectria) nivale, F.(Gibberella) moniliforme와 F.(Gibberella) roseum 'Graminearum'과 'Avenaceum'이었다. 부생균가운데 F.(Nectria) episphaeria가 분리되었다. F. nivale와 F. episphaeria의 완전시대인 Calonectria Nectria가 발견되었고 이것들은 한국에서 보고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분리된 Fusaria는 벼에서 $66.3\%$가 F. moniliforme 이고 보리, 밀에서$68.2\%$가 F. roseum 'Graminearum 이었다. 자낭각은 실험실 조건하에서 형성되었고 F. moniliforme는 밀이삭, 보리씨에 접종한 결과 병원성이 나타났다.

  • PDF

포장(圃場)에서 Fusarium속균(屬菌)의 종자(種子) 감염(感染)과 소독제(消毒劑)의 선발(選拔) (Rice Seed Infection of Fusarium spp. at Paddy Field and Selection of Seed Disinfectants)

  • 성재모;이종은;양성석
    • 한국균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99-103
    • /
    • 1985
  • 품종(品種)별로 포장(圃場)에서 임의(任意)로 채집(採集)하여 병원균(病原菌)을 분리(分離)한 결과(結果) Fusarium moniliforme와 F. roseum 'Graminearum' 품종(品種)에 따라 분리(分離) 비율(比率)이 다르나 공시(供試)한 품종(品種)에서 거의 다 분리(分離)되었다. 특(特)히 F. roseum 'Graminearum'은 현미(玄米)에서도 높은 분리비율(分離比率)을 보였다. 참새 피해(피해)를 받은 이삭에서 F. moniliforme의 Sporodochia가 많이 형성(形成)되었으며 벼 별구에서도 . F. moniliforme등 많은 병원균(病原菌)이 분리(分離)되었다. 저지원 시험결과 P242가 F. moniliforme에 대하여 저지비교(效果)가 가장 좋았으나 소독(消毒)후 종피(種皮)에서는 병원균(病原菌)이 거의 분리(分離)되지 않았으나 현미(玄米)에서는 키다리병원균(病原菌)인 F. moniliforme가 많이 분리(分離)되었다. 소독시간별(消毒時間別) 약효(藥效)를 보면 4시간 동안 처리하면 12시간 24시간 36시간 보다 약효가 띨어졌으며 $30^{\circ}C$에서 36 시간 처리한것이 가장 종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Fusarium moniliforme에 의한 덴파레 검은점무늬병 (Black Leaf Spot of Dendrobium phalaenopsis Caused by Fusarium moniliforme)

  • 이동현;허재선;고영진
    • 식물병연구
    • /
    • 제9권3호
    • /
    • pp.149-152
    • /
    • 2003
  • 전남 광양읍 봉강면의 양란 재배농가에서 재배되고 있는 덴파레에 검은점무늬병이 발생하였다. 자연 발병한 덴파레의 잎에는 초기에 검은색의 작은 점무늬가 형성되어 점차 진전되면서 잎 전체가 누렇게 변하면서 고사해 버리며 소엽병의 마디가 약화되어 낙엽이 지고 심하면 식물체 전체가 말라죽었다. 검은점무늬병에 감염된 덴파레의 병환부로부터 분리된 병원균은 감자한천배지 상에서 초기에 흰색을 띠며, 점차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진한 보라색을 띠었으며, 균사생장 적온은 $25^{\circ}C$였다. 덴파레 잎의 검은 점무늬 병반으로부터 분리한 병원균은 균학적 특성 및 병원성 검정 결과 Fusarium moniliforme로 동정되었다. 병원균은 상처 접종에 의해서만 덴파레에 병원성을 나타내었고, 호접란과 심비디움에 대해서도 모두 병원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 병을 Fusarium moniliforme에 의한 덴파레 검은점무늬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Fusarium moniliforme이 생산하는 효모세포벽 분해효소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yeast cell wall lytic enzyme from Fusarium moniliforme)

  • 장판식;박관화;이계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467-471
    • /
    • 1986
  • Fusarium moniliforme으로부터 순모세포벽 분해효소를 생산하고 분리, 정제하여 효소특성 및 protoplast 제조실험을 하였다. Ammonium nitrate를 0.2% 첨가한 Baker's yeast 배지에서 7일간 진탕배양으로 효소를 생산한 후 Ammonium sulfate로 분획하고 Sephadex(G-100) column chromatography하여 세개의 peak를 얻었다 첫 번째 peak는 proteolytic, lytic activity 및 laminarin 분해력가를 보였으며, 두 번째 Peak는 lytic activity와 laminarin 분해력가를 동시에 가지고 있었으며, 세 번째 peak는 lytic activity만을 가지고 있었다. 분리된 세개의 peak를 혼합하였을때 개개의 peak보다 훨씬 높은 역가을 나타내어 상승효과를 보였고 또한 환원제에 의한 효소력가의 상승효과도 있었다. protoplast 수율은 99.2%정도였다

  • PDF

벼의 수분활성도가 Fusarium moniliforme NRRL 13569의 성장과 Fumonisin $B_1$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ter Activity on the Growth of Fusarium moniliforme NRRL 13569 and on the Fumonisin $B_1$ Production on Rough Rice)

  • 정수현;이택수;김영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19-123
    • /
    • 1995
  • 수분활성도를 $0.85{\sim}0.97$로 조절한 벼에서 Fusarium moniliforme NRRL 13569의 성장과 Fumonisin $B_{1}(FB_{1})$ 생성량을 조사하였다. 곰팡이이 성장은 Aw 0.97에서 가장 높았다. 곰팡이의 성장 속도와 최대 성장량은 수분활성도가 낮아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곰팡이의 성장은 Aw 0.85에서도 가능한 것으로 나타나 벼에서 F. moniliforme의 성장을 막으려면 이보다 더 낮은 수분활성도의 유지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FB_{1}$의 생성은 Aw 0.93과 0.90에서 흔적 수준의 생성량을 보였으며 그 이하에서는 $FB_{1}$의 생성을 확인할 수 없었다. 따라서 독소의 축적의 방지는 0.90 보다 낮은 Aw에서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 PDF

Fusarium속(屬)의 염색체(染色體)에 관한 연구(硏究)(I) (Chromosomal Studies on the Genus Fusarium(I))

  • 민병례
    • 한국균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53-256
    • /
    • 1986
  • fusarium속(屬)에 속하는 3 종(種)인 F. solani, F. moniliforme, F.cocophilum을 실험재료로 하여 그들의 균사내(菌絲內)에서 일어나는 핵분열(核分裂)을 관찰하고, 그들의 염색체수(染色體數)를 확인하였다. Fusarium속(屬)의 핵분열(核分裂)은 생장(生長)하고 있는 끝부분(hyp-hal tip)에서 좀 더 관찰이 잘 되었고 염색체(染色體)의 형태(形態)는 대체로 점(點)(dot)모양이었으며, 확인한 염색체(染色體)의 수(數)는 F. solani는 n=8, F. moniforme는 8, F. cocophilum은 n=6개였다.

  • PDF

Prevalence and Transmission of Seed-Borne Fungi of Maize Grown in a Farm of Korea

  • Basak, A.B.;Lee, Min-Woong
    • Mycobiology
    • /
    • 제30권1호
    • /
    • pp.47-50
    • /
    • 2002
  • Seed-borne fungi of some maize cultivars/lines grown during the months from May to September of 2001, collected from Dongguk University farm, Go Young City, IL Sang Gu, Korea were detected by blotter method. In all six fungi namely Alternaria alternata(Fr.) Keissler, Aspergillus niger Van Tiegh, Fusarium moniliforme Sheldon, Fusarium sp., Penicillium sp. and Ustilago zeae Unger. were found to associated with maize seeds. Prevalence of seed-borne fungi also varied. The highest percentages of seed-borne fungi were recorded with Fusarium moniliforme and the lowest in Penicillium sp. Transmission of all seed-borne pathogens from seeds to seedlings were also detected by test tube seedling symptom test. Among the seed-borne fungi, Alternaria alternata, Fusarium moniliforme and Fusarium sp. produced distinct seed rot and seedling infection symptoms. All the transmitted seed-borne fungi might be caused primary source of infection to the maize crop.

Fusarium moniliforme의 Propagule형성(形成)과 발아(發芽)에 미치는 Water Potential의 효과(效果) (Effect of Water Potential on Mycelial Growth, Reproduction and Spore Germination by Fusarium moniliforme)

  • 성재모;이은종;박종성
    • 한국균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99-103
    • /
    • 1984
  • Fusarium moniliforme strain별 균사신장(菌絲伸長)은 Strain IV은 water agar나 PDA에 관계(關係)없이 -14 bars에서 좋았고 -80 bars에서도 균사(菌絲)자람이 정지되지 않았다. Strain II와 Strain IV 를 비교(比較)하여보면 Strain II가 Strain IV보다 각 water potential 에서 균사(菌絲)자람이 좋았다. 분생포자형성(分生胞子形成)은 Strain에 관계(關係)없이 소형분생포자(小型分生胞子)는 0에서 -20bars까지는 점점(漸漸) 형성(形成)이 증가(增加)하다가 -20bars에서 가장 많이 형성(形成)되었으며 -80bars에서도 아주 적은수이지만 형성(形成)이 되었다. 대형분생포자(大型分生胞子)는 -1.4bars에서 포자형성(胞子形成)이 잘 되었고 water potential 떨어짐에 따라 -32bars에서 대형분생포자(大型分生胞子)를 형성(形成)하지 않고 소형분생포자(小型分生胞子)만 형성(形成)하였다. 포자발아(胞子發芽)는 -1.4bars에서 발아율(發芽率)이 좋았고 water potential이 떨어질수록 발아율(發芽率)도 떨어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