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sarium fujikuroi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37초

우리나라에서 분리한 벼 키다리병균(Fusarium fujikuroi)의 살균제 저항성 (Fungicide Resistance of Fusarium fujikuroi Isolates Isolated In Korea)

  • 이용환;김소연;최효원;이명지;나동수;김인선;박진우;이세원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27-432
    • /
    • 2010
  • 2006년부터 2009년 까지 우리나라의 벼 재배지역에서 키다리 증상을 보이는 시료를 채집하여 벼 키다리병균 118균주를 분리하였다. 분리 후 공시된 균주는 한전희석법을 이용하여 prochloraz, tebuconazole, 및 benomyl의 세 약제에 대한 저항성 정도를 검정 하였고, 각 균주의 균사 생장율을 조사하여 살균제별 $EC_{50}$ 값을 구한 결과, prochloraz 에서 0.207, tebuconazole에서 2.508, 그리고 benomyl에서 $2.752{\mu}g{\cdot}mL^{-1}$으로 조사되었다. 이들을 토대로 각 약제에 대한 F. fujikuroi 분리균의 저항성 판단 기준 농도는 prochloraz와 benomyl의 경우 각 각 0.5와 $2.5{\mu}g{\cdot}mL^{-1}$의 낮은 농도 값이 지정된 반면, tebuconazole에 대한 저항성 기준 농도는 $5.0{\mu}g{\cdot}mL^{-1}$으로 다소 높은 값이 지정되었다. 설정한 저항성 기준농도를 적용하여 저항성 균주를 조사한 결과 prochloraz와 tebuconazole 약제에 대해 17개와 19개 균주로 조사되었고, 오랜 기간 사용되어온 benomyl에 대해 저항성을 보이는 균주는 43개로 더 많이 나타났다. Prochloraz와 tebuconazole, proch1oraz와 benomyl, 및 tebuconazole과 benomyl 별로 접종원의 $EC_{50}$ 값을 비교해 본 결과, 이중저항성을 보이는 균주는 각각 4, 11, 6균주였으며, 이 3가지 약제에 모두 저항성을 보이는 균주는 CF366 와 LF3 35 2균주로 이들은 모두 경북 지역에서 분리된 균주였다. 각각의 약제에 저항성인 균주들과 이중저항성을 보인 균주, 그리고 세 가지 약제에 대해 모두 저항성인 균주와 감수성인 균주를 선발하여 균사 생장 억제율을 비교해본 결과 해당 약제에 저항성을 보이는 균주는 다른 균주에 비해 약제의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억제 곡선이 완만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Fusarium prolifertum KGL0401의 지베렐린 생산 최적조건과 waito-c 생장에 미치는 영향 (Optimization of gibberellin production by Fusarium prolifertum KGL0401 and its involvement in waito-c rice growth)

  • 임순옥;이진형;이인중;이인구;김종국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20-124
    • /
    • 2007
  • 본 연구는 지베렐린을 생산하는 곰팡이로 알려진 야생균주 Gibberella fujikuroi보다 더 많은 지베렐린을 생산하는 균인 Fusarium proliferatum KGL0401를 꽈리 뿌리에서 분리하였으며[13], 지베렐린 생산을 위한 최적 탄소원과 질소원의 종류, C:N ratio에 대해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지베렐린 중 생물학적 활성이 가장 높은 $GA_3$를 가장 많이 생산하는 탄소원은 sucrose(7.02 ng/ml)이었으며, 질소원은 $NH_4Cl$(187.63 ng/ml)이었다. 그리고 최적 C:N ratio를 찾기 위해 탄소원(0 - 1.5 M)과 질소원(0 - 0.47M)을 배지에 첨가하였다. 결과적으로 최적 탄소원과 질소원의 ratio가 0.5 M : 0.17 M일 때 생물학적 활성을 가진 $GA_3$를 140.0 ng/ml로 가장 많이 생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bioassay 결과 $GA_1,\;GA_3\;GA_4$$GA_7$의 함량이 가장 높았던 C:N ratio가 0.5 M : 0.17 M 일 때의 배양액 10 ul을 처리한 waito-c 볍씨의 길이가 평균 11.1 cm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국내 수수 알곡에서의 Fusarium속 균의 발생현황 (Occurrence of Fusarium Species in Korean Sorghum Grains)

  • 최정혜;나주영;진현숙;임수빈;백지선;이미정;장자영;이데레사;홍성기;최효원;김점순
    • 식물병연구
    • /
    • 제25권4호
    • /
    • pp.213-219
    • /
    • 2019
  • 2017년, 2018년에 단양과 영월에서 재배된 수수에서 1,159점의 Fusarium 균주를 분리하여 유전적, 독성학적, 병리학적 특성을 규명하였다. TEF-1α와 RPB2 유전자를 이용한 계통수 분석결과 수수는 17종의 Fusarium 종들로 오염되었으며, 이 중 F. graminearum, F. proliferatum, F. thapsinum, F. incarnatum, F. asiaticum 등이 주요 우점종이었다. F. graminearum과 F. asiaticum 중에는 F. graminearum-15-acetyl deoxynivalenol 화학형과 F. asiaticum-nivalenol 화학형 균들이 우점하였다. F. thapsinum과 FTSC 11을 제외한 6개의 Fusarium 종이 하나 이상의 독소를 생성하였다. F. proliferatum과 F. fujikuroi 균주 들 중 각각 76.0%와 81.6%가 FUM1 유전자를 가지고 있으며, 일부 균주는 고농도(1,000 ㎍ 이상)의 푸모니신을 생성하였다. F. proliferatum과 F. thapsinum이 다른 종에 비해 높은 수수 병원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수수의 Fusarium종들이 여러 종의 독소를 생성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후자린산(Fusaric acid) 생성 Fusarium 종의 신속 검출 PCR (Rapid Detection Method for Fusaric Acid-producing Species of Fusarium by PCR)

  • 이데레사;김소수;;;함현희;이수형;홍성기;류재기
    • 식물병연구
    • /
    • 제21권4호
    • /
    • pp.326-329
    • /
    • 2015
  • 후자린산은 Fusarium이 생성하는 독소로서 다른 Fusarium 독소와 함께 독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후자린산 독소를 특이적으로 검출하기 위해 후자린산의 생합성유전자 중 전사인자인 FUB10을 증폭하는 프라이머를 제작하였다. Fub10-f와 Fub10-r 프라이머쌍으로 PCR을 수행했을 때, F. oxysporum, F. proliferatum, F. verticillioides, F. anthophilum, F. bulbicola, F. circinatum, F. fujikuroi, F. redolens, F. sacchari, F. subglutinans, F. thapsinum에서 약 550 bp의 단일밴드가 증폭되었으며 이들은 모두 후자린산을 생성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트라이코쎄신을 생성하는 종에서는 FUB10 특이 밴드가 증폭되지 않았다. 후자린산은 푸모니신을 생성하는 종에서 함께 생성될 수 있기 때문에 FUB10 프라이머와 푸모니신 생합성유전자인 FUM1 프라이머를 이용한 multiplex PCR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푸모니신 생성종인 F. proliferatum과 F. verticillioides에서 밴드가 모두 증폭되었으며 이는 두 가지 독소를 생성할 수 있는 종에서 동시 검출이 가능함을 시사하였다.

율무 이삭마름 증상에서 분리한 Fusarium속 균의 다양성 및 병원성 (Diversity and Pathogenicity of Fusarium Species Associated with Head Blight of Job's Tears)

  • 최효원;홍성기;김완규;이영기
    • 한국균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17-222
    • /
    • 2011
  • 율무(Coix lacryma-jobi)는 동아시아에 자생하는 작물로, 종실은 주로 건강식품이나 의약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2006년부터 2008년까지 국내 율무 재배 지역에서 이삭마름 증상이 관찰되었다. 병징은 겉껍질이 변색되고, 내부의 속씨는 마르고 쭉정이가 되는 것이다. 159개의 Fusarium균을 분리하였고, 분리 빈도별로 F. graminearum(34%), F. proliferatum(14.5%), F. verticillioides(10.1%), F. equiseti(6.9%), F. fujikuroi(6.3%) 순으로 분리되었고, 그 밖에 F. subglutinans, F. semitectum, F. poae, F. sporodochioides가 분리되었다. 분리균주의 elongation factor 1 alpha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한 계통분석을 수행한 결과, NCBI GenBank에 등록된 균주와 동일한 것을 확인하였다. 분리균주의 병원성 검정을 수행한 결과, F. graminearum, F. proliferatum, F. verticillioides가 병원성이 강하였다. 이 연구는 Fusarium균에 의해 발생한 율무 이삭마름 증상에 대한 첫 번째 보고이다.

Gibberellin 산류 생산균주의 분리와 생산성검토 (Productivity test on some screened strains of Gibberella fujikuroi(Saw.))

  • 임선욱;이춘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4권2호
    • /
    • pp.171-175
    • /
    • 1971
  • 벼의 키다리병(Bakanae disease)병원균 Gibberella fujikuroi Sawada는 그의 대사 산물로 Gibberellin 산류를 생산하고 있어 작물생장 조절작용이 있는 이 물질을 얻기 위하여는 우수한 균주를 알맞은 조건에서 배양하는 것이다. 이 시험은 우리나라의 야생균 가운데 Gibberellin 산류의 생산성이 우수한 균주를 분리 선발하기 위하여 먼저 평택, 예산, 당진 및 순천지역에서 키다리병에 걸려있는 볏모 뿌리를 수집하여 평택지역 4, 예산지역 7, 당진지역 7, 순천지역 5 균주를 각각 분리하여 형태학적으로 검토하여 동정하였다. 분리 선발된 각 균주와 대조근주(IAM-8048)에 대하여 일정한 배양 조건에서 Gibberellin 산류의 생산성을 배양액중 농도 측청과 볏모에 대한 배양액 추출물의 생산촉진 효과실험을 통하여 우수한 활성 균주 셋을 선정 Gibberella fujikuroi P-105, Y-14 및 T-58이라 각각 기호를 부쳤으며 그 가운데 P-105가 가장 우수하였다. 균주 Y-5, Y-7, T-54 및 S-152 등은 배양액중 Gibberellin 산류의 농도와 볏모에 대한 생장 촉진 효과가 낮거나 약간 억제적이었다. 배양 조건을 추구하기 위하여 조성과 함량이 다른 여섯가지 배양기에 대하여 비교 시험한 결과 Raulin-Thom 배양기 (glucose 16%, $NH_4NO_3$ 0.24%)에서 Gibberellin 산류의 생산이 가장 높았으며 그 밖에 다른것은 대략 Cross, Borrow, West, Stodola, Kurosawa 배양기의 순위로 생산성이 낮았다.

  • PDF

Toxigenic Mycobiota of Small Grain Cereals in Korea

  • Lee, Theresa
    • 한국균학회소식: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균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임시총회
    • /
    • pp.33-33
    • /
    • 2016
  • Mycotoxins are toxic secondary metabolites produced by fungi. They can be present in where agricultural-based commodities are contaminated with toxigenic fungi. These mycotoxins cause various toxicoses in human and livestock when consumed. Small grains including corn, barley, rice or wheat are frequently contaminated with mycotoxins due to infection mainly by toxigenic Fusarium species and/or under environment favorable to fungal growth. One of the most well-known Fusarium toxin groups in cereals is trichothecenes consisting of many toxic compounds. Deoxynivalenol (DON), nivalenol (NIV), T-2 toxin, and various derivatives belong to this group. Zearalenone and fumonisin (FB) are also frequently produced by many species of the same genus. In order to monitor Korean cereals for contamination with Fusarium and other mycotoxigenic fungal species as well, barley, corn, maize, rice grains, and soybean were collected from fields at harvest or during storage for several years. The fungal colonies outgrown from the grain samples were identified based on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Trichothecene chemotypes of Fusarium species or presence of FB biosynthetic gene were determined using respective diagnostic PCR to predict possible toxin production. Heavy grain contamination with fungi was detected in barley, rice and wheat. Predominant fungal genus of barley and wheat was Alternaria (up to 90%) while that of rice was Fusarium (~40%). Epicoccum also appeared frequently in barley, rice and wheat. While frequency of Fusarium species in barley and wheat was less than 20%, the genus mainly consisted of Fusarium graminearum species complex (FGSC) which known to be head blight pathogen and mycotoxin producer. Fusarium composition of rice was more diverse as FGSC, Fusarium incarnatum-equiseti species complex (FIESC), and Fusarium fujikuroi species complex (FFSC) appeared all at considerable frequencies. Prevalent fungal species of corn was FFSC (~50%), followed by FGSC (<30%). Most of FFSC isolates of corn tested appeared to be FB producer. In corn, Fusarium graminearum and DON chemotype dominate within FGSC, which was different from other cereals. Soybeans were contaminated with fungi less than other crops and Cercospora, Cladosporium, Alternaria, Fusarium etc. were detected at low frequencies (up to 14%). Other toxigenic species such as Aspergillus and Penicillium were irregularly detected at very low frequencies. Multi-year survey of small grains revealed dominant fungal species of Korea (barley, rice and wheat) is Fusarium asiaticum having NIV chemotype.

  • PDF

Fusarium proliferatum KGL0401 as a New Gibberellin-Producing Fungus

  • Rim, Soon-Ok;Lee, Jin-Hyung;Choi, Wha-Youl;Hwang, Seon-Kap;Seok, Jong-Suh;Lee, In-Joong;Rhee, In-Koo;Kim, Jong-Gu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4호
    • /
    • pp.809-814
    • /
    • 2005
  • Gibberellins (GAs) play an important role in plant growth and development. Fifteen fungi were isolated from Physalis alkekengi var francheti plant roots, and among them, four isolates showed GA-production activity. A bioassay using waito-c rice was carried out with the culture fluid of the GA-producing fungi. The GA-producing fungi were cultured for 7 days in Czapek's liquid medium at $30^{\circ}C$, 120 rpm, under dark conditions. The culture broth was concentrated 30-fold and 10 ${\mu}l$ of that concentrate was applied to 2-leaf rice sprouts. The height of the rice seedlings treated with the culture fluid of isolate PA08 was 26 cm high, while that of the seedlings treated with the wild-type Gibberella fujikuroi was 13 cm high. As such, the plant growth-promoting activity exhibited by isolate PA08 was 2 times stronger than that exhibited by the wild-type G fujikuroi. The amounts of $GA_l,\;GA_3,\;GA_4,\;GA_7,\;GA_9,\;GA_{20}$, and $GA_{24}$ in the medium were measured using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and the quantities produced by isolate PA08 were 4.85 ng/ml, 4.79 ng/ml, 17.30 ng/ml, 6.01 ng/ml, 16.61 ng/ ml, 0.08 ng/ml, and 17.30 ng/ml, respectively. Isolate PA08 was also identified as Fusarium proliferatum KGL0401 by a genetic analysis of the nucleotide sequences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egion of the ribosomal DNA.

벼 붉은곰팡이병 감염에 대한 기상조건의 영향과 장려품종의 반응 (Weather Effect and Response of Promoted Rice Varieties on Fusarium Infection in Paddy Field)

  • 이데레사;장자영;김점순;류재기
    • 식물병연구
    • /
    • 제24권4호
    • /
    • pp.313-320
    • /
    • 2018
  • 벼 붉은곰팡이병에 대한 품종별 반응과 기상조건에 따른 감염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장려품종 재배포장의 기상자료와 수확한 벼의 이병립율과 Fusarium 균을 동정하였다. 출수개화 전인 7월 하순부터 등숙기인 9월말까지의 평균기온이 수확후 산물벼의 이병립율에 크게 영향을 주었으며, 평균기온이 비슷한 2010년과 2013년에는 같은 기간의 누적강우량, 누적 강우일수, 2일 이상 강우지속횟수와 관련이 있었다. 2010년과 2013년에 수확한 벼에서 Fusarium 균의 종복합체별 분리비율은 FGSC에 대해 각각 57%과 45%, FIESC에 대해 35%과 50%, FFSC에 대해 8%과 5%이었다. FGSC와 FFSC의 분포비율은 2010년이 2013년에 비해 높았다. Fusarium 균의 자연감염에 대한 품종반응은 26개 장려품종 중 미향 품종만이 FGSC 자연감염에 대한 저항성을 보였으며, 남평, 하이아미, 영호진미 품종은 총 Fusarium 병원균의 자연감염에 대하여 전반적인 저항성을 보였다. 그 밖의 대부분의 장려품종은 저항성 또는 감수성으로 구분할 수 없었다. 본 연구결과는 Fusarium 균 자연감염에 대한 저항성과 감수성을 판단하는 기초자료로서 의의가 있다.

Effects of Rhizosphere Microorganisms and Wood Vinegar Mixtures on Rice Growth and Soil Properties

  • Jeong, Kang Wook;Kim, Bo Sung;Ultra, Venecio U. Jr.;Chul, Sang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0권3호
    • /
    • pp.355-365
    • /
    • 2015
  • Environment-friendly growth enhancers for rice are being promoted to reverse the negative impact of intensive chemical-based and conventional rice farming on yield sustainability and environmental problems. Several rhizosphere microorganisms and pyroligneous acids (PA) had demonstrated beneficial influence on growth, yield and grain quality of rice. Since most of the previous study had evaluated the effect of PGPR and PA on paddy rice singly, the effect of combined application of these on the growth and yield of paddy rice and on some soil chemical properties were determined. A four factorial pot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PGPR, PA in combination with fertilizers and on different soil types. There were 54 treatment combinations including the control with three replications under complete randomized design. Plant growth parameters were evaluated using standard procedures during tillering and heading stages. Rice yield and some soil chemical properties were determined at harvest. Results showed that inoculation of Bacillus licheniformis and Fusarium fujikuroi enhanced plant growth by increasing the plant height which could be ascribe to its ability to promote IAA and GA production in plants. Inoculation of Rhizobium phaseoli enhanced chlorophyll content indicative to its ability to improve the N nutrition. However, these plant growth benefits during the vegetative stage were override by the fertilizer application effect especially during the maturity stage and grain yield. High fertilization rates on coarse-textured soil without nutrient loss resulted to high available nutrients and consequently high yield. Wood vinegar application however improved nutrient availability in soil which could be beneficial for improving soil quality. Further evaluation is necessary to fully assess the potential benefits that could be derived from inoculation of these organisms and wood vinegar application in different soil environment especially under different field cond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