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sarium circinatum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5초

Fusarium circinatum에 대한 소나무류 추출물의 항균력 검정 (Screening for Antifungal Activity of the Pine Extracts Against Fusarium circinatum)

  • 김명주;심규열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65-169
    • /
    • 2010
  • Fusarium circinatum은 소나무류에 푸사리움 가지마름병을 유발하는 병원균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골프장의 리기다소나무로부터 병원균을 분리하였으며, 이들의 형태적인 특성을 관찰하고 분자생물학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동정한 결과 F. circinatum 임을 확인하였다. 특히 histone H3 유전자와 IGS rDNA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분리된 균들의 염기서열은 동일하였으며, 유성생식(mating)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모두 MAT1-1 유형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푸사리움 가지마름병에 대한 감수성 수종인 리기다소나무를 비롯하여 저항성 수종인 잣나무와 소나무의 메탄올 추출물을 만들어 이들의 병원균에 대한 항균력을 검정하였다. 그 결과 저항성 수종인 잣나무와 소나무의 추출물에서 리기다소나무 보다 높은 항균력을 확인 하였다.

Pre-Infection Behavior of the Pitch Canker Fungus Fusarium circinatum on Pine Stems

  • Thoungchaleun, Vilakon;Kim, Ki-Woo;Lee, Don-Koo;Kim, Chang-Soo;Park, Eun-Wo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4권2호
    • /
    • pp.112-117
    • /
    • 2008
  • Pre-infection behavior of Fusarium circinatum on stems of pine species was investigated with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wo-year-old stems of Pinus densiflora and p. rigida were inoculated with the fungal conidial suspension and subjected to $25^{\circ}C$ for up to 16 hr. Most microconidia germinated 12 hr after inoculation on pine stems. Conidia produced germ tubes from either one or both ends of microconidia. Germ tubes grew over the stem surface and appeared to enter host tissues through natural openings on pine stems. Surface cracks in the cork were entrance sites of germ tubes of F. circinatum. In addition, host cell wall cracks were often found at the tip of germ tubes. The cuticle appeared to be eroded either at the tip of germ tubes or around germlings. Germ tubes also produced appressoria-like structures, exhibiting swollen tips of germ tubes on the stem surface. There seems to b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e-infection behavior of F. circinatum on stems between the two pine species.

Assessment of Pathogenic Variation against Pitch Canker Pathogen, Fusarium circinatum in Pinus thunbergii and Responses of Natural Selection Pinus × rigitaeda to Branch Inoculation in a Seed Orchard

  • Woo, Kwan-Soo;Yoon, Jun-Hyuck;Han, Sang-Urk;Kim, Chang-So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6권4호
    • /
    • pp.299-305
    • /
    • 2010
  • A half-sib family of two 4-year-old seedlings of Pinus $\times$ rigitaeda was inoculated with each of 20 Pinus thunbergii isolates of Fusarium circinatum (syn. Fusarium subglutinans f. sp. pini) from two pitch canker damaged sites in Jeju Island, South Korea. Initial symptoms of needle damages were visible on most of the seedlings at 18 days after inoculation. The 20 tested isolat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virulence, based on lesion lengths at the site of inoculation (P = 0.217). The most virulent isolate FT-7 showed the longest lesion length. Some seedlings began to die 46 days after inoculation. All seedlings were dead by 68 days after inoculation except two seedlings inoculated with each of isolates FS-2 and FS-13, respectively. Using the FT-7, 38-year-old 11 P. $\times$ rigitaeda trees, which were survived from a seed orchard severely damaged by pitch canker, were inoculated on branches in the seed orchard in Jeju Island to assess differences in susceptibility to pitch canker. The 11 trees differed significantly (P < 0.001) in susceptibility to F. circinatum based on average lesion lengths measured 56 days after inoculation. It is possible that induced resistance contributed to their capacity to limit lesion development. The susceptibility of natural selection P. $\times$ rigitaeda trees are more likely affected by interaction with F. circinatum rather than environmental conditions.

푸사리움가지마름병균 Fusarium circinatum이 소나무류 묘목의 병 진전과 침엽의 가스교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usarium circinatum on Disease Development and Gas Exchange in the Seedlings of Pinus spp.)

  • 우관수;윤준혁;한상억;우수영
    • 식물병연구
    • /
    • 제17권2호
    • /
    • pp.177-183
    • /
    • 2011
  • 해송에서 분리한 Fusarium circinatum(FT-7)을 2009년 7월 21일에 4년생 해송, 소나무 및 리기다소나무 묘목에 인공접종한 후 병 진전 및 가스교환 특성을 조사하였다. 접종 18일 후 해송 10본 중 2본에서, 그리고 접종 21일후에는 리기다소나무 10본 중 2본에서 각각 침엽탈수 증상이 나타났으나 소나무는 실험기간동안 아무런 증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해송의 경우 가스교환율 모니터링을 실시한 5본 중 4본이 접종 25일 후 가스교환이 완전히 멈추었으나 리기다소나무는 5본 중 2본이 25일 이내, 나머지 3본은 39일 후 완전히 정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해송의 병 진전도가 리기다소나무에 비해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기간인 78일 동안 리기다소나무 10본 중 9본, 해송 10본 중 8본이 거의 고사하였으나 소나무는 아무런 피해 증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소나무는 F. circinatum(FT-7)에 저항성이 있는 수종으로 나타났으며 인공접종 후 가스교환율은 대조구와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Resin Flow, Symptom Development, and Lignin Biosynthesis of Two Pine Species in Response to Wounding and Inoculation with Fusarium circinatum

  • Kim, Ki-Woo;Lee, In-Jung;Kim, Chang-Soo;Eom, In-Yong;Choi, Joon-Weon;Lee, Don-Koo;Park, Eun-Wo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6권4호
    • /
    • pp.394-401
    • /
    • 2010
  • Resin flow, symptom development, and lignin biosynthesis in response to wounding and fungal inoculation were investigated in Pinus rigida and Pinus densiflora. The two-year-old seedling stems were subjected to three types of treatments: (i) wounding without inoculation, (ii) wound-inoculation with a conidial suspension of Fusarium circinatum, and (iii) pre-wounding woundinoculation with the fungus 20 days after the initial wounding. Resin flow from wounding sites was more evident in P. rigida than P. densiflora in all treatments. The wound-inoculation with the fungus induced almost two-fold higher levels of resin flow than the other treatments in both species. The pre-wounding woundinoculation appeared to result in a decrease in pitch canker development in the two pine species. Some reductions in disease severity were observed in the prewounding wound-inoculated P. rigida, showing a mean disease severity of less than 85%, compared with approximately 100% in the wound-inoculated stems. Disease severity was approximately 50% in the woundinoculated P. densiflora, whereas 10% in the pre-wounding wound-inoculated stems. Higher amounts of lignin were found from bark (ca. 40%) than from xylem (ca. 30%). The wound-inoculated bark and the pre-wounding wound-inoculated bark exhibited higher amounts of lignin among the other treatme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wound-inoculation apparently prompt the increase in resin flow and lignin biosynthesis from the two pine species, and the prior wounding may be involved in decreased disease severity against the further invasion of F. circinatum.

제주도 해송에서 분리한 푸사리움가지마름병균에 대한 교잡종 (리기다소나무×리기테다소나무) 소나무와 해송 묘목의 감수성 변이 (Susceptibility of a hybrid (Pinus rigida×P. x rigitaeda) and P. thunbergii Seedlings to Fusarium circinatum Isolated from P. thunbergii in Jeju Island)

  • 윤준혁;우관수;신한나;이승규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20-428
    • /
    • 2009
  • 제주도에서 푸사리움가지마름병의 자연감염목으로 추정되는 해송에서 분리된 균을 분자생물학적 기법을 이용하여 기존의 푸사리움가지마름병균과 비교하고, 분리된 균을 리기다소나무${\times}$리기테다소나무 2, 4년생과 해송 2, 3, 6년생 묘목에 인공 접종하여 수종 및 수령별 감수성을 파악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Site 1(FT)에서는 총 샘플 14 개체 중 13 개체에서 푸사리움균이 분리되었으며, Site 2(FS)에서는 9 개체 중 7 개체가 분리되었다. 분리된 균을 ITS region의 증폭을 통해 염기서열을 비교해 본 결과 FS와 FT 균주는 동일한 염기서열을 얻었고, 기존의 푸사리움가지마름병균인 FE 1-1과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반면 잿빛곰팡이와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교잡종인 리기다소나무${\times}$리기테다소나무의 경우, 2년생의 고사율이 93.3%로 다른 수령에 비해 가장 감수성이 높게 나타났고, 해송은 3년생의 고사율이 66.7%로 가장 높은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근원직경과 lesion 길이는 리기다소나무${\times}$리기테다소나무($R^2=0.66$)와 해송($R^2=0.60$)에서 모두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Lesion 길이도 리기다소나무${\times}$리기테다소나무 (p < 0.0001)와 해송(p < 0.0001)에서 모두 묘령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어 Lesion 길이가 감수성 정도의 유용한 지표임이 확인되었다.

후자린산(Fusaric acid) 생성 Fusarium 종의 신속 검출 PCR (Rapid Detection Method for Fusaric Acid-producing Species of Fusarium by PCR)

  • 이데레사;김소수;;;함현희;이수형;홍성기;류재기
    • 식물병연구
    • /
    • 제21권4호
    • /
    • pp.326-329
    • /
    • 2015
  • 후자린산은 Fusarium이 생성하는 독소로서 다른 Fusarium 독소와 함께 독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후자린산 독소를 특이적으로 검출하기 위해 후자린산의 생합성유전자 중 전사인자인 FUB10을 증폭하는 프라이머를 제작하였다. Fub10-f와 Fub10-r 프라이머쌍으로 PCR을 수행했을 때, F. oxysporum, F. proliferatum, F. verticillioides, F. anthophilum, F. bulbicola, F. circinatum, F. fujikuroi, F. redolens, F. sacchari, F. subglutinans, F. thapsinum에서 약 550 bp의 단일밴드가 증폭되었으며 이들은 모두 후자린산을 생성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트라이코쎄신을 생성하는 종에서는 FUB10 특이 밴드가 증폭되지 않았다. 후자린산은 푸모니신을 생성하는 종에서 함께 생성될 수 있기 때문에 FUB10 프라이머와 푸모니신 생합성유전자인 FUM1 프라이머를 이용한 multiplex PCR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푸모니신 생성종인 F. proliferatum과 F. verticillioides에서 밴드가 모두 증폭되었으며 이는 두 가지 독소를 생성할 수 있는 종에서 동시 검출이 가능함을 시사하였다.

제주도(濟州道) 리기다 및 리기테다 채종원(採種園)에서 푸사리움가지마름병 피해도(被害度) 조사(調査) 및 병원성(病原性) 균주선발(菌株選拔) (Selection of Virulent Isolates of Fusarium circinatum and Investigation of Pitch Canker Severity of Pinus rigida and P. rigida × P. taeda Seed Orchards in Jeju Island)

  • 우관수;김영중;김태수;이승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6호
    • /
    • pp.402-409
    • /
    • 2005
  • 제주도에 조성한 리기다소나무(Pinus rigida Mill.), 리기테다소나무(Pinus rigida ${\times}$ P. taeda) 채종원내 조성년도가 다른 6개 식재지에서 푸사리움가지마름병(pitch canker) 피해를 입은 지 7년째 되는 잔존 임목의 피해를 개체별로 판정하여 채종원 및 수종간 피해도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이들 중 표현형에 의해 선발한 내병성, 이병성 선발목의 반형매 차대 2년생 묘목을 리기다소나무와 해송(P. thunbergii Parl.)에서 분리한 푸사리움가지마름병균(Fusarium circinatum)으로 인공접종 한 뒤 기주의 감염성 여부를 검정하였고 균주들의 병원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조사한 특성 중 두 채종원(상효, 한남)내 리기테다소나무 4 식재지간에 SC(줄기궤양)에서 통계적 유의성(${\chi}^2=7.76$; P=0.05)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효채종원내에서 리기다소나무가 리기테다소나무에 비해 수관피해도(top kill)와 가지끝 마름증상(branch tip symptoms)에서 피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접종 결과 내병성 후보목 차대가 이병성 후보목 차대에 비해 14% 높은 고사율을 보였는데, 이는 화분수의 영향이나 표현형에 의한 후보목 선발에서 온 결과로 사료된다. 처리균주 5개 중 C-6-L(9)과 C-6-L(19) 균주가 각각 68%, 60%의 고사율을 보여 차후 추진할 대규모 인공접종용 균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인공접종 실험을 통해 1차 선발된 내병성 후보목 개체들은 푸사리움가지마름병 저항성 품종 육종을 위한 유전적, 생화학적 기초 연구에 유용한 재료로 이용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구주소나무 적응성검정 시험 -22개 산지 36년생 결과- (Adaptation Test of Scotch Pine (Pinus sylvestris L.) in Korea -Thirty-six-year-old Growth Performance of Twenty-two Provenances-)

  • 유근옥;한무석;김인식;이주환;이재천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6-35
    • /
    • 2013
  • 스웨덴으로부터 구주소나무 22개 산지 종자를 도입하여 우수산지 선발을 목적으로 36년간 경기도 수원 지방에서 시험한 결과, 식재 후 33년 생장에서 가장 우수한 생장을 보인 산지는 F3001산지로 $0.160m^3$, 불량산지는 W2027 산지가 $0.072m^3$로 2.2배의 산지간의 생장차이를 보여 통계적인 유의성을 인정할 수가 있었다. 수령 및 산지간의 생장의 순위는 식재 후 14년생에 접어들면서 우수했던 산지들이 수령 33년생에서도 지속적으로 우수하였으며, 불량했던 산지들도 동일한 경향이었다. 비교수종으로 식재한 강원 평창산지 소나무 생장과 비교할 때, 식재 후 구주소나무 14년생 22개 산지 평균재적생장은 국내소나무와 유사한 생장을 보였으나, 식재 후, 28년생과 33년생 단목 재적생장에서 국내소나무가 구주소나무에 비하여 205%와 333% 우수한 생장을 보였다. 외래수종을 도입하여 새로운 환경에서 순응하는 과정에서 유전적인 요인 및 환경경사 등이 복합적으로 표현되는 생존율에서 비교수종으로 사용한 국내 소나무의 식재 후 당년 조림활착율, 식재 후 3년, 28년, 33년의 생존율은 90%, 85%, 50%, 22%인데 반하여 구주소나무 22개산지 평균생존율은 89%, 70%, 42%, 18%로 국내 소나무의 생존율보다는 떨어지나 유사한 생존율을 보였다. 그러나 구주소나무의 생존율의 상태는 산지별로 반복간의 생존율에서 심한 차이를 보여 전수 고사한 반복이 나타나는 등 정상적인 밀도를 유지하지 못하고 비정상적인 생장으로 쇠퇴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구주소나무는 원산지보다 온화한 남쪽지방인 우리나라 기후풍토에서 생육하면서 심각한 생리적인 스트레스에 의하여 정상적인 생장을 하지 못하고 허약해진 개체목들은 2차적으로 솔잎혹파리(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거품벌레(Aphrophora flavipes Uhler), 푸사리움 가지마름병(Fusarium circinatum) 등의 병충해의 집중적인 침범으로 고사하여 외래수종 도입 실패의 대표적인 지연된 실패로 판단하여 시험을 종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