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ngistatic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8초

Phenylpropanoids of Plant Origin as Inhibitors of Biofilm Formation by Candida albicans

  • Raut, Jayant Shankar;Shinde, Ravikumar Bapurao;Chauhan, Nitin Mahendra;Karuppayil, Sankunny Moh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4권9호
    • /
    • pp.1216-1225
    • /
    • 2014
  • Biofilm-related infections of Candida albicans are a frequent cause of morbidity and mortality in hospitalized patients, especially those with immunocompromised status. Options of the antifungal drugs available for successful treatment of drug-resistant biofilms are very few, and as such, new strategies need to be explored against them.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phenylpropanoids of plant origin against planktonic cells, important virulence factors, and biofilm forms of C. albicans. Standard susceptibility testing protocol was used to evaluate the activities of 13 phenylpropanoids against planktonic growth. Their effects on adhesion and yeast-to-hyphae morphogenesis were studied in microplate-based methodologies. An in vitro biofilm model analyzed the phenylpropanoid-mediated prevention of biofilm development and mature biofilms using XTT-metabolic assay, crystal violet assay, and light microscopy. Six molecules exhibited fungistatic activity at ${\leq}0.5mg/ml$, of which four were fungicidal at low concentrations. Seven phenylpropanoids inhibited yeast-to-hyphae transition at low concentrations (0.031-0.5 mg/ml), whereas adhesion to the solid substrate was prevented in the range of 0.5-2 mg/ml. Treatment with ${\leq}0.5mg/ml$ concentrations of at least six small molecules resulted in significant (p < 0.05) inhibition of biofilm formation by C. albicans. Mature biofilms that are highly resistant to antifungal drugs were susceptible to low concentrations of 4 of the 13 molecules. This study revealed phenylpropanoids of plant origin as promising candidates to devise preventive strategies against drug-resistant biofilms of C. albicans.

편축 추출물(抽出物)의 항진균작용(抗眞菌作用)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f Antifungal Activity with Polygonum aviculare Linne)

  • 김홍식;조광현
    • 한국균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5
    • /
    • 1980
  • 마디풀 전초(全草)의 건조물인 편축의 열수전탕(熱水煎湯)의 여과액으로 증발 농축시킨 추출액을 만들어 대조인 Sabouraud's dextrose arar 배지에 매지 10ml當 편축 추출액 0.5,1,2 및 3ml를 각각 혼합한 배지로서 T. rubrum, T. mentagrophytes, E. floccccosum 및 M. canis 등 4균종을 각각 3종씩 배양하여 그 발육상태를 관찰하므로서 진균발육억제작용의 유무를 검색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E. floccosum은 편축추출물 3ml 혼합의 평판배지 사면배지 및 현적배양에서 거의 완전히 현지한 균발육억제작용을 인정할 수 있었다. 2. T. menagrophytes, T. rubum 및 M. cains에 대해서는 부분적으로 현저한 억제자용과 발육균태(菌苔)의 크기로 보아 반이불(半以不)의 크기로 발육이 억제되는 증정도의 억제효과를 인정하였다.

  • PDF

Antifungal Mechanism and Properties of Antibiotic Substances produced by Bacillus subtilis YB-70 as a Biological Control Agent

  • Kim, Yong-Su;Kim, Sang-Dal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4권4호
    • /
    • pp.296-304
    • /
    • 1994
  • Antibiotic substances were produced by Bacillus subtilis YB-70, a potential biocontrol agent found to suppress root-rot of eggplant (Solanum melonggena L) caused by Fusarium solani, in a dextrose glutamate medium and isolated by isoelectric precipitation. Partial purification was performed by column chromatography on silica gel with two solvent systems: chloroform-methanol and methanol-chloroform-water as eluting solvents, This active fraction YBS-1 s contained antifungal activity were soluble in ethanol, methanol, and water, but were not soluble in other solvents including acetone, butanol, ethyl ether, dimethylformamide, propanol, and et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d thin layer chromatographic separation of YBS-1s showed that they have been composed of three biological active bands that were named YBS-1A, -1B, and -1C. The substances were stable to heat and resistant to protease. YBS-1s were active against a wide range of plant pathogenic fungi but did not inhibit the growth of bacteria and yeasts. They were not only fungicidal but also fungistatic against chlamydospores of F. solani. The $ED_{50}$ values for the chlamydospore germination and the germ-tube growth of F. solani were $O.725\mu\textrm{m}/ml\;and\;O.562\mu\textrm{m}/ml$, respectively. Microscopic observations proved the substances restricted the growth of phytopathogenic fungus F. solani by spore burst followed by dissolving of its germ-tube, and caused abnormal hyphal swelling after application to chlamydospores or growing hyphae. Cultural filtrate of B; subtilis YB-70 also suppressed the development of root-rot of eggplant in pot tests.

  • PDF

Candida albicans에 대한 생약의 항진균성에 관한 연구(I) (Antifungal Actions of Crude Drug Water Extracts on Candida albicans(I))

  • 유승조;서정식
    • 생약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47-154
    • /
    • 1974
  • Some crude drugs in ancient literatures have been used as traditional therapeutic agent of leucorrhea mainly caused by Trichomonas vaginalis and Candida albicans. Sixty six kinds of crude drugs in ancient literatures and ten constituents were selected as sample drugs. Trichomycin standard was tested to compare with the above drugs. To determine the anti-fungal effect of these drugs on Candida albicans Yu 1200, a test organism, screening test was conducted. Antifungal activities of crude drug water extracts were observed by means of two test methods : firstly through the agar slant method and secondly the counting chamber method which was used for acknowledged drug agents upon the result of the agar slant method. And in order to improve the fungicidal effect, the organisms were stained with 0.02% methylene blue solution. The results of the above test indicated that Fritillariae Rhizoma has antifungal action in the concentration of 310mcg/ml, Coptidis Rhizoma in 620mcg/ml, Meliae Cortex, Scutellariae Radix both in 5,000mcg/ml. Baicalin, catechol among the pure isolated constituents inhibited in the range of 50mcg/ml. This score was based on 50% inhibition in comparison with amounts of control organisms. Rhei Rhizoma, Mori Radicis Cortex, Linderae Radix, and Amomi globosi Fructus showed the antifungal effect moderately in 5,000mcg/ml, and baicalein and pectolinarin in 50mcg/ml in the limit of between 35% and 50% antifungal activity. Staining with 0.02% methylene blue showed that any of the crude drug extracts was unable to stain the cells, but trichomycin in 0.86unit/ml able to stain 12% of the cells. This result means that crude drugs probably do not have fungicidal but fungistatic action.

  • PDF

토양병의 발병억제 기작과 그 실용성 -길항성 Trichoderma spp.의 분리, 동정 및 근권내 활동- (Suppressive Mechanism of Soil-borne Disease Development and its Practical Application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Species of Trichoderma Antagonistic to Soil diseases and its activities in the Rhizosphere-)

  • 김성일;심재욱;신현성;최혜정;이민웅
    • 한국균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37-346
    • /
    • 1992
  • 길항균 Trichoderma spp.가 입고병 및 식물토양병 방제에 효과적이었으므로 T. hamatum strain Tr-5와 Rhizoctonia solani 사이의 토양근권내의 상호작용을 구명하고, 생물학적 방제로서의 활용성을 알고저 기초적인 실험을 하였다. 길항성이 우수한 Trichoderma spp.의 토양내 분포비를 구명하고저 채집한 토양시료에서 길항균과 토양 미생물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전세균, 전진균, 방선균 및 Trichodema spp.의 분포비는 65%, 8.8%, 25.9% 및 0.28%로 세균이 많고 Trichoderma spp.의 분리비는 가장 적었다. Trichoderma spp.를 분리하여 동정한 결과 T. koninggii, T. pseudokoninggii, T. aureoviride, T. hamatum 및 T. viride의 5종이 동정되었고, 이중 균주 Tr-5인 T. hamatum을 공시하여 균기생성여부를 관찰한 결과 R. solani에 대한 기생성을 관찰하였으며 효소적으로 균사가 용균되어 파괴됨을 관찰하였다. Trichoderma spp.의 토양내 발아력을 조사한 결과 자연토양에서 Trichoderma spp. 모든 종은 $1.7{\sim}7.3$ 이내의 발아력을 나타내었고, 살균토양에서는 90% 이상의 포자발아력을 나타내어 자연토양에서 Trichoderma 정균현상이 관찰되었다. 길항력이 있는 T. koninggii, T. pseudokoninggii, T. hamatum 및 T. viride 등 4균주의 토양근권내 완두뿌리 근권점유율실험에서 4종 균주 모두는 토양깊이 1cm 범위까지는 점유율이 크게 나타났으나 $2{\sim}3\;cm$에 서는 분포수가 감소하였고 4 cm 이하에서는 뿌리 점유분포수가 크게 감소하였다. 인삼근을 심은 폿트실험에서 Fusarium solani, Cylindrocarpon destructans, Rhizoctonia solani균의 단독처리구에 비해 길항력이 있는 T. hamatum Tr-5 처리구에서는 근부현상이 감소하였다.

  • PDF

제충국화(除?菊花) 추출물(抽出物)의 항진균작용(抗眞菌作用) (Antifungal Activity of Extracts from Pyrethrum Cinerariaefolium V.)

  • 이종화;조선희;송병숙;백운상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59-63
    • /
    • 1973
  • Although numerous drugs are available for the treatment of superficial fungi infections of skin, and yet the clinical effects of most of such drugs are not satisfactory. In the hope of searching for effective drugs for superficial fungi infections, the authors observed fungistatic effects of Pyrethri Flos, a common herb in Korea, with water extract (PFWE), ethanol extract (PFEE), and methanol extract (PFME) from Pyrethrum cinerariaefolium V. In in vitro studies, the spores of fungi were inoculated on Sabouraud's glucose agar media which contained Pyrethri Flos extracts in each concentrations of $500\;{\mu}g/ml$, $1,000\;{\mu}g/ml$ and $5,000\;{\mu}g/ml$ respectively, and the growth of the fungi was observed for 3 weeks. The species of the fungi used in these experiments were Epidermophyton floccosum, Microsporum canis, Microsporum nanum, Microsporum gypseum, Microsporum cookei, Trichophyton rubrum, Trichophyton mentagrophytes, Trichophyton tonsurans and Trichophyton verrucosum.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were as follows; 1. The growth of M. nanum & T. rubrum was slightly inhibited by PFWE $500\;{\mu}g/ml$, and the growth of M. nanum, M. cookei & T. rubrum was slightly inhibited by PFWE $1,000\;{\mu}g/ml$. The growth of E. floccosum, M. gypseum & M. cookei was slightly inhibited, however the growth of M. canis, M. nanum, T. mentagrophytes, T. rubrum & T. tonsurans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PFWE $5,000\;{\mu}g/ml$. With $500\;{\mu}g/ml$ of PFEE, the growth of M. canis, M. nanum, T. mentagrophytes, T. rubrum & T. tonsurans was significantly inhibited, and moderate inhibition of M. cookei growth and slight inhibition E. floccosum & M. gypseum were observed. The growth of M. canis, M. nanum, T. mentagrophytes, T. rubrum & T. tonsurans was significantly inhibited, and the growth of E. floccosum, M. gypseum & M. cookei was moderately inhibited by PFEE $1,000\;{\mu}g/ml$. Significant inhibitions of the growth of E. floccosum, M. canis, M. nanum, M. gypseum, M. cookei, T. mentagrophytes, T. rubrum & T. tonsurans were observed by PFEE $5,000\;{\mu}g/ml$. 3. The growth of E. floccosum & M. cookei was moderately inhibited, and the growth of M. canis, M. nanum, M. gypseum, M. mentagrophytes, T. rubrum & T. tonsurans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PFME $500\;{\mu}g/ml$. But the growth of E. floccosum, M. canis, M. nanum, M. gypseum, M. cookei, T. mentagrophytes, T, rubrum & T. tonsurans was significantly inhibited, and the growth of T. verrucosum was slightly inhibited in both PFME $1,000\;{\mu}g/ml$ and $5,000\;{\mu}g/ml$.

  • PDF

토양(土壤) 조건(條件)에 따른 수종(數種) 균류(菌類)의 포자(胞子) 발아(發芽)와 정균현상(靜菌現像) (Spore Germination of Some Fungi under Different Soil Conditions in Relation to Fungistasis)

  • 이민웅;신현성;최혜정
    • 한국균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95-201
    • /
    • 1985
  • 전(全) 세균(細菌)과 균류(菌類)는 금산(錦山)의 재작(再作) 이병포(罹病圃) 토양(土壤)에 많이 분포(分布)하였고 반면(反面) 방선균(放線菌)의 수(數)는 괴산(塊山)의 초작건삼포(初作健蔘圃) 토양(土壤)에 많이 분포(分布)하였다. 재료(材料) 토양(土壤)을 여러가지 식물질(植物質)로 개량처리(改良處理) 후에 토양중(土壤中)의 미생물(微生物) 수(數)의 변동(變動)을 조사한 결과, 괴산(塊山) 지역(地域)의 토양(土壤)을 제외하고 다른 토양(土壤)에서는 세균(細菌)의 수(數)가 감소(減少)하였고, 반대로 균수(菌數)는 2개(個) 지역(地域) 토양(土壤)에서 양파와 감자줄기를 처리한 토양조건(土壤條件)에 수(數)가 증가(增加)하였다. 또한 개량(改良) 처리(處理)한 토양(土壤)에서 일반적으로 균류(菌類)가 증가하였다. 세균(細菌)과 균수(菌數)는 이병(罹病) 재작지(再作地)에서 일반적으로 증가(增加)하였다. 균(菌)의 포자(胞子) 발아(發芽)는 미생물(微生物)의 분포수(分布數)가 많을수록 낮아졌다. A. panax는 자연토양조건(自然土壤條件)에서 포자(胞子) 발아(發芽)가 적게 영향을 받았으나, Fusarium속(屬)은 영향을 받았다. 자연(自然) 토양(土壤)은 4가지 균(菌)의 포자(胞子) 발아력(發芽力)에 대해 정균현상(靜菌現象)을 나타내었다.

  • PDF

느타리버섯 푸른곰팡이병 저항성 실내검정 방법의 개발 (Development of Effective Screening Method for Resistance of oyster mushroom to Trichoderma disease in vitro)

  • 전창성;윤형식;이찬중;공원식;정종천;장갑열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10-115
    • /
    • 2011
  • 느타리버섯 푸른곰팡이병에 대한 품종 저항성은 포장에서 효과적인 검토가 불가능하여 한천 배지상에서 푸른곰팡이균이 균을 저해하는 특징 fungistatic, lysis, toxin enzyme 등에 대한 각각의 특성을 실내에 검정할 수있는 방법을 검토하기 위하여 균사생장과 특이 현상을 조사하였다. 대치배양에서는 느타리버섯 균주에 따라 대치선 형성위치, 푸른곰팡이균의 느타리균사 생장부분 위로 생장(overgrowth), 대치선 이후의 버섯균의 용균(lysis)현상이 발생하여 효과적인 저항성 검정이 가능하였다. 배양여액을 여지에 적용하는 방법은 버섯균과 병원균의 종류에 따른 균사생장 및 특이적 현상이 타나나지 않았으나, well plate를 이용한 배양여액 희석방법으로 균사생장의 억제정도의 확인이 가능하였다. 분활 petri dish를 활용하여 동시배양의 경우 약간의 버섯균이 억제되는 현상은 보였으나, 푸른곰팡이균이 버섯균 생장 부분 위로 덮어 효과검정이 불가능 하였다. 버섯균을 petri dish 전체에 배양한 후 그 위에 병원균의 균총을 접종하는 방법은 overgrowth, lysis등의 현상이 발생하여 병원성의 검정이 용이하였다. 실내에서의 느타리버섯균의 푸른곰팡이병에 대한 저항성 검정은 대치배양, 배양여액법, 생장후 접종법에 의한 방법으로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소르빈산 칼륨의 GJIC 억제로 인한 간독성 유발 (Inhibition of Gap Junctional Intercellular Communication by Food Preservatives Potassium Sorbate)

  • 황재웅;정지혜;정지원;정지윤;김선중;박정란;안지윤;하태열;김성란;이영순;강경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69-273
    • /
    • 2006
  • 소르빈산 칼륨은 소르빈산의 일종으로 항세균 및 곰팡이 발육 저지 효과를 갖고 있다. 이러한 성질로 인하여 소르빈산 칼륨은 곰팡이와 진균에 대한 식품 방부제로서 사용되고 있다. 소르빈산 칼륨은 많은 양에 노출되었을 때도 체내에서 수분과 이산화탄소로 분해되는 특성으로 인하여 독성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gap junction을 통한 세포 간 신호 전달(GJIC)는 생체의 성장과 분화에 있어서 조직의 항상성 유지에 본질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WB-F344 랫드의 정상 간 상피 세포(WB 세포)에서 소르빈산 칼륨을 노출하였을 때 GJIC에 대하여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소르빈산 칼륨에 노출에 의하여 WB세포의 GJIC가 농도 및 시간 의존적으로 현격하게 감소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소르빈산 칼륨은 GJIC를 강력하게 억제하며, 이는 WB 세포에서 gap junction을 구성하는 connexin 43의 인산화와 병행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소르빈산 칼륨이 gap junction의 기능을 방해함으로 인해 소르빈산 칼륨에 의한 간독성이 유발될 수 있을 것이다.

근권미생물과 토양병방제 -유용길항균이 인삼근부병원에 미치는 영향- (Establishment of rhizosphere microbes for plant protection on soil-borne diseases -Benificial antagonist and its mode of action toward ginseng root rot pathogen-)

  • 김성일;이민웅
    • 한국균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50-61
    • /
    • 1994
  •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380개체의 균주 중 Fusarium solani에 대해 길항능력이 있는 방선균 및 세균 42개 균주로부터 길항작용이 큰 균주로 CHA 1과 5-PFHR 6을 공시하여 동정한 결과 각각 Promicromonospora sp.와 Pseudomonas pseudoalcaligenes로 동정되었다. PDA 평판배지상에서 두 균주는 모두 F. solani의 저해작용으로 균사의 길이 생장억제, 비정상적인 균사의 분지, 세포벽 분해에 의한 돌기형성 등이 관찰되었다. F. solani 포자발아에 미치는 길항균주의 배양여과액의 작용으로 감자즙액 배지나 nutrient broth에 배양한 여과액은 포자발아 억제력이 높아 14.3%의 낮은 발아율을 보였으며, 토양침출액 단독 또는 두 영양배지에 토양침출액을 첨가하여 준비한 배양 여과액에서의 발아율은 85% 이상으로 포자발아가 촉진되었으나 S-PFHR 6의 경우 두 영양배지에 소량의 토양침출액을 첨가한 배앙여과액에서 4%의 발아율을 보였다. 자연토양에서 대형포자는 19.4%, 후막포자는 17.7%가 발아하였으나 증기살균 토양에서의 발아율은 79.7% 이상으로 증가하였다. 자연토양에 공시길항균 CHA 1과 S-PFHR 6의 균체를 처리하면 토양 정균력이 증가되어 F. solani의 대형 포자 발아율은 각 처리구에서 각각 14.7%, 11.7%로 감소하였다. 길항균을 처리한 토양에 glucose와 asparagine을 처리하면 토양의 정균력이 점차 해소되어 대형포자의 발아율은 48.0% 이상으로 증가하였다. 공시균주의 2차 대사산물에 의한 길항작용으로 두 균주의 배양여과액을 토양에 처리한 경우 CHA 1의 배앙여과액을 처리한 토양에서의 F. solani 대형포자의 발아율은 9.3%, 5-PFHR 6 처리구에서의 발아율은 38.0%가 되었다. F. solani의 후막포자는 공시길한균주의 균체나 배양여과액 처리구에서의 발아율이 자연토양에서의 발아율보다 낮았으며 이러한 현상은 영앙원을 첨가해 주어도 변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