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ore Germination of Some Fungi under Different Soil Conditions in Relation to Fungistasis

토양(土壤) 조건(條件)에 따른 수종(數種) 균류(菌類)의 포자(胞子) 발아(發芽)와 정균현상(靜菌現像)

  • 이민웅 (동국대학교 농생물학과) ;
  • 신현성 (대전보건전문대학 임상병리학과) ;
  • 최혜정 (동국대학교 농생물학과)
  • Published : 1985.12.30

Abstract

Numbers of total bacteria and fungal propagules were highly populated in the soil of diseased plot in Gumsan, whereas numbers of actinomycetes were high in the soil of healthy plot in Goesan. In microbial fluctuation of different soil conditions four weeks after amended with various plant materials, bacteria were decreased in the soil amended with various plant materials as compared with non-amended soil except for Goesan. On the contrary, numbers of fungal propagules were increased amended with onion and potato stalk in two soils at different conditions, and also the propagules were enhanced in the soil amended with various plant materials in general. Higher numbers of bacteria and fungal propagules were observed in the diseased replanted plot in general, but germination rate of fungal spores relatively reversed against the microbial population. Alternaria panax was not affected much in their germination by natural soil condition, while Fusarium spp. were affected in their germination by natural soil. Natural soil showed a fungistatic effect against four fungal spores.

전(全) 세균(細菌)과 균류(菌類)는 금산(錦山)의 재작(再作) 이병포(罹病圃) 토양(土壤)에 많이 분포(分布)하였고 반면(反面) 방선균(放線菌)의 수(數)는 괴산(塊山)의 초작건삼포(初作健蔘圃) 토양(土壤)에 많이 분포(分布)하였다. 재료(材料) 토양(土壤)을 여러가지 식물질(植物質)로 개량처리(改良處理) 후에 토양중(土壤中)의 미생물(微生物) 수(數)의 변동(變動)을 조사한 결과, 괴산(塊山) 지역(地域)의 토양(土壤)을 제외하고 다른 토양(土壤)에서는 세균(細菌)의 수(數)가 감소(減少)하였고, 반대로 균수(菌數)는 2개(個) 지역(地域) 토양(土壤)에서 양파와 감자줄기를 처리한 토양조건(土壤條件)에 수(數)가 증가(增加)하였다. 또한 개량(改良) 처리(處理)한 토양(土壤)에서 일반적으로 균류(菌類)가 증가하였다. 세균(細菌)과 균수(菌數)는 이병(罹病) 재작지(再作地)에서 일반적으로 증가(增加)하였다. 균(菌)의 포자(胞子) 발아(發芽)는 미생물(微生物)의 분포수(分布數)가 많을수록 낮아졌다. A. panax는 자연토양조건(自然土壤條件)에서 포자(胞子) 발아(發芽)가 적게 영향을 받았으나, Fusarium속(屬)은 영향을 받았다. 자연(自然) 토양(土壤)은 4가지 균(菌)의 포자(胞子) 발아력(發芽力)에 대해 정균현상(靜菌現象)을 나타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