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ngal propagules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19초

계룡산 산림토양내의 수종 Trichoderma spp.의 분포 특성에 관하여 (Season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Trichoderma species in Forest Soils of Mt. Geryongsan)

  • 이영하;홍순우
    • 미생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57-165
    • /
    • 1984
  • Seasonal and spatial variations in propagule numbers of Trichoderma species were investigated every other month for one year in deciduous and coniferous forest soils and evaluated the relationships of Trichoderma spp. populations to soil environmental factors. The total population of Trichoderma spp. increased until summer and then declined until winter. The yearly mean frequency of Trichoderma spp. exceeded 1.4% of total fungal propagules in two sites. Decreases of absolute an relative propagule numbers of Trichoderma spp. with increasing soil depth were found and variation in Trichoderma spp. propagules caused by differences in soil depth ($0{\sim}50cm$) was greater than that caused by differences in sampling time. The most common species occurring in two sites was T. viride, followed by T. polysporum, T. koningii, and T. hamatum. Individual species of Trichoderma showed diferent abundance trend in accordance with sampling time. T. viride was dorminant from spring to autumn, while T. polysporum dominated over the other speicies in winter. Variations in propagule number of Trichoderma sppp. were principally mediated by the actions of biotic environmental factors rather than by the direct effects of abiotic factors. In multiple-regression analyses, 48% of the total vaiation in Trichoderma spp. propagules in deciduous site could be accounted for by total fungal propagules and soil CMCase actvity. In coniferous site, 65% of total variation could be accounted for by total fungal and bacterial propagules, moisture content and organic carbon content.

  • PDF

한국 논 토괴중의 균류에 관한 연구 I. 균류의 분포 (Fungus Flora of Paddy Fields in Korea I. Fungal distribution of paddy fields)

  • Kyung Hee MIN;Tadayoshi ITO;Tatsuo YOKOYAMA
    • 미생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54-162
    • /
    • 1981
  • 서울근교 역곡동과 신원동의 논토양 시료들 중에서 계절별 균류의 수직분포를 조사하였다. 평판회석법을 사용하여 토양 1g중 총균류의 평균수는 상층부(5cm 깊이)에서 $10^4$ 이상을 나타내었으며 그 다음이 중충부(15cm 깊이), 하층부(25cm 깊이)의 순서였다. 가장 많은 총 균류의 분포는 가을토양의 상층부로 평균 $11.0\;{\times}\;10^4$ 이었다. 또한 균류의 수는 논 토양의 깊이가 깊어질 수록 감소하였다. 균 분포의 계절적 변이는 겨울에는 낮으나 가을에는 가장 높았으며, 이 사실로 가을이 균 생장에 가장 좋은 환경조건임을 알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논 토양에서의 Talaromyces의 수는 겨울에 적은 반면에 특히 가을에 현저하게 많으며, 역곡동의 가을 시료의 경우에는 토양 g당 $6.5\;{\times}\;10^4$ propagules로 최고수를 나타냈고, 신원동의 겨울시료가 $0.5\;{\times}\;10^4$으로 최저의 수를 나타내었다.

  • PDF

토양(土壤) 조건(條件)에 따른 수종(數種) 균류(菌類)의 포자(胞子) 발아(發芽)와 정균현상(靜菌現像) (Spore Germination of Some Fungi under Different Soil Conditions in Relation to Fungistasis)

  • 이민웅;신현성;최혜정
    • 한국균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95-201
    • /
    • 1985
  • 전(全) 세균(細菌)과 균류(菌類)는 금산(錦山)의 재작(再作) 이병포(罹病圃) 토양(土壤)에 많이 분포(分布)하였고 반면(反面) 방선균(放線菌)의 수(數)는 괴산(塊山)의 초작건삼포(初作健蔘圃) 토양(土壤)에 많이 분포(分布)하였다. 재료(材料) 토양(土壤)을 여러가지 식물질(植物質)로 개량처리(改良處理) 후에 토양중(土壤中)의 미생물(微生物) 수(數)의 변동(變動)을 조사한 결과, 괴산(塊山) 지역(地域)의 토양(土壤)을 제외하고 다른 토양(土壤)에서는 세균(細菌)의 수(數)가 감소(減少)하였고, 반대로 균수(菌數)는 2개(個) 지역(地域) 토양(土壤)에서 양파와 감자줄기를 처리한 토양조건(土壤條件)에 수(數)가 증가(增加)하였다. 또한 개량(改良) 처리(處理)한 토양(土壤)에서 일반적으로 균류(菌類)가 증가하였다. 세균(細菌)과 균수(菌數)는 이병(罹病) 재작지(再作地)에서 일반적으로 증가(增加)하였다. 균(菌)의 포자(胞子) 발아(發芽)는 미생물(微生物)의 분포수(分布數)가 많을수록 낮아졌다. A. panax는 자연토양조건(自然土壤條件)에서 포자(胞子) 발아(發芽)가 적게 영향을 받았으나, Fusarium속(屬)은 영향을 받았다. 자연(自然) 토양(土壤)은 4가지 균(菌)의 포자(胞子) 발아력(發芽力)에 대해 정균현상(靜菌現象)을 나타내었다.

  • PDF

종류가 다른 무생물적 요인이 진균류에 미치는 세균의 주화성 (Effect of Different Abiotic Factors on Chemotaxis of Bacteria Towards Fungal Propagules)

  • ;;;이민웅
    • 한국균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09-117
    • /
    • 1992
  • 운동성을 띠는 5가지 부생균과 1종류의 식물병원세균으로 Agrobacterium radiobacter, Bacillus subtilis, B. polymyxa, Pseudomonas aeruginosa, P. fluorescens 및 Xanthomonas malvacearum을 공시하여 이들 세균이 Cochliobolus sativus 분생포자, Fusarium oxysporum f. sp. ciceri의 후막포자, Macrophomina phaseolina의 균핵 및 Phytophthora drechsleri f. sp. cajani 난포자의 분비물에 미치는 화학주성을 서로 다른 무생물적 조건하에서 실험하였다. 균의 분비물의 농도와 세균세포의 끌리는 유인사이에는 정상관$(r=0.76{\sim}0.89)$이 있었다. 유사한 결과로서 화학주성반응과 배양간격에서도 통계적인 정상관이 있다$(r=0.82{\sim}0.95)$. 세균의 화학주성반응은 온도와 pH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최적 화학주성을 나타내는 온도로서 A. radiobacter는 $25^{\circ}C$, B. polymyxa, P. aerugionosa, p. fluorescens and X. madracearum은 $30^{\circ}C$이었고, B. subtilis는 $35^{\circ}C$가 최적이었다. 최대 화학주성을 나타내는 분비물의 주성은 pH7이고 pH3과 11에서는 buffer와 같았다. 시험용 모세관에 유인물질이나 buffer 중 어느 종류가 채워져도 유인물질이 있는 시험관에 연결되면 세균은 주성이 나타난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 PDF

인삼포(人參圃) 토양(土壤)의 진균(眞菌) 및 Fusarium속 분포(分布)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Fungal and Fusarium spp. Propagules in Ginseng Field Soil)

  • 신현성;이형환;이민웅
    • 한국균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09-119
    • /
    • 1986
  • 인삼(人蔘)의 토양병해(土壤病害) 방제에 효율성을 높이고, 증산에 기여 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얻고자 우리나라 주요 인삼 재배지인 금산(錦,山), 풍기(豊基), 괴산(槐山)의 3년근 재작지(再作地)와 초작지(初作地) 토양을 선정하여 이들 토양의 물리화학적 성질과 토양 내 분포한 미생물들 사이에 상호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Fusarium속의 월별 분포는 초작지 및 재작지 모두 가을철에 증가하였고, 괴산(槐山)을 제외한 풍기(豊基)와 금산(錦山) 재작지가 이들 동일지역의 초작지 보다 $1.9{\sim}2.6$배 더 많이 분포하였으며, Fusarium속/전 진균의 비도 금산(錦山), 풍기(豊基)의 재작지에서 증가하였다. 전 진균은 대체로 6,7월에 증가되었으나 기온변화에 따른 민감한 증감없이 고루 분포되었고 표층부에 많이 분포하였다. 유기물과 인산의 함량은 초작지에서 많았고, 인산/유기물량의 비, Mg/유기물량의 비, Mg함량 등은 재작지에서 많은 경향이 있다. 토양의 pH는 $4.5{\sim}5.7$로 모두가 약 산성 토양이었다. 토양의 수분량은 겨울철에 증가 되었으며 생육기간에 수분량은 큰 차이가 없고, 평균적으로 초작지는 24.6%, 재작지는 19.5%였다. 토양의 온도는 $7{\sim}8$월이 높았고, $1{\sim}2$월은 가장 낮았다.

  • PDF

Impact of Rhizosphere Competence of Biocontrol Agents upon Diseases Suppression and Plant Growth Promotion

  • Park, Chang-Seuk-
    • 한국식물병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병리학회 1994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BIOLOGICAL CONTROL OF PLANT DISEASES Korean Society of Plant Pathology
    • /
    • pp.27-49
    • /
    • 1994
  • Root colonization of biocontrol agents via seed treatment was investigated and a compatible combination, Gliocladium virens G872B and Pseudomonas putida Pf3, in colonizing cucumber rhizosphere was confirmed through the study. Much higher number of fungal and bacterial propagules were detected when two isolates were inoculated together. The presence of Pf3 in root system was greatly helpful to G872B to colonize at root tip. The mechanism of this phenomenon is partially elucidated through the results of in vitro experiments and the observations of scanning electron and fluorescence microscope. Addition of Pf3 cells resulted earlier germination of G872B conidia and increased mycelial growth. And the more number of germinated conidia on seed coat, the more vigorous hypal streching and sporulation on the root surface were observed in coinoculated treatment. The propagules of G872B on the cucumber root when they were challenged against the pathogenic Fusarium oxysporum, were even higher than that of G872B treated alone, and the magnitude of such a difference was getting grater toward the root ip and the population of F. oxysporum on the root was reduced by seed inoculation of G872B. The rhizosphere competence was obviously reflected to disease suppression and plant growth promotion that induced by the given isolate. Green house experiments revealed that the combined treatment provided long-term disease suppression with greater rate and the larger amount of fruit yield than single treatments. Through this study the low temperature growing Pseudomonas fluorescens M45 and MC07 were evaluated to apply them to the winter crops in field or plastic film house. In vitro tests reveal that M45 and MC07 inhibited the mycelial growth of Pythium ultimum, Rhizoctona solani and Phytophthora capsici and enhanced growth of cucumber cotyledon in MS agar. This effect was more pronounced when the bacteria were incubated at 14$^{\circ}C$ than at 27$^{\circ}C$. And disease suppression and plant growth promotion in green house were also superior at low temperature condition. Seed treatment of M45 or soil treatment of MC07 brought successful control of damping-off and enhanced seedling growth of cucumber. The combined treatment of two isolates was more effective than any single treatment.

  • PDF

In vitro 및 토양에서 추출물, 삼출물, 용액에 대한 세균의 화학주성 (Bacterial Chemotaxis to Extracts, Exudates, Solutions in Vitro and Soil)

  • 이민웅;김성일;심재욱;신현성;김광포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65-173
    • /
    • 1986
  • 토양추출물, 인삼삼출물과 용액이 Pseudomonas sp. P. fluorescens 및 Erwinia carotovora에 미치는 화학주성은 토양추출물처리, 삼출물 및 용액은 증류수 보다 이들 세균이동에 영향을 나타냈다. 고무관내 흙속으로 세균의 이동성은 P. fluorescens가 토양추출물처리 삼출물에서 주성을 나타냈으나, P. sp 와 E. caotovora는 주성이 없었다. 세균주성에 미치는 진균의 삼출액은 이동에 영향력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고무관내 흙을 진균으로 접종한 후에 세균의 주성은 Pseudomonas sp. 에서는 주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P. fluorescens와 E. carotovora는 F. solani, F. oxysporum 및 혼합균처리에서는 주성이 나타났다. Alternaria panax는 이들 세균에 대해 주성이 없었으나, E. carotovora는 A. panax에 대해 주성이 있었다. 토양유기물함량은 김포, 강화의 나병지와 건전지에는 낮았고, K함량은 김포의 건전지에 높았다. 세균분포는 괴산의 나병 및 건전지와 강화건전지에 진균은 금산 괴산의 나병 및 건전지에 많이 분포되었다. 방선균은 괴산건전지에 특히 많이 분포하였고 다음이 풍기나병지였다.

  • PDF

곤충병원성 진균을 활용한 해충 관리와 개발 전략 (Entomopathogenic Fungi-mediated Pest Management and R&D Strategy)

  • 이세진;신태영;김종철;김재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197-210
    • /
    • 2022
  • 곤충병원성 진균은 다양한 흡즙형 및 저작형 해충 방제에 적용이 가능하며, 익충과 천적에 낮은 영향을 보여, 화학농약의 대체체로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까지 전세계적으로 170여개의 제품들이 등록되어 판매되고 있으며, 최근 연구측면에서는 작용기작 및 곤충-진균 상호작용체 구명에 집중하고 있다. 해충 방제를 위한 곤충병원성 진균의 산업화 연구는 초기 살충성이 높은 균주 선발에 집중하였으나, 최근에는 환경 스트레스 인자에 대한 저항성 확보를 포함한 생산성 향상이 해결해야 할 주요 과제이다. 분생포자(conidia)가 주된 처리 형태였지만, 액체배양을 통해 생산되는 아포자(blastospore)의 한계점을 극복하여 대량생산의 경제성을 확보하려는 노력들도 진행되고 있다. 추가로 살충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형질전환을 비롯한 분자생물학적 연구와 유전자 및 유전체 기능 구명에 집중하고 있다. 해충방제 시장측면에서, 글로벌 작물보호제 기업들은 인수합병 또는 공동 연구개발 형태로 전문 생물농약 기업들과의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있으며, 화학농약과 곤충병원성 진균의 tank-mix 전략을 주된 방향성으로 삼고 있다. 현장에서 곤충 생태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한 생태학적 처리(ecological application)는 곤충병원성 진균의 살충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가 된다. 앞으로의 디지털팜(digital farming) 기술과 접목된다면, 지상부 해충 방제를 위한 실질적인 적용도 가능하다. 곤충병원성 진균의 산업화를 위해서는 지적재산권 분쟁 해결을 위한 명확한 비교 연구자료 확보도 필요하다. 이와 같은 곤충병원성 진균이 식량생산의 안전성과 경제성을 확보하는 중요한 미생물자원으로 활발히 활용되고 개발되길 기대한다.

딸기탄저병의 시기별 발생과 감염경로 (Seasonal Occurrence and Infection Site of Strawberry Anthracnose)

  • 김승한;최성용;임양숙;윤재탁;최부술
    • 식물병연구
    • /
    • 제8권1호
    • /
    • pp.45-49
    • /
    • 2002
  • 딸기탄저병의 발병특성은 정식 직후 격발하다가 시간이 지날수록 발병율이 감소하였으며, 11월 이후에는 발병이 감소하였다. 정식 직후에는 주로 런너로 침입하였으나 엽병 제거 후는 제거한 상처부위로 주로 침입을 하였다. 식물체의 부위별로는 런너에서 가장 강한 병원력을 보였으며 접종방법별로는 생장점 부위로 관주를 할 경우 가장 발병율이 높았다. 딸기탄저병에 의해 고사된 포기를 제거한 자리에 건전한 포기를 심었을 경우 옮겨 심은 포기에서는 발병이 되지 않았다.

적송 (Pinus densiflora) 림내 송이(Tricholoma matsutake) 발생지와 미발생지의 토양 균류의 수직 분포 (Microfungal flora of Tricholoma matsutake producing and nonproducing sites in the forest of Pinus densiflora)

  • 송현순;민경희
    • 한국균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09-119
    • /
    • 1991
  • 송이 (Tricholoma matsutake) 생산의 대표적인 지역으로 알려진 강원도 양양 지역과 명주 지역을 선택하여 송이 발생지와 미발생지의 미세균류를 분리 동정하였으며 수직분포를 조사하였다. 진균의 선별방법으로 희석법, $42^{\circ}C$에서 48시간 배양 후 $37^{\circ}C$로 배양하는 방법, $70^{\circ}C$에서 15분간 열처리 방법, 그리고 ethanol처리 방법으로 토양의 수직적 분포를 파악하였다. $42^{\circ}C$배양법에서는 두 장소에서 분리된 토양균은 7속 18종이 분리되었으며, 송이 발생지에서는 Aspergillus fumigatus, A. ochraceus, A. terreus, Acremonium sp., Penicillium frequentans, Talarom-yces stipitatus가 분리되었으며, 송이 미발생지에서는 Aspergillus fumigatus, Penicillium lilacinum, P. oxalicum, Westerdykella multispora가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70^{\circ}C$열처리 방법으로 분리한 경우 7속20종이 분리되었으며, 송이발생지에서는 Aspergillus fumigatus, Mucor sp. 가 우점적으로 나타났으며, 송이 미발생지에서는 A. iumigatus, Atternaria alter-nate, Mucor sp., Neurospora sitophita가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Ethanol처리 방법으로 분리한 경우는 1속 1종이 분리되었으며, 송이 발생지와 미발생지에 관계없이 우점종은 Mortierella sp.로 분류되었다. 이들 분리된 토양균은 전체균의 수와 우점종균수 그리고 나타나는 종의 빈도수는 그 수직적 분포에 있어서 상층에서 하층으로 내려갈수록 감소하였다.

  • PDF